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얼마 없다. 대부분 아흔을 넘긴 한국전 참전용사들은 하나둘씩 떠나고 있다. 얼마 남지 않은 그들은 살아있는 역사다. 문제는 우리가 그들을 ‘일회성 행사’를 통해서만 기억한다는 점이다. 매년 ‘6월 25일’ 딱 한 번, 그리고 끝이다. 지난 25일 풀러턴 힐크레스트 공원에서는 한국전쟁 75주년 행사가 열렸다. 외국 참전용사와 후손들까지 초대해 감사의 마음을 전한 의미 있는 자리였다. 행사는 잘 준비됐다. 진행도 매끄러웠다. 단, 한 가지 질문이 머릿속을 계속 맴돌았다. 이 행사가 온전히 참전용사들을 위한 자리였을까. 행사는 약 2시간 가까이 진행됐다. 단체장들의 환영사, 격려사 등이 대부분의 시간을 채웠다. 정작 참전용사들의 이야기나 소감을 충분히 들을 기회는 부족했다. 맨 앞쪽의 단체장, 행사 주최 관계자들의 자리에는 모두 각각 이름표가 마련됐다. 한인 참전유공자들의 자리는 4~5줄 뒤에 마련됐다. 의자에는 각자의 이름 대신 ‘Korean War Veteran’이 적힌 종이표만 붙어 있었다. 이름도 불리지 않는 자리. 이 행사의 주인공이 과연 누구인지 씁쓸해지는 순간이었다. 참전용사들은 반드시 기억돼야 한다. 그들이 겪은 전쟁과 의미는 후세에 전달돼야 한다. 단체장의 환영사보다, 그곳에 있던 참전용사들의 목소리가 더 중요하다. 행사는 해마다 열린다. ‘그날 하루’다. 일회성 행사로만 참전용사들을 기억한다면, 후세들은 언젠가 그들의 이야기를 잃게 된다. 참전용사들을 직접 만나고, 기록하고, 계속해서 기억하기 위한 프로젝트도 찾아보기 어렵지 않나. 참전용사 중에서는 사각지대에 놓이는 이들도 있다. 이민 온 한인 참전용사들이 그렇다. 해외에 산다는 이유로 한국서 제공하는 혜택에서 일부 소외되는 경우도 있다. 행사가 열린 풀러턴 힐크레스트 공원은 한국전에 참전한 미군을 위한 공간이다. 한인 참전용사만을 위한 추모비 같은 건 전국 어디에도 없다. 작더라도, 소박하더라도 이국땅에서 눈을 감은 한인 참전용사들을 위한 상징물도 필요해 보인다. 이날 이재학 6·25참전유공자회 서부지회장은 “우리를 위한 작은 추모비 하나라도 있었으면 좋겠다”며 “그것이 이곳에 사는 한인 참전용사들의 마지막 소망”이라고 말했다. 참전용사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을 수 있는 시간은 점점 줄고 있다. 일회성 행사만으로는 목숨을 내건 그들의 이야기를 다 듣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강한길 사회부 기자취재 수첩 참전용사 하루짜리 한인 참전용사들 한국전 참전용사들 정작 참전용사들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6·25전쟁
2025.06.26. 22:02
미주 한인들이 함께 75년 전 ‘그날’을 기억했다. 25일 풀러턴 지역 힐크레스트 공원 한국전 참전기념비에서 6·25 한국전쟁 75주년의 의미를 되새기는 행사가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는 LA총영사관, 재향군인회 미서부지회, 미남서부지회, 6·25참전유공자회 미서부지회, OC 참전기념비위원회, 화랑청소년재단 관계자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에 참석한 미 육군 40사단의 후안 모라 총참모장은 “우리 부대는 1952~1953년 전투에서 376명이 전사했지만, 우리는 다시 부르면 반드시 응답할 것이며, 자유를 지키기 위해 또다시 함께 싸울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40사단은 한국전쟁 당시 주요 전투에 참여했을 뿐 아니라 가평고등학교를 건립한 부대다. 40사단 관계자들은 지금도 매년 가평고 졸업식에 참석하며 한국과의 우정을 이어가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기념비위원회가 특별히 초청한 푸에르토리코 참전용사도 참석했다. 푸에르토리코 참전용사 이스마엘 에레디아 토레스(97) 씨는 “한국전쟁은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싸움이었다”며 “당시 푸에르토리코 출신 전우들과 함께 한국을 위해 싸운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참전기념비위원회는 푸에르토리코 참전용사 후손 6명에게 각각 3000달러씩의 장학금을, 토레스 씨에게는 3000달러의 성금을 전달했다. 장학금 수상자 대표로 감사를 전한 알라니스 델가도 세오 씨는 한인 혼혈이라 눈길을 끌었다. 그는 “할아버지는 먼 타국에서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해 싸웠다”며 “그 희생을 기억해줘서 감사하고 어머니가 한국인이라서 더욱 뜻깊다”고 말했다. 박윤숙 참전기념비위원회장은 “참전용사 후손들에게 한국이 그들을 잊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며 “참전용사들이 얼마나 위대한지 후손들에게 알려주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이날 한인타운이 포함된 LA시의회 10지구 헤더 허트 시의원이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허트 시의원의 부친인 고 도널드 허트(2007년 6월 6일 작고)가 6·25 참전용사이기 때문이다. 허트 시의원은 연설 도중 울컥하며 “돌아가신 아버지가 생각난다”고 말했다. 허트 시의원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아버지가 살아계셨다면 지금 이 자리에 계신 참전용사들과 비슷한 연령”이라며 “한국전 참전용사들의 투지를 보니 감회가 새롭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허트 시의원은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에게서 ‘자유’와 ‘민주주의’의 가치를 배우며 자랐다”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에서는 LA총영사관 관계자들을 비롯한 튀르키예, 캐나다, 태국 등 유엔 참전국 외교관들도 참석했다. 시난 쿠줌 튀르키예 총영사는 “우리는 미국 다음으로 많은 병력을 한국에 보냈다”며 “한국은 우리의 혈맹”이라고 강조했다. 이재학 6·25참전유공자회 서부지회장은 “우리와 함께 싸운 참전용사들에게 깊은 경의와 감사를 드린다”며 “이국 땅까지 와서 피를 흘린 우방 전우들의 희생을 우리는 결코 잊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참전용사들의 고령화로 하나둘씩 세상을 떠나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도 있었다. 참전용사인 로만 모랄레스(92) 씨는 “우리를 잊지 않아줘서 감사하다”며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노병은 죽지 않는다. 다만 사라질 뿐’이라고 말했는데 나 역시 지금 서서히 사라지는 중”이라는 말을 남겼다. 강한길 기자한국전쟁 행사 한국전쟁 당시 한국전쟁 75주년 박윤숙 참전기념비위원회장 6·25전쟁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참전용사 유엔 참전국 민주주의
2025.06.25. 19:56
(1) 사라지는 노병과 조직 (2) 한국 전우들의 현주소 (3) 한미 보훈 당국 대책은 75년 전 6·25에 참전했던 한인 참전용사들, 삶의 터전을 미국으로 옮긴 그들은 지금 어떤 모습일까. 2019년 남가주에만 한인 6·25 참전용사가 1200명 이상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 숫자는 현재 약 150명으로 줄었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특히 고령화로 최근 5년 동안 유명을 달리한 숫자가 급격하게 늘었다. 요즘도 매달 3~5명씩 세상을 떠난다는 안타까운 소식이다. 지난 21일 LA 새한교회에서 열린 ‘6·25 한국전쟁 75주년 행사’ 현장. 6·25 참전 유공자회(회장 이재학), 육군협회(회장 최만규), 6·25 기념사업회가 주최한 행사였다. 하지만 이날 참석한 한인 참전 유공자는 16명에 불과했다. 지난해 20명 이상 참석했지만 올해는 숫자가 또 줄었다. 미국 파견 근무중 이날 행사에 참석한 강지원 대한민국 육군 중령은 “참전용사는 원래 행사에 초청받아야 하는 분들인데, 본인들이 직접 사람을 부르고 행사를 준비하는 현실이 너무나도 안타깝다”고 말했다. 참전용사들은 이제 행사 참석조차 쉽지가 않다. 대부분이 90세를 넘겼고, 일부는 행사장까지의 이동 수단이 없어 참석을 포기하고 있다. 행사 현장은 더욱 쓸쓸했다. LA 한인회, LA 한인상공회의소 등 주요 한인 단체에도 초청장을 보냈지만 대부분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최만규 육군협회 회장은 “요즘 한국전쟁은 한인 사회에서도 ‘옛날 이야기’처럼 취급된다”며 “한인 단체들도 관심을 끊었다. 누가 알려주지도 않고, 누가 기억하지도 않으니 전체가 무관심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렇게 가면 정말 한국전쟁은 잊힌 전쟁이 될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학도병으로 6·25에 참전했던 이재학 회장은 “미국에서는 길에서 ‘Thank you for your service(나라를 지켜줘 감사하다)’라고 인사해 주는 사람이 꽤 많았다. 하지만 한인에게서는 그런 인사를 받아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감사 인사까지 바라는 건 아니지만 조국을 위해 싸웠는데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 같아 서운할 때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 정부는 해외 거주 한인 참전용사에게도 월 45만원 상당의 참전 명예수당을 연 1~2회 일괄 지급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한인 용사들은 한국 주소가 없어 지방자치단체의 추가 지원은 받을 수 없다. 일부 지역은 최대 60만원까지 추가 지급하고 있으나, 해외 거주자는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이다. 또 한국의 보훈병원 진료와 각종 의료 혜택도 받을 수 없다. 한국 정부와 한인단체의 무관심, 차세대 대상 교육의 부재, 사회적 거리감이 맞물리며 이들을 잊어가는 속도는 더 빨라지고 있다. 참전용사 강영근(90) 씨는 “1952년 국경선을 넘던 날, 비가 억수같이 쏟아졌고, 전우들은 거의 다 죽었다. 이제는 나이가 많고, 이렇게 모일 날도 얼마 남지 않았다”며 “배려와 관심이 절실하다”고 눈시울을 붉혔다. 한인 참전용사들에 대한 배려와 처우는 너무나 열악하다. 6·25가 잊힌 전쟁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처럼 한인 참전용사들이 ‘잊힌 영웅’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몫이다. 관련기사 무관심에 방치된 고령의 전쟁 영웅들 강한길 기자 [email protected]참전용사 시리즈 한인 참전용사 한국전쟁 참전 요즘 한국전쟁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6·25전쟁
2025.06.23.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