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총영사관은 한인사회의 여론 추이를 지켜보며 예산 지원을 비롯한 각종 보존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는 것을 처음 공개했다.
그 사이 개발회사는 철거를 위해 LA시정부에 신청 작업을 진행 중이었다. 시간이 촉박했다. 보존위 측은 단소를 지키기 위해 LA시에 사적지 지정을 위한 요청서를 제출하기로 했다.
동시에 개발업체와 미팅을 갖고 단소 보존의 중요성을 전달하고 철거 불가 및 재매입의 필요성을 주장하기도 했다.
정치인들도 나섰다. 존 이 LA시의원을 비롯해 단소가 있는 LA시 8지구의 마퀴스 해리스-도슨 시의원도 잇따라 단소의 사적지 지정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며 보존 여론에 힘을 보탰다.
목소리가 높아지자 LA시도 가만히 있을 수는 없었다. LA시 관계자들이 단소 건물을 방문, 사적지 지정 검토에 필요한 사진 촬영 등 사전 조사 활동을 펼쳤다. 〈본지 2021년 6월 18일자 A-1면〉
흥사단 단소 보존은 한국 청와대 국민청원에도 올랐다. 한인들은 2021년 6월 ‘흥사단 구 단소 구하기’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도움을 호소하기도 했다. 온라인 청원사이트 ‘체인지(change.org)’에서도 단소의 사적지 지정을 위한 서명운동이 진행돼 1500명 이상이 동참했다.
결국 LA시는 사적지 지정을 위한 공청회를 열었다. 2차까지 진행된 공청회에는 한인사회 관계자들이 대거 나서 보존의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알렸다.
이 과정에서 사적지 요건 불충분, 개발의 필요성 등 개발회사 및 일부 지역 주민들의 반대도 있었지만, 사적지 지정건은 계속 통과됐다.
물론 난항을 겪기도 했다. LA시가 팬데믹을 이유로 3차 공청회를 무기한 연기하면서 사적지 지정 무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기도 했다. 〈본지 2022년 8월 11일자 A-1면〉
공청회는 계속 연기됐지만, 흥사단 등 유관단체들은 막후에서 한국 정부에 계속해서 매입을 탄원했다. 개발 업체도 한인사회의 여론을 의식, 흥사단 측에 건물 인수를 제의했고 국가보훈처가 나서 직접 협상을 진행하게 됐다.
결국 국가보훈처는 “일제 강점기, 미주 독립운동의 거점이었던 단소를 재개발에 따른 철거를 막고, 독립운동사적지로서 보존하기 위해 1월 31일 최종 매입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국가보훈처는 “한인사회와 단체, 한국 정부의 노력으로 단소가 대한민국 품에 안기게 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