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한국적인 정서인 ‘한(恨)’의 역사적인 발전과 변화 및 의의를 탐구하고 그것이 개인의 경험과 집단적 기억 속에서 어떻게 시각화될 수 있는지를 고민합니다. 제 작업 속에서 등장하는 식물은 단순한 자연 이미지가 아니라, 상실과 애도를 은유하는 장식적이고 감정적인 오브제로 기능합니다.” 지난 6월 뉴저지주 리버에지 Art Pan 갤러리에서 ‘Starstretched’를 주제로 개인전을 가져 주목을 받은 김기민 작가는 자신의 작품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김 작가는 드로잉 위주의 작업을 모아놓은 아카이브 형식의 Art Pan 갤러리 전시에 대해 “드로잉은 내 작업의 중요한 기반이자 회화적 사유의 출발점으로 기능해 왔기에 그동안의 과정을 돌아보는 자리로 기획했다”며 “기존의 작업과 함께 새롭게 제작한 반복되는 선과 구성 속에서 감정과 기억의 밀도를 탐구한 작품들을 출품했다”고 밝혔다. 그는 작품의 형식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회화(유화)와 드로잉을 주 매체로 사용하지만, 최근에는 우드 패널을 여러 개 결합하거나 해체하는 방식을 통해 회화의 물리적인 면을 확장하는 실험도 하고 있다”며 “드로잉은 특히 즉각적인 감정적인 반응을 담을 수 있는 매체로, 반복되는 선과 손의 움직임이 감정의 흔적을 만들어낼 수 있기에, 완성된 결과물 이전에 감정의 흐름과 사유의 과정을 담는 중요한 형식이자 회화로 확장될 수 있는 통로로도 작동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작가는 이러한 작품들이 자신이 갖고 있는 작가로서의 창작활동에 대한 신념에서 도출된 것이라는 입장이다. “회화 작업은 제 감정이나 사유를 가장 밀도 있게 전달할 수 있는 언어 방식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여러 감정의 층위나 기억 또는 사회적 맥락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감정들을 시각적으로 구조화할 수 있는 점이 가장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 또한 작가로서의 창작활동은 끊임없이 자신을 들여다보고 고민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작업을 통해 사유하고, 때로는 그 사유 자체를 질문하는 일이 반복되는 삶의 일부입니다.” 로드아일랜드 디자인스쿨을 졸업하고, 그동안 다수의 개인전과 그룹전에 참가하며 뉴욕을 중심으로 활동해 온 김 작가는 앞으로 한국에서의 활동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뉴욕에서 작업 및 전시 활동을 하면서 다양한 그룹전에 참여하고, 최근에는 아티스트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입주를 앞두고 있어 보다 집중적인 작업 활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첫 개인전 ‘수풀너울’ 등 전시를 가졌는데, 앞으로도 뉴욕과 한국 양쪽을 중심으로 꾸준히 활동 영역을 확장해 나갈 예정입니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한(恨)’의 시각화 김기민 작가 Art Pan 갤러리 김기민 개인전 Starstretched 수풀너울 김기민 드로잉
2025.07.02. 17:47
뉴욕을 중심으로 활발한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한인 작가 김기민이 오는 20일부터 27일까지 뉴저지주 리버에지에 위치한 Art Pan 갤러리(Art Pan Gallery: 10 Elizabeth St. Ste #302A, River Edge, NJ 07661)에서 개인전 ‘Starstretched’을 개최한다. 관람 시간은 월~토요일 오전 10시~오후 4시(일·공휴일 휴무). 이번 전시에서 김 작가는 회화적 탐색과 즉흥성이 응축된 드로잉 작업에 주목한다. 전시는 드로잉을 하나의 아카이브 형식으로 구성해, 작가의 실험적 접근과 자유로운 표현이 응집된 작업들을 선보인다. Art Pan 갤러리는 “드로잉은 김기민 작가에게 있어 회화로 확장되기 이전의 ‘원형’이자, 독립적 매체로서의 정체성을 지닌다”며 “작가의 작업은 식물의 은유적 상징성, 역사적 기억, 그리고 의례화된 슬픔의 탐색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전개된다. 김기민은 꽃이 문화적 기억의 그릇이자 애도의 은유로 작용하는 복합적인 역할에 주목하며, 이는 한국 정서의 구조적 특성인 ‘한(恨)’의 복합성과도 깊게 연결된다.”고 소개했다. 이어 Art Pan 갤러리는 “그는 20세기 한국 시선집에 나타나는 문학적 은유를 바탕으로, 회화를 안도와 회복을 향한 직관적인 행위로 해석한다. 선 긋기와 붓질은 슬픔과 치유, 문화적 기억에 대한 정서적 공명을 탐색하는 하나의 의례적 행위로 확장된다”며 “그는 이 과정에서 한국의 무속 의례·장례 풍습·꽃잎으로 시신을 감싸던 고대 장묘 전통 등을 참조하며, 회화 속 등장하는 주체들을 상징적 그릇이자 의례적 오브제로 다룬다. 이번 개인전 ‘Starstretched’는 디지털 기술과 속도의 시대 속에서, 회화라는 느리고 물리적인 행위를 통해 감정·기억·문화적 유산을 다시 바라보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평했다. 김 작가는 로드아일랜드 스쿨오브디자인을 졸업하고 한국과 미국에서 수차례 개인전을 열었는데, 올해 NARS(New York Art Residency and Studios Foundation ) 레지던시 작가 초청을 받아 활동할 예정이다. 전시 문의 및 참조: [email protected]/www.artpan.us 박종원 기자김기민 작가 Art Pan 갤러리 개인전 김기민 작가 Art Pan 갤러리 Art Pan Gallery 김기민
2025.06.18. 1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