원.달러 환율이 하루 만에 반등하면서 근 11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2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달러당 1.50원 상승한 1,517.5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1998년 3월13일의 1,521.00원 이후 10년 11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이날 환율은 6.00원 하락한 1,510.00원으로 거래를 시작했지만 저가인식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보합권으로 올랐다. 환율은 오후 들어 주가 하락폭이 확대되자 1,524.00원까지 고점을 높인 뒤 매물 유입으로 1,510원대로 하락했다. 외환시장 참가자들은 주가 약세 여파로 환율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뉴욕 주가에 이어 코스피 지수가 하락세를 보이면서 달러화 매수 심리를 확산시켰다.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은 880억 원 가량 주식을 순매도하면서 13일째 주식 순매도 행진을 이어갔다. 정부가 국채나 통안채에 투자하는 외국인에게 이자소득에 대한 법인.소득세 원천징수를 면제키로 했지만 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다. 오히려 전날 윤증현 기획재정부장관이 환율을 수출에 활용해야 한다고 밝힌 점을 근거로 달러화 매도 개입이 완화될 것이라는 인식이 형성했다. 기업은행 김성순 차장은 "정부의 대책은 시장이 예상했던 부분이었기 때문에 환율에 큰 영향이 없었던 것 같다"며 "달러화 매물이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오후 3시 현재 원.엔 환율은 100엔당 10.76원 하락한 1,551.32원을 기록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최현석 기자
2009.02.25. 22:29
금융불안이 커지면서 원.달러 환율이 또 급등했다. 24일(현지시간)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오전 9시15분 현재 전날보다 달러당 22.00원 급등한 151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환율이 현 수준으로 거래를 마치면 작년 11월24일 이후 석 달 만에 최고치를 경신한다. 이날 환율은 14.50원 오른 1503.50원으로 거래를 시작해 매수세가 폭주하면서 1515.00원으로 오른 뒤 매물 유입으로 상승폭을 약간 줄였다.
2009.02.23. 20:57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가 올해 들어 16%나 떨어지면서 세계 주요국 통화 중 가장 큰 폭의 절하율을 기록했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원화 환율은 작년 말 달러당 1259.50원에서 이달 20일 1506.0으로 두 달이 채 못되는 기간에 246.5원이나 급등했다. 이 기간 달러화 대비 원화의 절하율은 16.37%로 뉴질랜드달러(-14.01%) 유로화(-10.00%) 등을 제치고 주요국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외환시장 전문가들은 "동유럽발 국제 금융시장 불안 여파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달러화가 주요국 통화 대비 강세를 보였다"며 "특히 원화가치 하락이 두드러진 것은 외국인의 주식매도 경상수지 적자 한반도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 등 악재가 겹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009.02.20. 21:15
원.달러 환율이 9거래일째 급등하면서 1510원을 넘어섰다. 20일(한국시간)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오후 2시20분 현재 전날보다 달러당 30.00원 정도 급등해 151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환율이 현 수준으로 거래를 마치면 작년 11월25일 이후 3개월 만에 1500원을 넘어서게 된다. 9일간 상승폭은 120원을 웃돌고 있다. 이날 환율은 3원 오른 1483원으로 거래를 시작해 1476.40원으로 밀리기도 했다. 하지만 한국의 주가 급락으로 달러화 매수세가 강화되자 1513.00원까지 상승했다. 외환시장 참가자들은 한국내외 주가 약세 여파로 환율이 급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기정 기자
2009.02.19. 21:59
원.달러 환율이 9거래일째 급등하면서 1500원을 넘어섰다. 20일(현지시간)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오전 10시40분 현재 전날보다 달러당 22.00원 급등한 1503.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환율이 현 수준으로 거래를 마치면 작년 11월25일 이후 3개월 만에 1500원을 넘어서게 된다. 9일간 상승폭은 120원을 웃돌고 있다. 이날 환율은 3원 오른 1483원으로 거래를 시작해 1476.40원으로 밀리기도 했지만 한국의 주가 급락으로 달러화 매수세가 강화되자 1507.00원까지 상승했다. 외환시장 참가자들은 국내외 주가 약세 여파로 환율이 급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09.02.19. 21:30
“환율 도대체 어디로 가나.” 원·달러 환율이 연일 급등하면서 금융시장이 또다시 불안감에 휩싸였다. 또, 환율 전망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모습이다. 우선 18일(한국시간)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달러당 12.50원이 오른 1468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7일동안 무려 87원이 급등한 것으로 지난해 12월5일(1475.50원) 이후 최고 수준이다. 지난해 환율 최고점은 11월14일의 1513.9원 이었다. 이같은 환율 상승세는 GM, 크라이슬러 등 미국 자동차 회사들의 파산 가능성, 미국 주가 급락, 동유럽 국가들의 금융위기 확산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일단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당분간 추가 상승 압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한국의 한 증권 연구원 관계자는 “미국의 경기 부양책 효과에 대한 의문 증폭으로 미 증시가 떨어지고 유럽의 금융위기 확산 등의 우려와 함께 달러 수급이 좋아지지 않고 있어 환율이 빠른 시일 내에 안정을 찾기는 어려울 것 같다”며 “글로벌 금융 불안이 재차 확산되면서 환율이 1500원대에 진입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미주 한인들은 한국으로의 송금을 자제한 채 환율의 추가 상승 여부를 관망하는 분위기다. 신한은행 이정주 부행장은 “최근 환율이 상승세를 보이자 송금 등에 대한 문의가 크게 늘어난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지난해 말 환율이 급등했을 때 수준에는 못 미친다”라고 말했다. 우리은행 이정기 본부장도 “환율이 더 오를 수도 있다는 기대감 때문인지 한국으로 송금하는 고객이 늘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삼호관광 한 관계자는 “환율이 올랐다고 해서 갑자기 한국으로 관광을 떠나는 사람들이 눈에 띌 정도는 아니다”며 “오히려 무비자 영향으로 한국에서 관광을 오는 손님들이 더 많다”고 밝혔다. 한편 환율이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과 달리 삼성경제연구소는 지난 17일 발표한 ‘외환시장 3대 궁금점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환율 상승 현상들은 올 하반기에는 중단될 가능성이 크고 하반기 원화 환율은 달러당 1200원 이하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장열 기자 [email protected]
2009.02.18. 19:53
지난주 환율이 두 달여만에 1400원을 넘어선 데 이어 주초부터 급등하고 있다. 17일(현지시간)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3.5원 오른 1431원에 개장하고 나서 상승폭이 늘어 오후 12시30분 현재 1440원대를 보이고 있다. 환율은 정부의 직간접적인 외환시장 개입 여파로 작년 11월24일 1513원에서 작년 말 1259.50원까지 급락했다. 하지만 올해 첫 거래일인 지난달 2일 1320원대로 급반등했고 외국인의 주식 매도세 영향으로 지난주 1달러에 1400원대에 진입했다. 이처럼 원화가 약세를 보이는 이유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움직임과 유럽발 금융위기에 대한 우려 외국인의 한국 증시 이탈 등 대내외 악재가 한꺼번에 분출됐기 때문이다.
2009.02.16.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