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는 18만 명 늘었는데 집은 그대로… BC주 주택난 심화
팬데믹 이후 급격한 인구 증가 속 주택 공급은 제자리
“2.7명당 집 1세대”…무너지는 균형, 폭등하는 집값

밴쿠버 중앙일보
주택난은 밴쿠버 도심에 국한되지 않는다. 한때 ‘비교적 저렴한’ 주거지로 여겨졌던 지역들마저 빠르게 값이 오르면서 BC주 전역으로 번지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내 집 마련은커녕 월세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문제는 단순하다. 팬데믹 이후 BC주 인구는 이례적으로 폭증했지만 주택 건설 속도는 제자리걸음이다.
2023년, BC주에는 18만5,360명이 새로 유입됐다. 2024년에도 12만5,633명이 늘며 2019년(9만5,916명)에 비해 2배 가까운 인구 증가가 나타났다. 반면 주택 공급은 거의 정체 상태였다. 2019년 착공된 신규 주택은 4만4,932세대였고, 2023년에는 5만490세대, 2024년에는 4만5,828세대로 오히려 줄었다.
단순 계산하면, 예전에는 인구 2명당 주택 1세대가 지어졌지만 이제는 인구 2.7명당 1세대만 공급되고 있는 셈이다.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니 수요는 쌓이고 가격은 계속 오른다.
이민자 유입 등 인구 증가의 많은 부분은 연방정부의 이민 정책에서 비롯된 것이어서, 주정부가 직접 통제하기 어렵다. 하지만 주택 공급 속도는 확실히 BC주정부와 각 시의 몫이다.
데이비드 이비 BC주수상이 최근 발표한 주택구역제 개편은 과밀지역, 특히 대중교통 인근에 고밀도 주택 건설을 허용하는 내용이다. 하지만 그간 BC주 각 시는 다른 주보다 주택 규제가 더 엄격했고, 건축 인허가 소요 기간도 가장 긴 수준이었다.
뿐만 아니다. 신규 개발에 부과되는 각종 수수료는 주택 가격을 끌어올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버나비의 경우, 아파트 1세대당 3만8,000달러, 단독주택은 8만 달러 이상이 추가 비용으로 붙는다.
여기에 임대료 상한제, 단기임대 제한, 빈집세 등도 공급을 늘리기보단 억제하는 쪽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로 이비 주정부는 빈집세를 2026년에 더 올릴 계획이지만, 이 같은 정책이 주택 부족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긴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결국 해답은 명확하다. 규제를 풀고, 개발 장벽을 낮추고, 공급 속도를 높이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BC주의 주거 불안정은 더 오래 지속될 수밖에 없다.
밴쿠버 중앙일보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