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 주요 식품 2021~22년 비교] 계란 지난해 보다 두 배 껑충 대부분 두 자릿수 이상 올라 수입 김치·과자류는 내리기도
7월 들어 식품 가격 인상이 멈추지 않고 있는 가운데 시온마켓 버몬점에서 한국산 수입 김치 대폭 할인 이벤트를 개최한다. 김상진 기자
표
고물가에 식품가격이 전반적으로 올랐다.
본지가 실제로 물가 상승률을 알아보기 위해 한인들이 선호하는 쌀, 계란, 두부, 된장, 파, 삼겹살, 양념 LA갈비, 소주, 라면, 과자 등 10개 식품의 한인마켓들 지면 광고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5월보다 세 자릿수 증가율을 보인 것은 계란으로 100.33%나 껑충 뛰었다. 그 뒤를 이어 라면과 과자(50.13%), 쌀(40.04%), 두부(40%), 파(25%), 양념 LA갈비(18.2%), 소주(16.72%), 된장(14.31%), 삼겹살(9.11%) 순으로 나타났다.
7월 초 기준 지난 5월 식품 가격과 비교에서는 거의 한 달 만에 계란(33.39%), 파(32%), 과자(16.69%), 소주(14.33%) 가격이 인상됐다.
특히 서민 술인 소주 가격은 한 병에 3.49달러에서 3.99달러, 막걸리도 2.99에서 3.99달러로 또다시 인상됐다.
팬데믹 이전 세일하면 20kg에 8.99달러에 판매하거나 일정 금액 이상 구입하면 증정하던 쌀도 한 달 사이 1달러가 더 오른 14.99달러에 판매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날씨와 인력난으로 새크라멘토에서 쌀 생산이 급감하면서 가격 인상이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계절식품으로 가장 인상 폭이 큰 대표적인 식품은 냉면이다. 2인용 냉면이 3.99달러였지만 올해 5.99~6.99달러로 2배 정도 인상됐다.
4인용 냉면도 5.99달러에서 10.99달러로 큰 폭으로 올랐다.
냉동만두 역시 평균 2달러씩 올랐다. 600g 기준 냉동만두는 평균 6.99달러였지만 8.99달러로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