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본지 공식지지 후보 7명] 결전의 날…한인 후보들 선전 기대

Los Angeles

2022.11.07 20:10 2022.11.08 11:23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영 김·미셸 스틸 재선 기대감
데이비드 김 막판 돌풍에 관심

릭 카루소 ‘추격에서 경합으로’
최석호·유수연·써니 박도 전력
본지는 오늘 결전에 오른 한인 후보들과 한인타운이 위치한 LA의 시장 후보를 지지 선언한 바 있다. 지역 살림과 한인을 포함한 주민들을 대표해 올곧은 정치를 펼칠 수 있는 후보들이다. 쉴 새 없이 뛰어온 이들이 어떤 성적표를 한인사회에 내놓을지 주목한다. 해당 후보들의 면면을 확인한다.
 
영 김·연방하원 40지구
 
가주 하원을 거쳐 연방에 올랐다. 후보 스스로 의원 보좌관으로 일하던 지역구에서 초선 2년을 보냈으며 바뀐 지역구에서 재선을 노리고 있다. 김 의원은 늘어나는 범죄에 불안해하고 있는 것에 대해 국경 통제와 지역과 연방의 검경 협력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초선과 달리 재선 후엔 한미 외교 문제에도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셸 박 스틸·연방하원 45지구
 
‘미국 내 가장 다양한 유권자층’이 있는 45지구에는 중국과 베트남계 주민들이 많다. 따라서 이념적인 바탕이 표심을 움직일 수 있다. 유력지인 OC레지스터지의 공식 지지를 받는 박 후보는 뉴욕타임스(NYT) 표현대로 ‘아시안’의 선택을 기대하고 있다. 역시 그가 재선에 성공하면 소수계 비즈니스 지원 측면에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데이비드 김·연방하원 34지구
 
‘젊은 진보’를 원동력 삼은 김 후보는 예선에서 39%가량 득표하며 현직인 고메즈(51% 득표)를 위협했다. 두 번째 도전이라 지역 한인과 주민들이 그를 잘 기억하게 됐다. 조직력, 자금력에서 라틴계 현역을 상대하는 것이 힘들었지만 마음껏 득표활동을 했다. 2년 전 첫 도전에서 본선 결과는 고메즈 53%, 김 후보 47%였다. 한인들의 관심과 참여가 절실한 지역구다.  
 
릭 카루소·LA 시장
 
남가주에서 가장 큰 쇼핑몰 두 곳을 소유한 그는 이미 1억 달러를 캠페인에 쏟았다. 그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LA는 그럴 가치가 있으며 나와 우리 가족에게 모든 것을 준 곳”이라고 설명했다. 예선에서 얻은 23만여 표(36%)에 5만~6만표 이상을 최소한 더 얻어야 한다. 경기 회복과 홈리스 문제 해결을 위해 특단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믿음이 커지면서 두 자리 숫자 차이의 지지율은 9월 중순부터 ‘경합’이 됐다.  
 
최석호·가주하원 73지구
 
공화당 지지세가 줄어든 지역구에서 힘겨운 선거를 치렀다. 막강한 조직력으로 맞서고 있는 상대 후보 코티 페트리-노리스는 무려 100만 달러 넘게 모금했다. 최 의원은 출신 지역인 어바인과 터스틴의 아태계, 공화당 가치를 존중하는 그룹, 코스타메사의 신규 지지세력을 최대한 규합해내기 위해 노력했다. 최 의원은 한인으로는 최초로 가주 하원 4선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유수연·가주 하원 67지구  
 
4선에 도전하는 현역 의원에 맞서고 있는 유 후보 캠프는 현직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와 공화당 가치를 존중하는 유권자들의 표심이 집중된다면 ‘이길 수 있는 싸움’이라고 보고 있다. 교육위원과 위원장 경험으로 소수계 학부모와 주민들의 민심을 잘 알고 있어 새크라멘토 의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것이라며 캠페인을 펼쳐왔다.  
 
써니 박·OC 수퍼바이저 4지구
 
예선에서 현역을 누른 박 후보는 가장 높은 득표율(35.8%)을 보였다. 물론 현직 덕 채피 후보가 3위로 탈락한 공화당 후보도 31%를 얻어 채피와 손을 잡았다. 부에나파크에서 시의원과 시장을 거친 박 후보는 당선 시 4지구 지역구에서 라하브라, 브레아, 풀러턴, 부에나파크, 애너하임, 플라센티아 등을 대표해 카운티 살림을 이끌게 된다.    

최인성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