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취재 수첩] 맥도넬 LAPD 국장이 LA판 사또인가

지난 25일 LA총영사 관저, LA경찰국(LAPD) 짐 맥도넬 국장 취임 축하 리셉션이 열렸다. 한인 단체장 중심으로 마련된 이 자리엔 200여 명이 참석했다.   시종일관 웃음꽃이 핀, 화기애애한 분위기였다. 김영완 LA총영사, 강일한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미주 부의장, 이창엽 올림픽경찰서후원회장, 정상봉 LA 한인상공회의소 회장, 알렉스 차 LA한인축제재단 회장 등이 무대에 올라 축사를 했다. 칭찬과 격려 일색이었다.     하지만, 있어야 할 뭔가가 없었다. 한인타운 치안 문제와 한인 사회의 사각지대를 해결하기 위해 LAPD가 더 노력해 달라는 당부와 제안 말이다. 요즘 LAPD에 대한 여론은 부정적으로 기울고 있다. 참석한 한인들은 그런 분위기를 모르는지 맥도넬 국장 앞에서 칭송 일색이었다. 물론 축하연에서 불편한 목소리를 내는 게 쉽지 않았겠으나, 한인 사회의 대표급 인사라면 할 말은 해야 하는 것 아닌가.   LAPD는 현재 막무가내식 공권력 행사로 도마 위에 올라 있다. 최근 보일 하이츠에서 20대 청년 제러미 플로레스가 차 안에서 장난감 총을 갖고 있다가 LAPD 경관들에게 총격으로 목숨을 잃었다. 그는 정신질환자였다.     이 사건은 지난해 5월 한인 사회를 충격에 빠뜨렸던 양용 사건과 너무도 흡사하다. 제2의 양용 사건이 또 일어나지 말라는 법이 있나. 양용에 총을 쏜 LAPD 올림픽지서의 안드레스 로페즈 경관은 아무런 징계도 받지 않고 실탄을 장전한 총을 차고 한인타운을 활보하고 있다. 축하연에 모인 한인들에게 이건 아무렇지도 않은 에피소드인가.   심지어 LAPD는 언론을 향해서도 총구를 겨눴다. 지난 6월 LA 한인타운에서 벌어진 불법 체류자 단속 항의 시위를 취재하던 본지 김상진 기자는 LAPD 경관에게 고무탄을 맞고 길바닥에 쓰러졌다. 당시 수많은 언론인이 취재 현장에서 LAPD의 고무탄에 맞았다. LAPD는 현재 언론인들로부터 피소된 상태다.   공권력을 존중하는 건 시민의 상식이자 의무다. 단, 상호존중이라는 대전제하에 성립하는 말이다. 지금까지 한인이 소수계로서 공권력의 존중을 받아 왔나. 이에 ‘그렇다’고 누가 자신 있게 답할 수 있겠나. LAPD는 물론이고, 한인 사회의 대표를 자처하는 단체장들도 이 문제에 대해 깊이 자성해야 한다.   취재기자로서 맥도넬 국장에게 공권력 논란에 대해 직설적으로 질문했다. 그는 “LAPD는 다른 어느 미국 경찰 조직보다 철저히 조사·검증하고 있다”며 “물리력이 사용되는 경우는 2% 미만, 총격이나 병원 치료가 필요한 중대한 사례는 1% 미만”이라고 답했다.   원론적인 변명이지만, 질문에 슬쩍 감사의 뜻을 표했다. 불편한 이슈라 해도 언제든지 논의할 준비는 돼 있다고 내비친 셈이다.   더 본격적으로 달려들어야 할 한인 사회 지도급 인사들은 칭송의 말 잔치만 이어갔다. 한인 사회에게 맥도넬 국장이 LA판 사또라도 되나. 듣기 좋은 말만 해주다간 한인 사회는 계속 사각지대에 놓일지 모른다. 나중에 자업자득이라는 푸념이라도 안 하려면 지금부터라도 상호존중과 건강한 긴장감을 유지해야 한다. 김경준 기자취재 수첩 국장 la판 한인타운 치안 한인 사회 한인상공회의소 회장

2025.08.26. 22:01

썸네일

LA판 글로리 “합의금 줬다” vs “받은 적 없어”

토런스에서 발생한 학교 폭력 사건에 연루된 양측이 상반된 주장을 펼치며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가해자 측은 졸업파티 사건 후 사과와 합의금 지급으로 문제를 해결했다고 주장하지만, 피해자는 이에 대해 전혀 동의하지 않으며 사과나 합의금을 받은 적이 없다고 반박하고 있다.   지난달 말,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 ‘미시USA’에 30년 전 토런스 웨스트고등학교에서 학교 폭력 피해를 봤다는 주장〈본지 9월 3일자 A1면〉이 제기된 이후 약 2주가 지났지만, 논란은 여전히 가라앉지 않고 있다. 특히 지난 5일부터는 가해자 측 지인들의 주장을 인용한 글들이 연이어 올라오며 사태는 더욱 복잡해졌다.     관련기사 30년 전 학폭 폭로…‘LA판 더 글로리’<넷플릭스 드라마> 일파만파 'LA판 더 글로리' 경찰에 신고…수사하나 LA판 더 글로리, 이젠 반응 충돌…‘학폭 얘기 이제 그만’ 조회 1위 8일 올라온 게시글에서 한 누리꾼은 “가해자 중 1명인 김모씨는 ‘학폭의 주동자는 맞으나 당시 피해자에게 합의금을 지급하고 사건을 마무리했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김씨의 아버지가 피해자 측과 만나 돈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익명을 요구한 가해자 측 지인 A씨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당시 가해자들의 부모들이 함께 사과했다고 들었다”며 “현재 가해자 측에서 피해자에게 연락을 시도하고 있으나 잘 닿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일부 가해자들은 변호사를 선임해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라고 전했다.   피해자는 가해자 측의 주장을 강하게 반박했다. 그는 “가해자 부모로부터 어떠한 사과도 받은 적 없으며, 합의금을 지급받은 사실도 없다”고 밝혔다. 피해자의 말에 따르면, 지인 1명이 피해자와 가해자 부모들의 만남을 주선했으나, 가해자 측에서는 김모씨의 아버지만 참석했다.   피해자는 “한 가해자가 머리를 바닥에 박으며 죄송하다는 말을 반복하다 결국 쓰러졌다”며 “당시 이를 본 어머니는 어찌할 수가 없으셨다고 했다. 당시 엄마의 삶도 힘들어 ‘같이 참자’는 식이었다, 하지만 내가 이리 오랜 고통 속에 살 거란 건 모르셨다”고 말했다.     그는 어머니에게 졸업파티 사건 외에도 2년간 구타를 당한 사실을 숨겨왔다고 덧붙였다.   어머니는 딸의 치료를 위해 김씨의 아버지가 준 돈을 받았다고 피해자는 전했다. 눈 상태가 심각해 병원을 방문했을 당시, 의사로부터 구타 여부에 대한 질문을 받을 정도로 상태가 좋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그는 폭행 이후 2주 동안 학교에 가지 못했으며, 멍이 가라앉지 않아 얼굴과 몸을 화장으로 가리고 학교에 갔다고 전했다.     또 그는 “머리를 감을 때 물이 닿기만 해도 머리가 너무 아파 비명을 질렀으며, 신경 안정제를 복용하지 않으면 잠을 잘 수 없어 하루에 6알씩 먹고 24시간 동안 깨어나지 못한 적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피해자는 “가해자 부모들의 얼굴을 본 적도 없고, 제대로 된 사과도 받은 적 없다”며 “당시 나와 다른 피해 학생의 상태를 보면, 치료비라 받은 돈을 합의금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피해자는 가해자들의 진심 어린 사과를 원한다고 밝혔다.     “그들도 이제는 성인이니 예전과는 달라졌을 것이라 믿는다”며 “하루빨리 모든 일이 해결되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장수아 기자 [email protected]합의금 la판 합의금 지급 토런스 웨스트고등학교 가해자 부모들

2024.09.09. 20:21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