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주, 교내 스마트폰 사용 금지 확정
호컬 주지사, “2025~2026학년도부터 정책 시행 시작”
1350만불 예산 투입, 잠금 파우치 및 보관함 구입에 사용
각 학교, 부모와 연락 가능한 비상 연락 체계 마련해야
6일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2025~2026학년도가 시작하는 9월부터 교내 스마트폰 사용을 금지하는 ‘벨 투 벨(Bell-to-Bell)’ 정책을 시행한다”며 “이제 뉴욕주는 수업 시간 내내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하는 최대의 주가 됐다”고 전했다.
이는 지난달 말 호컬 주지사와 뉴욕주의회가 한 달 간의 줄다리기 끝에 2025~2026회계연도 예산안에 잠정합의한 데 따른 것으로, 예산안에는 호컬 주지사가 추진하던 교내 스마트폰 사용 금지 정책이 포함됐다. 뉴욕주는 다음 회계연도에 교내 스마트폰 사용 금지 정책을 위한 자금 1350만 달러를 투입하기로 했으며, 이 자금은 잠금 파우치 및 스마트폰 보관 사물함 구입 등 각 학교의 스마트폰 보관 방법 마련을 위해 쓰일 전망이다.
이에 따라 K-12 학생들은 수업 및 점심시간, 자율학습 시간 등을 포함해 시작 종이 울릴 때부터 하교 종이 울릴 때까지 교내에서 스마트폰 및 태블릿, 스마트워치 등 인터넷에 연결되는 개인 기기를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다.
학교는 하교 때까지 스마트폰을 보관할 수 있는 자체 계획을 개발해야 하며, 필요할 경우 학부모가 자녀와 연락할 수 있도록 비상 연락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뉴욕주 내 모든 공립교 및 차터스쿨을 대상으로 하는 이 정책은 학생들의 학습 집중력 향상과 정신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하며, 호컬 주지사는 이를 통해 ▶사이버 괴롭힘 감소 ▶학업 성취도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다만 의료적 필요가 있거나 학업 목적의 언어 번역이 필요한 학생 등 예외적인 경우에는 사용이 허용되며, 인터넷 기능이 없는 휴대폰은 사용 가능하다. 또 개인 기기가 아닌 학교가 수업을 위해 제공하는 노트북, 태블릿 등은 계속 이용할 수 있다.
호컬 주지사는 “학생들은 클릭이나 스크롤을 하면서가 아니라 배우고 성장하면서 성공에 이른다”며 “뉴욕주는 디지털 시대에 학생들을 보호하는 선도적인 주”라고 강조했다.
현재 플로리다, 인디애나, 루이지애나, 오하이오 등 6개주는 뉴욕주에 앞서 교내 스마트폰 사용 금지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