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여름 '핫틀랜타'로 불리는 애틀랜타의 기온이 해를 지날수록 높아지며 주민들의 건강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애틀랜타 저널(AJC)은 최근 '기온 오르며 건강 위험도 상승'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한가지 확실한 사실은 사람들이 더위와 습도가 치명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모른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애틀랜타는 거의 5년 만에 처음으로 100도를 기록하는 등 기후 변화를 실감케 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는 매년 더위로 인한 사망자가 전국적으로 약 1200명에 달하지만 실제 사망자 수는 훨씬 더 많을 수 있다고 밝혔다.
조지아 보건부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22년까지 조지아에서 205명이 온열 질환으로 사망했다. AJC가 입수한 통계에 따르면 지난 14년간 온열 질환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 횟수는 3만5000건 이상 보고됐다. 응급실 방문 환자 중 55.7%는 백인, 38%는 흑인이었다. 매체는 “미국 인구의 약 31%가 흑인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비례적으로 높은 수치”라고 분석했다. 또 앞으로 온열 질환 사망자는 갈수록 늘어날 전망이다.
또 AJC가 지난 5년간의 부검 보고서를 검토한 결과,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에서 열사병으로 사망한 사람 중 노숙자, 더위 속을 떠돌아다닌 치매환자, 실외에서 마당일을 하던 노인, 더운 차에 남겨진 어린아이 등이 파악됐다.
야외에서 일하는 노동자, 대중교통 이용자, 노숙자 등 소외계층에게는 더위 경고를 받더라도 더위를 피할 수 있는 선택권이 거의 없다는 점도 지적됐다. 또 소외 계층은 에어컨이 없는 열악한 환경에서 거주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브라이언 스톤 주니어 조지아텍 교수는 “기온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보고하는 기상관측소가 너무 적다”고 지적했다. 지역마다 8~20도씩 기온이 차이가 날 수 있는데, 이를 분석해서 보고하는 관측소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애틀랜타 공항에 있는 기상관측소 한 곳에서 측정된 기온만을 안다면, 다른 지역과 상대적으로 더운 일부 도시 열섬 지역에서는 열 위험에 대비할 수 없다.
스톤 교수는 이어 최근 몇 년간의 온난화 추세가 지속된다면, “애틀랜타는 약 15년 안에 87도의 습구 온도(Wet-bulb temperature)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습구 온도란 온도, 습도 등의 기타 요인의 조합이 너무 강해서 젊고 건강한 사람이 야외에서 가벼운 활동을 한 시간만 해도 열사병에 걸릴 수 있는 온도를 말한다.
스톤 교수는 “이런 환경에서는 쓰레기 수거도 안전하게 못 할 것. 건설 작업도 할 수 없어 도시가 폐쇄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