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에어캐나다 승무원들이 새 계약안에 대한 투표에서 항공사의 임금안을 대규모로 거부했다. 지난 9월 6일(토) 종료된 투표 결과, 연합 소속 승무원의 99.1%가 임금안을 반대했다. 이에 따라 항공사는 양측 합의에 따라 임금 부분을 조정(mediation) 절차로 넘길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정·중재 절차 돌입 에어캐나다 측은 성명에서 “CUPE와 에어캐나다는 이번 잠정 합의안이 가결되지 않을 경우 임금 부분을 조정하고, 조정에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중재(arbitration)절차로 넘기기로 상호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노동 분쟁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파업이나 직장폐쇄는 없고 항공편은 정상 운항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금 제외 대부분 조항 유지 캐나다 공공노조(CUPE) 소속 에어캐나다 승무원들은 임금을 제외한 대부분의 조항은 새 단체협약에 포함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번 투표에서 부결된 잠정 합의안은 지난달 항공사 파업을 종식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승무원 임금 인상과 항공기 지상 근무 시간에 대한 급여 체계를 포함하고 있었다. 승무원 임금은 올해 대부분의 신입 승무원 12%, 경력 승무원 8% 인상안이 포함되었으며, 이후 몇 년간 소폭 인상도 계획됐다. 투표는 8월 27일부터 1만 명 이상 회원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투표율은 99.4%에 달했다. 파업 종료와 정부 역할 논란 지난 8월 진행된 3일간의 파업은 8월 19일 패티 하이두 연방 노동부 장관의 개입으로 끝났으며, 수천 명 고객의 여행 일정에 차질을 빚었다. CUPE는 성명을 통해 “연방 정부는 이번 협상에서 중립을 지켜야 했지만, 오히려 승무원 임금을 억제할 수 있도록 에어캐나다에 힘을 실어 주었다.”고 비판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캐나다 에어캐나다 승무원 CUPE 협상안
2025.09.11. 6:27
나흘간의 파업, 임시 합의로 종료 에어캐나다와 승무원 노조가 연방 중재인의 조정 끝에 임시 합의에 도달하면서 지난 토요일 시작된 파업에 마침표를 찍었다. 이번 합의안은 캐나다공공근로자노조(CUPE) 소속 승무원 1만여 명에게 회부될 예정이다. 항공사는 화요일 저녁부터 점진적으로 운항을 재개할 계획이나, 항공기와 승무원의 위치가 제각각인 탓에 완전 정상화까지 7~10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급노동 중단•임금권 보장 노조는 이번 합의를 통해 비행기가 지상에 있는 동안 승무원에게 급여가 지급되지 않는 관행을 없애고, 헌법이 보장한 임금 협상권을 지켜냈다고 강조했다. CUPE는 이를 “산업의 획기적 변화”라고 평가하며 “회원들의 임금 투표권이 보장됐다”고 밝혔다. 연방정부 개입과 갈등 파업 첫날 캐나다 정부는 노동법 107조를 발동해 노사 양측을 강제 중재에 회부했으며, 연방 노동위원회는 승무원들에게 복귀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노조는 이에 불응하며 협상 테이블에서의 해결을 고수했고, 지도부는 “구속이나 벌금도 감수하겠다”며 강경 입장을 보였다. 결국 항공사와 노조는 8월 18일 월요일 밤 협상을 재개했고, 화요일 새벽 4시30분 합의안에 서명했다. 대규모 항공편 차질 파업 기간 동안 약 50만 명의 승객이 항공편 취소로 불편을 겪었다. 에어캐나다는 당분간 일부 항공편 취소가 불가피하다고 밝히며, 취소 승객에게 전액 환불, 향후 여행을 위한 크레딧, 또는 타 항공사로의 재예약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고객들에게는 “운항이 확정된 예약 승객만 공항으로 이동할 것”을 당부했다. 노동계, 정부 개입 비판 캐나다노동회의는 이번 합의에 대해 “노동법 107조를 이용해 협상을 피하려 했던 회사들이 큰 타격을 입었다”며, “이번 일로 이 조항은 더 이상 믿을 만한 수단이 아님이 드러났다”고 말했다. 노조는 정부의 개입을 “헌법이 보장한 노동자의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비판하며, 앞으로는 협상에서 노동권이 더 강하게 지켜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에어캐나다 파업 파업 기간 CUPE
2025.08.19. 1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