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보따리를 하나씩 들고 무조건 피난길에 나섰다. 산보라도 가는 줄 알고 좋아하던 동생들도 이제 다 노인이 되었다.
피난길에 찾은 감자밭에는 많은 사람이 몰렸다. 아버지도 밭에 들어가 감자 몇 가마니를 사면서 감자밭 주인과 이야기를 하시더니 밭 주인의 문간방을 빌렸다. 그곳에서 우리 가족은 피난 생활을 시작했다. 온 식구가 방 한 칸에서 마치 뗏목같이 누워 자던 모습도 눈에 선하다.
곧 집으로 돌아갈 줄 알았건만 어느새 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이불이 필요했지만 오빠는 입대했고 동생들은 어리다 보니 내가 집에 이불을 가지러 갈 수 밖에 없었다.
한강 다리는 이미 폭파되었으니 용산구 서계동에 있던 우리 집에 가려면 나룻배를 타고 강을 건너야 할 형편이었다. 집에 들려 부랴부랴 이불 보따리를 꾸려 집을 나섰다. 서둘러 한강가에 왔지만 벌써 해가 저물어 내가 타야 할 나룻배가 보이지 않았다. 그런데 저 언덕 밑에 보이는 배가 마지막 배라고 누군가가 일러 주었다. 죽을 힘을 다해 가까워 보이는 비탈길을 택해 배 가까이에 이르니 사람을 가득 태운 배는 이미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 배를 못 타면 여기서 죽겠구나’라는 생각에 가슴은 방망이질을 했다.
‘하나님 저 배를 타게 해 주세요’라고 속으로 울부짖었다. 그리고 이불 보따리를 배에 힘껏 던졌다. 배는 마구 요동쳤다. 그러자 배에 탄 사람들은 내게 욕을 퍼붓기 시작했다. 나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서 있었다. 그런데 내 행동을 본 그들이 큰 소리로 웃더니 내 자리를 마련하고는 어서 올라타라고 하는 것이 아닌가.
무서운 광야에서 절박한 순간에 드렸던 나의 짧은 기도를 들어 주셨던 신실하신 하나님을 90줄에 들어선 지금도 두근거리는 심정으로 감사하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