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인구는 18만 명 늘었는데 집은 그대로… BC주 주택난 심화

 BC주의 주택 시장이 한계에 다다랐다. 메트로 밴쿠버를 포함한 전 지역에서, 평균 가구는 집 한 채를 유지하기 위해 세전 소득의 대부분을 모기지, 재산세, 공과금으로 지출해야 한다. 현재 평균 주택 가격은 151만 달러에 이른다.       주택난은 밴쿠버 도심에 국한되지 않는다. 한때 ‘비교적 저렴한’ 주거지로 여겨졌던 지역들마저 빠르게 값이 오르면서 BC주 전역으로 번지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내 집 마련은커녕 월세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문제는 단순하다. 팬데믹 이후 BC주 인구는 이례적으로 폭증했지만 주택 건설 속도는 제자리걸음이다.       2023년, BC주에는 18만5,360명이 새로 유입됐다. 2024년에도 12만5,633명이 늘며 2019년(9만5,916명)에 비해 2배 가까운 인구 증가가 나타났다. 반면 주택 공급은 거의 정체 상태였다. 2019년 착공된 신규 주택은 4만4,932세대였고, 2023년에는 5만490세대, 2024년에는 4만5,828세대로 오히려 줄었다.       단순 계산하면, 예전에는 인구 2명당 주택 1세대가 지어졌지만 이제는 인구 2.7명당 1세대만 공급되고 있는 셈이다.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니 수요는 쌓이고 가격은 계속 오른다.       이민자 유입 등 인구 증가의 많은 부분은 연방정부의 이민 정책에서 비롯된 것이어서, 주정부가 직접 통제하기 어렵다. 하지만 주택 공급 속도는 확실히 BC주정부와 각 시의 몫이다.       데이비드 이비 BC주수상이 최근 발표한 주택구역제 개편은 과밀지역, 특히 대중교통 인근에 고밀도 주택 건설을 허용하는 내용이다. 하지만 그간 BC주 각 시는 다른 주보다 주택 규제가 더 엄격했고, 건축 인허가 소요 기간도 가장 긴 수준이었다.       뿐만 아니다. 신규 개발에 부과되는 각종 수수료는 주택 가격을 끌어올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버나비의 경우, 아파트 1세대당 3만8,000달러, 단독주택은 8만 달러 이상이 추가 비용으로 붙는다.       여기에 임대료 상한제, 단기임대 제한, 빈집세 등도 공급을 늘리기보단 억제하는 쪽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로 이비 주정부는 빈집세를 2026년에 더 올릴 계획이지만, 이 같은 정책이 주택 부족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긴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결국 해답은 명확하다. 규제를 풀고, 개발 장벽을 낮추고, 공급 속도를 높이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BC주의 주거 불안정은 더 오래 지속될 수밖에 없다.     밴쿠버 중앙일보주택난 인구 인구 증가 인구 2명당 주택 공급

2025.05.22. 12:04

썸네일

"美 성인 10명 중 1명은 의료비 감당 못한다"

미국인의 건강한 삶 유지가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저소득층인 소수계는 의료비를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난 2일 갤럽은 전국 성인 대상 의료비 인식조사 결과 성인 10명 중 1명은 의료비를 감당할 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발표했다. 갤럽은 2024년 기준 미국 인구 중 2900만 명이 병원 치료비나 약값을 감당할 능력이 없는 상황이라며, 이같은 수치는 지난 202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2021년 성인 중 약 8%만 의료비를 감당할 수 없다고 답했다. 2024년 조사에서는 이 비율이 11%로 늘었다.   특히 소수계가 겪는 고통은 상대적으로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히스패닉계 성인은 18%(2021년 10%), 흑인은 14%(2021년 9%)가 의료비를 감당할 수 없다고 답했다.     2024년 기준 히스패닉 성인 중 34%(2021년 51%)만이 의료비를 감당할 수준이라고 답했다. 흑인은 성인 중 41%(2021년 54%)가 의료비를 감당할 경제상황이라고 답했다. 전체 성인 중에는 51%(2021년 56%)가 의료비를 감당할 수 있다고 답했다.   반면 백인은 2021년과 같은 8%만이 의료비를 감당할 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백인 성인 중 58%는 2021년과 같은 비율로 의료비를 감당할 수 있다고 답했다.   소득에 따라 의료비 부담은 큰 차이를 보였다. 지난 4년 사이 저소득층일수록 의료비 부담을 호소하는 비율이 급격히 증가했다.     연 소득 2만4000달러 이하인 가구 중 의료비를 감당할 수 없다고 답한 비율은 2021년 14%에서 2024년 25%로 11%포인트나 늘었다. 2만4000달러 이상 4만8000달러 이하인 가구의 의료비 감당 불가 비율은 2021년 13%에서 2024년 19%로 6%포인트 증가했다.     연 소득 4만8000달러 이상인 가구 중 의료비 감당 불가 비율은 11~12%로 큰 변화가 없었다. 이와 달리 연 소득 9만 달러 이상인 가구 중 의료비 감당 불가 비율은 1~5%에 그쳤다.     이같은 조사 결과를 두고 갤럽은 가구당 소득에 따라 의료서비스 격차도 더 벌어진 상황이라고 전했다.     실제 성인 응답자 중 35%는 저렴한 비용으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고 답했다. 가구당 소득 2만4000달러 이하인 성인은 64%, 2만4000 달러 이상 4만8000달러 이하인 성인은 57%가 저렴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설문조사 응답자 중 12%는 지난해 의료비를 위해 돈을 빌렸다고 답했다. 의료비를 감당할 수 없는 요인으로는 식료품비, 교통비, 공공요금 등 물가인상이 꼽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웨스트 헬스와 갤럽 헬스케어가 지난 2024년 11월 18일부터 12월 27일까지 18세 이상 6296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의료비 인구 의료비 인식조사 지난해 의료비 의료비 부담

2025.04.03. 19:11

썸네일

메트로밴쿠버 인구 첫 3백만명 돌파… 2045년 4백만명 예상

 메트로밴쿠버 지역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3백만 명을 넘어섰다. 2024년 중간 성장 시나리오에 따르면, 올해 총인구는 3백23만 명에 도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방정부의 공격적인 이민 정책이 주요 배경으로 지목된다.         2030년엔 332만 명, 2040년엔 381만 명, 2050년엔 421만 명을 넘길 것으로 예측되며, 인구 4백만 명 돌파 시점은 기존 예상보다 9년 앞당겨진 2045년으로 수정됐다.         도시별로 보면, 밴쿠버는 여전히 BC주 최대 도시 자리를 지키고 있지만, 써리의 성장세가 만만치 않다. 써리는 2021년 59만7,000명에서 2050년 96만 명으로 늘어날 전망이고, 같은 기간 밴쿠버는 69만8,000명에서 99만1,000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두 도시의 격차는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버나비도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21년 26만2,000명에서 2030년 31만 명, 2040년 35만4,000명, 2050년 38만8,000명으로 예측된다.         이번 인구 예측은 2021년 인구센서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팬데믹 당시 누락된 인원을 보정한 추정치를 사용했다. 연방 이민 계획을 반영해 BC통계청, 캐나다 통계청 등과 협업해 모델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다.         지역당국은 자체 예측의 신뢰도에 자신감을 보였다. 2011년 발표된 ‘메트로2040’의 경우, 2021년 실제 센서스 결과와의 오차가 1% 이내였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현재 메트로밴쿠버 광역지자체는 21개 자치시, 1개 선거구, 1개 조약 체결 퍼스트네이션 지역으로 구성돼 있으며, BC주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이 이 지역에 몰려 있다.     밴쿠버 중앙일보메트로밴쿠버 인구 메트로밴쿠버 인구 메트로밴쿠버 지역 현재 메트로밴쿠버

2025.04.03. 11:58

썸네일

워싱턴 지역 인구 인구 성장세 꾸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구가 급감했던 워싱턴 등 전국 대도시 지역 인구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대도시권의 인구 증가세는 최근 전국 인구 증가세를 앞지른 것으로도 나타났다. 연방센서스국이 최근 발표한 ‘빈티지2024 인구총계 및 변화 구성요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국내 메트로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 수는 총2억9390만명으로, 전년 대비320만명(약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인구는총3억4000만명으로,같은 기간1.0% 증가해 메트로 지역인구 증가율에 못미쳤다. 펜데믹 기간 인구 감소세를 보인 워싱턴 메트로 지역(Washington-Arlington-Alexandria, DC-VA-MD-WV Metro Area)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2020년 4월1일 627만8595명을 기준점으로,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매년 7월1일 기준으로 변경할 경우 2020년부터 2021년 사이 펜데믹 영향으로 1천명 미만으로 감소했으나 2022년부터 628만9810명, 2023년 634만5881명,2024년 643만6489명 등으로 증가했다.     2020년 펜데믹 이후 2024년까지 2.73% 증가한 것으로, 전국 평균(2.52%)보다는 높지만 전국 매트로지역 평균(2.78%)에는 미치지 못한 것이다. 버지니아 인구는 881만1195명으로 4년새 2.0%, 메릴랜드는 626만3220명으로 1.90% 증가했다. 버지니아 페어팩스 카운티(116만925명)는 1.0% 성장에 그쳤으나, 최근 20년새 급팽창하고 있는 라우던 카운티(44만3380명)는 4.66%가 증가해 여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메릴랜드 하워드 카운티(33만9668명)와 몽고메리 카운티(108만2273명)는 모두 2.0% 증가했다. 버지니아는 4년새 출생자수에서 사망자수, 국내 이주 등을 고려한 순유입 인구는 2만4천명에 불과했지만, 이민 순유입 인구가 15만8813명으로 네 배에 달했다. 메릴랜드도 이민 순유입 인구가 14만4183명으로 사실상 이민이 없었다면 인구 정체가 불가피했다. 인구 증가 비율로 따져보면 플로리다 오칼라,파나마시티, 사우스캐롤라이나 머틀비치 등 남부지역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센서스국은 “대도시 일대 인구가 최근들어 증가한 것은 주로 해외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이민자 덕”이라고 설명했다. 팬데믹에 유입되지 못했던 해외 인구가 다시증가했고, 유학이나 취업 등의 이유로 대도시에 몰린 탓으로 풀이된다. 2024년 전국 387개 대도시권 중 341개 지역에서 인구가 늘어난 것으로 추정됐다고 센서스국은 전했다.   인구 성장률로는 뉴욕 뉴왁-저지시티를 아우르는 지역이 눈에띄었다. 2024년 기준 뉴욕주 인구는1986만7248명으로 0.7% 늘었고, 뉴저지주인구는 950만851명으로 전년대비 1. 3%증가했다. 뉴욕-뉴왁-저지시티 인구는 1년 만에 21만3403명이 증가해 텍사스주휴스턴일대(19만8171명), 텍사스주댈러스일대(17만7922명)보다 성장 폭이 컸던 것으로 파악됐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인구 워싱턴 지역인구 증가율 인구 증가세 남부지역 인구

2025.03.16. 13:15

썸네일

[신 영웅전] 인구 감소는 재앙…맬서스의 역설

인구학자 토머스 맬서스(1766~1834·사진)는 본디 성공회 신부였다. 부유한 가정의 7남매 가운데 한 명이었던 그는 ‘성품이 고결한 사람’(묘비명)이었다. 케임브리지대 신학부에서 공부할 때만 해도 그는 구도자였지 경제학자가 아니었다. 그러나 영혼을 위로해야 하는 그가 보기에 자본주의의 발전이 하층 계급에 더 고통을 준다는 사실을 견딜 수 없었다.   초기 산업사회에서 기계 문명이 식량을 증산하고 그것이 인구 증가로 이어질 때만 해도 자본주의는 축복일 수 있다고 사람들은 생각했다. 그러나 의술도 발달하지 않고 피임에 대한 인식도 없던 당시로선 많은 자녀가 축복이 아니었다.   가난과 불결함에다 의료 혜택의 부족으로 열악했던 초기 자본주의가 영혼의 구제보다 현실적 삶의 구원에 더 마음 쓰게 만들었다. 당시 식량 증산은 산술급수적인 데 비해 출산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이 때문에 벌어지는 아녀자 노동, 고한(苦汗) 노동, 영아 살해, 심각한 빈곤은 맬서스를 더 이상 신부로 묶어두지 않았다.   맬서스는 경제학을 공부해 『인구론』(1798)을 출판했다. 그가 보기에 폭증하는 인구 앞에 기껏 질병·굶주림·전쟁만이 인구를 감소시킬 수 있다면, 인구 증가는 재앙이었다. 그렇다고 해서 그가 인구 감소를 위해 어떤 구체적 대책을 내놨는지 뚜렷한 논거를 찾을 수도 없다. 그런데 지금 우리는 맬서스의 역설에 함몰돼 있다. 인구 증가가 고민이 아니라 인구 감소가 더 큰 재앙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옛 어른들의 말씀에 따르면 안채 며느리 방에서 아기 울음소리가 들려야 하고, 사랑채에서 손주들 책 읽는 소리가 들려야 하고, 담 넘어 논에 물 들어가는 소리가 들려야 번족(繁族), 즉 일족이 번성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런 모습은 이제 낭만일 뿐이다. 그나마 올해부터 출산율이 바닥을 찍고 증가한다니 국가의 축복인 듯 기쁘지만, 향후 30년이 걱정이다. 신복룡 / 전 건국대 석좌교수신 영웅전 맬서스 인구 인구 감소 인구 증가 인구학자 토머스

2025.02.12. 21:23

토론토 인구 710만 돌파

      토론토와 인근 지역의 인구가 공식적으로 710만 명을 넘어섰다. 지난해에만 30만 명에 가까운 인구가 유입되며, 인구 증가율이 전국 평균(3%)과 주요 대도시 평균(3.5%)을 모두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통계청이 지난 18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7월 기준 토론토 광역 대도시권(CMA)의 인구는 710만 명 이상으로, 전년 대비 4% 가까이 증가했다.   이번 통계는 토론토 대도시권(CMA) 전체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CMA는 북쪽의 심코호에서 남쪽 온타리오호까지, 동쪽의 에이잭스에서 서쪽의 옥빌까지 5,902㎢에 달하는 광범위한 지역을 포함한다.   전문가들은 이번 인구 증가의 주요 원인이 해외 이민자 유입에 있다고 분석했다. 매티 세미아티키 토론토대학교 도시계획학과 교수는 “대도시로의 유입이 지속되는 이유를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계청 보고서에 따르면, 토론토뿐만 아니라 몬트리올과 밴쿠버에서도 비영주권자(NPR)의 증가가 가장 중요한 인구 증가 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신규 영주권자 수는 전년 대비 감소했다. 하지만 지난해 캐나다에 유입된 50만 명의 이민자 중 약 25%가 토론토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미아티키 교수는 “경제 성장의 상당 부분이 이민자 유입에 기인한다”며, “최근 캐나다의 생산성 문제를 고려할 때, 해외 이민자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토론토를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인구도 적지 않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년간 타 지역으로 이주한 인구가 유입 인구보다 약 1만 명 많았다. 다만, 이 수치는 예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세미아티키 교수는 “연방정부가 향후 몇 년간 이민 목표를 대폭 축소할 계획을 발표하면서, 경제에도 상당한 압박이 있을 것”이라며, “신규 이민자는 노동력 공급과 지역 경제 활력을 유지하는 핵심 요소”라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에서 주목할 점은 2019년부터 2022년까지 토론토 지역 인구가 연평균 10만 명 내외로 증가했던 반면, 2023년에는 25만 명 이상 급증했다는 점이다. 최근 2년간 유입된 인구만 50만 명을 넘어섰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토론토 인구 토론토 대도시권 토론토대학교 도시계획학 인구 증가율

2025.01.22. 13:24

썸네일

뉴저지 인구 1000만 명 육박

뉴저지주 인구가 950만 명을 돌파하며 새로운 기록을 달성했다.     14일 신년 연설에서 필 머피 뉴저지주지사가 센서스국 데이터를 인용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뉴저지주 인구는 지난해 7월 현재 950만851명을 기록하며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1.3% 증가한 것으로, 북동부 지역에서 가장 빠른 연간 성장률이다.     머피 주지사는 “뉴저지가 인구 증가율 상위 10개주 중 하나라는 사실이 자랑스럽다”며 “이는 우리 행정부가 근로자들을 지원하고 더 강력한 뉴저지를 만들기 위해 중요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강조했다.     카운티별로 보면, 1970년부터 2022년까지 한인밀집지역인 버겐카운티의 인구가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버겐카운티 인구는 지난 52년 동안 95만2997명 늘었으며, ▶미들섹스카운티(86만1418명) ▶에섹스카운티(84만9477명) ▶허드슨카운티(70만3366명) 등이 뒤를 이었다.     이는 타 지역에서 유입되는 주민들이 계속해서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센서스국 데이터에 따르면 2021년 7월부터 지난해 7월까지 3년 동안 뉴저지주에는 31만1544명의 외국 출신 주민이 추가됐다.     인구 증가를 뒷받침하기 위해 뉴저지주정부는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추진 중이다. 뉴저지주 경제개발청은 “일자리와 임금 성장을 가속화하고, 벤처 캐피탈 투자를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뉴저지 인구 뉴저지주 인구 머피 뉴저지주지사 뉴저지 인구

2025.01.15. 19:51

북 텍사스 인구 830만명으로 증가

 텍사스주의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달라스-포트워스를 포함한 북 텍사스(North Texas)의 증가세가 뚜렷해 2023년 현재 주전체 인구의 약 1/3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달라스 옵저버를 비롯한 지역 언론들이 최근 보도했다. 텍사스 인구통계센터(Texas Demographic Center/TDC)의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인구 증가는 주로 북부 서버브 도시들의 성장에 기인하고 있다. 북 텍사스는 지난 4년 동안 50만명 이상의 신규 주민을 확보했다. 콜린 카운티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14만5,000명의 주민이 늘어나는 등 성장세가 가장 컸다. 콜린, 달라스, 덴튼, 태런트 등 북 텍사스 지역 4개 카운티는 각각 100만명 이상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텍사스 주전체 인구의 거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콜린 카운티의 성장은 앨런, 프리스코, 맥키니, 플레이노 등 4개 도시가 중심이 됐다. 플레이노와 프리스코 두 도시는 일상적으로 미국에서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성장하며 가족을 부양하기에 가장 좋은 곳으로 꼽힌다. 두 도시 모두 샤핑, 식당, 근무 공간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지역을 설계하는 부동산 개발 구조인 라이브-워크-플레이(live-work-play) 커뮤니티의 좋은 예다. 또한 플레이노와 프리스코는 식품 및 음료 업계 대기업인 큐리그-닥터 페퍼(Keurig-Dr. Pepper), 프리토-레이(Frito-Lay), 피자헛(Pizza Hut), 펩시코(PepsiCo)의 본사가 있는 기업 허브이기도 하다. TDC의 보고서에 따르면, 포트워스는 텍사스주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일 뿐만 아니라 미전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30개 도시 중에서도 성장속도가 가장 빠른 곳이다. 포트워스는 4년간 인구 증가율이 7.7%에 달함으로써 주민수가 100만명에 육박해 오스틴을 제치고 텍사스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로 부상했다.   30번 주간 고속도로 북쪽의 카운티들의 인구 증가가 주목되고 있는 가운데, 달라스 남부 국경의 카운티들은 더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엘리스 카운티는 16.3%, 존슨 카운티는 19.2%, 나바로 카운티는 7.2%나 증가했다. 주도 오스틴이 속한 트래비스 카운티는 인구 증가율이 5.9%로 제일 높았으며 휴스턴이 속한 해리스 카운티는 2.5%, 샌안토니오가 속한 벡사 카운티는 4.8%의 증가율을 보였다. 한편, 연방센서스국이 지난 19일 발표한 새로운 텍사스주 인구 추산치에 따르면, 텍사스는 타주에 비해 인구 증가세가 높아 2023년 3,100만명을 넘어섰다. 다만, 타주에서 이주한 주민수는 둔화됐다. 센서스국에 따르면, 텍사스는 2023년 7월부터 2024년 7월까지 56만2,941명의 인구가 늘어 플로리다와 캘리포니아를 앞질렀다. 이에 따라 텍사스주의 총 인구는 3,129만831명으로 추산됐다. 텍사스는 2022년에 비해서는 인구 증가 폭이 적었지만 인구 증가율(1.8%)은 여전히 플로리다와 워싱턴DC에 이어 미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았다.   센서스국의 인구 조사는 올해 난민과 이민자를 집계하는 방식을 변경했다. 그러나 인구 추산치에서는 법적 지위를 구분하지는 않는다. 지난해 인구 성장세는 미전역에서 고루 나타났다. 미국은 작년 한해 동안 총 330만명의 인구 증가를 보였는데, 이 중 280만명은 다른 국가에서 유입됐다.     손혜성 기자텍사스 인구 인구 증가율 텍사스 인구통계센터 텍사스 지역

2024.12.30. 8:16

썸네일

일리노이 인구 1년간 6만8천명 증가

일리노이 주 인구가 지난 1년 간 중서부 지역 주들 가운데 가장 많이 늘었지만 불법입국 이민자들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연방센서스국이 19일 발표한 최신 인구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1년 간(23년 7월 1일~24년 7월 1일) 일리노이 주 인구는 6만7899명(0.53%)이 늘어 총 1천271만158명으로 집계됐다. 인구 증가 규모는 중서부 지역 최다 규모다. 다만 인구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인디애나와 아이오아 주의 증가율보다는 낮았다.     지난 2022년 7월까지 3년 연속 감소하다가 지난 해 2만명이 늘어난 데 이어 이번엔 그 폭이 더 확대된 것이다.     일리노이 주 인구가 늘어난 가장 큰 이유는 불법입국 이민자들의 숫자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주 인구 현황을 보면 해외에서 일리노이로 유입된 주민의 숫자는 모두 11만2955명이다. 반면 일리노이 기존 주민 5만6235명은 국내 다른 도시로 유출됐다.     해외에서 일리노이로 유입된 이들은 대부분 멕시코와 텍사스 국경을 통해 불법입국한 이민자들이다. 텍사스 주는 그렉 애봇 주지사의 주도로 지난 2022년부터 시카고에 최소 5만1000명의 불법입국자들을 보냈다.     아울러 자연 인구 증가율도 플러스로 나타났다. 출생자와 사망자를 비교한 일리노이 자연 인구 증가는 1만1000명이었다.     일리노이는 뉴욕이나 캘리포니아주와 함께 남부 지역으로 이사하는 주민들의 숫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 2020년 이후 다른 주로 떠난 일리노이 주민들의 숫자만 41만8056명으로 집계됐다. 해외 이민자 유입은 27만8657명이었다. 이런 이유로 같은 기간 일리노이 인구는 11만1656명이 감소했다.     일리노이 이민자의 대부분이 라티노이기 때문에 새로운 사회 문제도 발생한다. 특히 흑인 인구는 일자리와 저렴한 주택 구하기 등의 이유로 타 지역으로의 유출이 많아졌기 때문에 인종 비율에도 큰 변화가 생겨나고 있다.     이민자 증가는 지역 경제에 새로운 자극이 될 수는 있지만 지속 가능성이 낮다는 이유로 관련 정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불법입국 이민자들에 대한 정부 지출도 늘어나 예산도 압박 받고 있다.     시카고와 일리노이 정부는 이들을 위해 지난 2년간 5억달러씩을 지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산 대부분은 주거와 관련 서비스에 사용됐다.   한편 센서스국에 따르면 미국 전체 인구는 지난 1년 사이 1% 가까이 늘었고, 버몬트•미시시피•웨스트 버지니아 등 3개 주를 제외한 나머지 47개 주와 워싱턴DC 모두 증가를 기록했다.     인구 3943만 명의 캘리포니아가 가장 많았고 이어 텍사스(3129만명), 플로리다(2337만명), 뉴욕(1987만명), 펜실베이니아(1308만명), 일리노이(1271만명), 오하이오(1188만명), 조지아(1118만명), 노스 캐롤라이나(1105만명), 미시간(1014만명) 등이 차레로 인구 상위 10위권을 차지했다.   Nathan Park•Kevin Rho 기자일리노이 인구 일리노이 이민자 인구 증가 일리노이 주민들

2024.12.20. 14:06

썸네일

매년 5만명씩 증가… 메트로 밴쿠버, 2045년 인구 400만명

 메트로 밴쿠버 지역의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도시계획 전반에 비상이 걸렸다.       매년 5만 명씩 새로운 주민이 유입되면서 당초 2054년으로 예상됐던 인구 400만 시대가 2045년으로 9년 앞당겨질 전망이다.       최신 인구조사와 연방정부의 이민정책 변화, 비영주권자 증가 추세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인구 증가는 해외 이민자 유입이 주도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35년 이후에는 출생률 저하로 자연 증가율이 마이너스로 돌아설 것으로 예측됐다.       급격한 인구 증가에 대비해 메트로밴쿠버 당국은 2050년까지 총 172만 가구의 주택 공급을 목표로 세웠다.       매년 2만1천 가구의 신규 주택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밴쿠버와 써리 지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설 예정이다.       일자리 창출도 시급한 과제다. 2050년까지 지역 내 일자리가 210만개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대규모 주택 건설에 따른 건설업과 서비스업 분야가 새로운 고용을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대도시 이탈 현상이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도시 성장세는 더욱 가속화됐다.       원격근무 확산 등으로 인한 도시 이탈은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메트로 밴쿠버 당국은 급격한 인구 증가에 맞춰 주택, 일자리, 핵심 인프라를 재정비하는 한편, 지역의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세부 계획도 마련할 방침이다. 밴쿠버 중앙일보밴쿠버 인구 메트로밴쿠버 당국 인구 증가 밴쿠버 지역

2024.12.19. 10:45

썸네일

"뉴욕주 인구, 향후 25년 동안 200만 명 이상 감소"

뉴욕주 인구가 향후 25년 동안 200만 명 넘게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코넬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응용인구학 프로그램(PAD) 연구자들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뉴욕주 인구는 향후 25년 동안 200만 명 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2050년에는 뉴욕주 인구가 1700만 명을 약간 웃도는 수준일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경제 활동이 가능한 18세 이상 65세 이하 인구는 현재 1212만여명에서 2050년 1098만여명으로 100만 명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연구진들은 인구 감소의 원인으로 ▶살인적인 물가와 높은 보육비 등으로 인한 출산율 감소 ▶인구 고령화 ▶유출 인구 증가 ▶유입 인구 감소 등을 꼽았다.     얀 빈크 PAD 수석 분석가는 "지금과 같은 인구 이동 추세가 변하지 않는다면 뉴욕주 인구는 계속해서 감소할 것"이라며 "보수적인 추정에 따르면 2050년까지 인구가 100만 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유출되는 인구를 상쇄할 만큼 새로운 인구 유입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우리는 이보다 더 큰 감소폭을 예측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해 12월 센서스국이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뉴욕주 인구는 전국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7월 1일부터 2023년 7월 1일 사이에 뉴욕주 인구는 10만1984명(0.52%) 줄었으며, 이는 50개주 중 최대 감소율이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뉴욕주 인구 뉴욕주 인구 인구 감소 인구 유입

2024.12.11. 20:47

귀넷 일자리 창출 유망...메트로 지역서 'No.3'

5대 전략업종 일자리 창출 유망   조지아주에서 한인들을 비롯해 아시아계 인구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귀넷이 향후 인구 증가와 함께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에서 세 번째로 일자리가 많은 카운티로 발전할 전망이다.   애틀랜타지역위원회(ARC)는 메트로 지역 카운티별로 2050년까지의 인구 및 일자리 창출을 예측한 보고서에서 "귀넷은 2050년까지 인구가 25% 증가하고, 일자리도 메트로 지역에서 세 번째로 많은 카운티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보고서는 일자리 창출의 근거로 귀넷 카운티가 첨단 제조업, 공급망 관리, 정보기술, 보건과학 및 의료, 기업 및 전문직 서비스업 등 5대 전략 업종에 꾸준히 투자해온 점을 꼽았다. 또 해외 기업, 특히 아시아와 유럽의 기업들이 시장 접근을 위해 귀넷에 앞다퉈 진출한 배경도 크다.   닉 마시노 귀넷 상공회의소 CEO(최고경영자)는 “600개가 넘는 국제적 기업이 이곳을 고향이라고 부른다”며 이 중 약 100개는 귀넷에 북미 본사를, 150개는 미국 본사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귀넷의 일자리 창출과 투자를 유치하는 ‘파트너십 귀넷’이 공개한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약 272개의 첨단 중소 제조업체가 약 2만8000명을 고용하고 있다.   물류센터도 늘고 있다. 도요타 동남부 판매 회사는 지난 8월 노크로스에 50만 스퀘어피트(sqft) 규모의 물류센터를 짓는다고 발표한 바 있다. 4100만달러 이상이 투자되는 물류센터는 120개 일자리를 창출할 예정이다.   이 업체가 노크로스를 선택한 이유는 I-85와 I-985 고속도로에 인접해 있어 트럭으로 이틀 안에 미국 전역으로 배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하츠필드-잭슨 공항, 사바나, 브런스윅 항구와의 접근성도 장점으로 꼽혔다.   아울러 귀넷에서 보건과학과 의료 서비스 산업도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대큘라 인근 2000에이커에 달하는 대규모 생명공학 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카운티 정부는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6770만 달러 채권을 승인한 바 있다.   기업들이 귀넷으로 몰려들면서 인프라 투자도 활기를 띄고 있다. 주민들은 공공안전 및 공공 도서관의 인프라 개선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 특수목적 판매세(SPLOST) 신설을 승인했으며, 카운티는 지난 20년 동안 수질 개선에 거의 10억 달러를 투자했다. 조지아파워도 귀넷의 전력망 확장에 나서고 있다. 윤지아 기자일자리 인구 일자리 창출 아시아계 인구 향후 인구

2024.11.21. 15:16

썸네일

2023년 텍사스 주민 이주 현황 … 유입 인구 61만1천명, 유출 인구 47만8천명

 2023년 한해동안 텍사스주로 유입된 인구는 61만1천명, 텍사스를 떠난 인구는 47만8천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17일 공개된 연방센서스국의 ‘2023년 각 주간 이주 흐름’(2023 State-to-State Migration Flows) 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텍사스에서는 47만8천여명의 주민들이 짐을 싸서 타지역으로 이주했다. 이 수치는 2022년의 49만4천여명에 비해서는 다소 줄어든 것이다. 텍사스 출신들이 가장 많이 이주한 주는 2022년과 마찬가지로 캘리포니아였으며 그 수는 3만8천여명에 달했다. 이어 플로리다 3만7천여명, 콜로라도 3만2천여명, 오클라호마 3만1천여명, 조지아 2만여명의 순이었다.   텍사스는 작년에 47만8천여명이 떠났음에도 불구하고 61만1천여명의 인구가 새로 유입돼 유입 인구가 유출 인구 보다 13만3천여명이나 더 많았다. 그러나 2023년의 유입인구는 2022년의 66만8천여명에 비해서는 5만7천명이나 크게 줄었다. 지난해 텍사스로 가장 많이 이주한 미국내 타주민은 캘리포니아로 9만3,970명에 달했고 플로리다 가 5만513명, 오클라호마 2만9,743명, 뉴욕 2만9,610명, 루이지애나가 2만8,458명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지난해 텍사스로 유입된 인구 61만1천여명 가운데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다른 나라에서 온 이주민들로 전체의 43%에 달했다.   한편, 50개주 가운데 지난해 유입 인구가 제일 많은 주는 플로리다로 63만4천명이었고 타국 출신 이주민 비율도 플로리다가 45%로 가장 높았다. 텍사스는 전체 유입 인구수와 타국 출신 이주민 비율이 플로리다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손혜성 기자인구 천명 61만1천명 텍사스 유입 인구 유출 인구

2024.10.28. 7:19

썸네일

귀넷 인구 100만명 넘었다

  귀넷, 풀턴 이어 2번째 백만명 클럽 진입 메트로 11개 카운티 520만명 '사상 최대'   조지아주에서 한인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귀넷 카운티가 주 159개 카운티 중 2번째로 인구 100만명을 넘어섰다.   애틀랜타 지역위원회(ARC)가 10일 발표한 인구 추정치에 따르면 메트로 핵심 11개 카운티는 지난해 4월부터 올해 4월까지 1년 새 6만2700명이 추가되며 사상 최대 인구인 520만명을 기록했다. 모든 카운티 인구가 증가했으나, 특히 애틀랜타 외곽 지역 인구 유입이 가장 활발했다.   귀넷의 인구는 2020년 95만7000명, 2021년 97만명, 2022년 98만3000명, 2023년 99만7000명 등 지속적으로 증가한데 이어 올들어 101만명을 기록했다. 이로써 귀넷은 조지아에서 풀턴 카운티에 이어 두번째로 7자리 인구 클럽에 진입했다.   ARC는 애틀랜타 지역의 고용 성장세가 지속되면서 ‘쉽게 깨지지 않는 인구 증가 모멘텀을 창출했다’고 분석했다.   11개 카운티 중 전년보다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체로키 카운티. 체로키의 인구 증가율은 1.9%를 기록했으며, 헨리(1.8%), 포사이스(1.6%) 등 애틀랜타 외곽에 있는 카운티들이 뒤를 이었다. 센서스국이 지난 3월 발표한 2023년 인구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 인구는 630만명으로, 워싱턴 D.C.와 필라델피아를 넘어 전국에서 6번째로 큰 대도시로 올라섰다.   애틀랜타 시는 3년 전 인구 50만명을 넘어섰으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1년 동안 인구가 2.1% 늘며 조지아의 어떤 카운티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마이크 카나산 ARC 분석 담당 디렉터는 애틀랜타 시의 인구 증가는 건축 허가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2022~2023년 건축 허가는 3배 늘었으며, 가장 최근 1년간은 시가 7600건이 넘는 건축 허가를 발급했다. 이 중 85%가 다세대 주택 건설인 것으로 조사됐다.   조지아주에서 풀턴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귀넷 카운티 또한 지난 1년 동안 2번째로 많은 건축 허가를 발급했다.   메트로 지역의 인구 성장 전망은 밝지만, 지역의 교통 체증 문제, 일자리 증가율의 둔화, 주택 시장 수요보다 부족한 주택 개발 등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카나산 디렉터는 “집값이 계속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인구 유입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집값 상승 등과 같은 역풍이 있긴 하지만, 메트로 애틀랜타의 성장세는 쉽게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윤지아 기자인구 카운티 인구 인구 증가 인구 유입

2024.07.11. 13:56

썸네일

애틀랜타, 전국 6번째 급성장 도시

지난해 애틀랜타 시 인구 증가폭이 전국 대도시 중 6번째로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센서스 최근 통계에 따르면 2022년 7월부터 2023년 7월까지 1년 동안 애틀랜타에 1만2000명이 넘는 인구가 유입되며 지난해 약 51만800명을 기록했다. 이는 전국에서 여섯 번째로 높은 인구 증가폭이다.    애틀랜타는 2019년 인구가 50만명을 넘어선 바 있으나 이후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수년간 감소세를 보이다 2022년 49만8000명으로 증가하고 2023년에 다시 50만명을 넘었다.    애틀랜타는 코로나19팬데믹 이후 인구가 증가했으나, 모든 도시가 같은 양상을 보이지는 않았다. 애틀랜타가 2022~2023년 1년 새 인구가 2.4% 증가한 것을 비롯, 남부 도시가 대거 전국 순위권에 올린 반면, 뉴욕, 캘리포니아, 오리건주에서는 전반적인 인구 감소세를 보였다.    센서스 통계에 따른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 15곳’ 중 13곳이 남부 도시였으며, ‘가장 인구가 많이 는 도시 15곳’에서도 워싱턴 D.C.와 오클라호마시티를 제외하곤 모두 남부 도시가 이름을 올렸다. 특히 텍사스주 도시가 다수를 차지했다.     이러한 남부 인구 증가의 원인으로 원격 근무가 늘어난 점과 주택 가격 상승으로 많은 사람들이 교외지역보다 도시 외곽 지역을 선호하고 있는 점 등을 꼽을 수 있다.   전반적으로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의 인구는 2022~2023년 사이에 약 1% 늘었다. 샌디스프링스, 존스크릭, 로즈웰은 인구가 각각 1% 이상 줄었지만, 알파레타, 스톤크레스트, 던우디는 인구 감소 폭이 적었다. 마리에타, 스머나, 브룩헤이븐 등은 인구가 전년과 거의 동일하게 유지됐다.     한편 지난 1년 새 전국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추가된 도시는 텍사스의 샌안토니오로, 2만2000명에 가까운 인구가 유입됐다. 2위는 텍사스 포트워스(2만1365명), 3위는 노스캐롤라이나의 샬롯(1만5607명), 4위는 플로리다 잭슨빌(1만4066명), 5위는 플로리다 포드 세인트루시(1만3169명)가 이름을 올렸다. 윤지아 기자애틀랜타 인구 애틀랜타 인구 애틀랜타 지역 전국 대도시

2024.05.20. 15:37

썸네일

가주 3년 만에 인구 증가세 반전…지난해 6만7000명 늘어나

인구감소 현상을 겪던 캘리포니아주 인구가 지난해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달 30일 개빈 뉴섬 가주 지사실은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해 1월 1일부터 올해 1월 1일 사이 가주 인구는 6만7000명이 늘었다고 밝혔다. 현재 가주 인구는 3912만8162명으로 지난 1년 사이 인구증가율은 0.17%로 나타났다.     가주는 2020년 초 3950만 명으로 인구 정점을 찍었다. 하지만 팬데믹으로 인한 사망자, 타주로 떠나는 사람이 눈에 띄게 늘며 3년 동안 인구감소 현상을 겪었다.     실제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가주 인구는 총 3900명이 줄었다. 2021년 한해 가주를 떠난 인구는 69만2000명에 달했지만, 유입된 인구는 33만7000명에 그쳐 대조를 보였다. 또한 2021년에는 42만 명이 태어났지만, 사망자가 31만9000명에 달했다.     팬데믹이 끝나면서 가주 인구는 회복세다. 코로나19 사망률이 줄었고, 직장복귀 정상화, 바이든 행정부 친이민정책에 따른 신규 이민자 유입 등이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에는 39만9000명이 태어났고, 사망자는 28만1000명에 그쳤다. 지난해 가주로 유입된 인구도 41만4000명으로 늘었고, 가주를 떠난 사람은 50만5000을 기록했다.     뉴섬 지사실과 재무국은 인구 증가로 돌아선 사실을 반겼다. 재무국 HD 팔머 대변인은 LA타임스에 “인구가 감소하던 시기가 끝났다. 가주는 지속가능한 인구성장 시기를 다시 맞이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LA 카운티 인구는 4800명(0.05%), 오렌지 카운티 인구는 총 4800명(0.31%) 늘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증가세 인구 인구 증가세 인구감소 현상 동안 인구감소

2024.04.30. 20:31

가주 인구 다시 증가세…2년만에 3900만명 넘어

캘리포니아주 인구가 증가세로 돌아섰다. 매년 수만 명이 캘리포니아주를 떠나는 가운데 나타난 의미있는 변화다.   지난 15일 LA타임스 칼럼니스트 조지 스켈톤은 개빈 뉴섬 지사실이 오는 5월 1일 발표할 자료를 인용, 지난 2022년 여름 이후 처음으로 가주 인구가 3900만 명 이상으로 늘었다고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가주 인구는 2020년 초 코로나19 팬데믹이 창궐하기 직전 3950만 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당시 이민자 유입이 가장 큰 인구증가 요인으로 꼽혔다.     하지만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4월부터 2022년 7월까지 가주 인구는 70만 명 가까이 줄었다. 당시 일자리 감소, 재택근무 증가, 코로나19 감염 사망자 10만 명 등으로 인구감소폭이 컸다고 한다. 이에 따라 연방센서스는 2023년 7월 가주 인구를 3896만5193명으로 추산했다.   팬데믹이 끝나면서 가주 인구는 회복세다. 코로나19 사망률이 눈에 띄게 줄었고, 직장 복귀 정상화, 바이든 행정부 친이민정책 등 때문이다.   한편 가주 인구 증가 속도를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은 높은 물가가 꼽혔다. 스탠퍼드 대학 경제정책연구소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가주의 높은 생활비는 많은 사업체와 주민을 떠나게 하고 있다. 이는 가주의 고용시장과 재정상황을 심각하게 위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진단했다.   가주 재무국에 따르면 가주 인구는 2044년 4020만 명으로 늘어난 뒤, 2060년 3960만 명까지 줄 것으로 전망됐다.   김형재 기자증가세 인구 인구증가 요인 캘리포니아주 인구 인구 증가

2024.04.16. 21:54

쿡카운티 인구 작년 2만4천명 더 감소

가장 최근 나온 인구 조사 결과 쿡 카운티 인구가 지난해에만 2만명 이상이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연방 인구조사국은 13일 전국 카운티와 메트로폴리탄 지역의 인구 추정치를 발표했다.     인구 추정치는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표본으로 전체 인구 증감 상황을 살펴보는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성보다는 증감 추세를 살펴보는데 유효하다.     이 발표에 따르면 쿡 카운티는 2023년 7월 1일 기준 전년에 비해 인구가 2만4000명 줄어들었다. 전체 쿡 카운티 인구는 510만명으로 집계됐다.     쿡 카운티는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에 이어 전국에서 두번째로 큰 카운티다. 쿡 카운티에 이어 뉴욕의 킹스, 퀸스, 브롱크스 카운티가 뒤를 잇고 있다. 로스앤젤레스 카운티도 작년 5만6000명의 인구가 감소했다.     전국 주요 카운티의 인구 감소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두드러진 경향이다.     쿡 카운티는 지난 2020년 이후 12만8000명의 인구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인구가 밀집된 도심 보다는 교외 지역 등으로 이주하는 주민들의 숫자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작년 쿡 카운티에서는 5만8000명의 주민들이 다른 카운티로 이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해외에서 이주한 이민자들이 2만3790명으로 이들이 유입이 쿡 카운티 인구를 그나마 지탱할 수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시카고 메트로폴리탄의 인구도 감소했다. 작년 7월 기준 시카고 메트로의 인구는 926만2825명으로 일년 사이 1만6600명이 줄었으며 이는 전체 인구의 0.2%에 해당된다. 2020년 팬데믹 이후로 따지면 시카고 메트로 지역에서는 모두 18만7000명의 인구가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Nathan Park 기자인구 천명 카운티 인구 인구 감소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2024.03.14. 12:26

썸네일

개신교 소수 종교로…“10년 후 전체 인구 중 12%”

한국 사회의 탈종교화가 가파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각종 통계 지표 등을 통해 이미 교계에 경종을 울린 지 오래다. 더 심각한 건 교계는 이러한 추세를 목도만 할 뿐이다. 이러한 속도라면 개신교 역시 극소수를 위한 종교로 남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위기는 한국 기독교의 모판으로 여겨지는 미주 한인 교계 역시 크게 다를 바 없다. 목회데이터연구소가 지난 16일 ‘2023 한국인의 종교 현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결과는 충격적이다. 이대로 가면 10년 후 한국 내 개신교인은 전체 인구 중 12%에 불과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내놓았다.   본래 한국은 종교인이 무종교인보다 많던 사회였다.   이는 2017년(무종교인 53.4%·종교인 46.6%) 조사에서 사상 처음으로 역전됐다.   6년 만에 실시된 이번 조사에서는 그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목회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한국 내 개신교, 가톨릭, 불교 등 19세 이상 종교인은 37.1%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반면 무종교인은 최고치인 62.9%로 조사됐다. 두 집단 간 격차는 무려 25%p 이상인 셈이다. 이는 지난 2017년 당시 격차(6.8%p)보다 더욱 벌어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20~30대의 경우 종교 인구는 사실상 반 토막이 났다.   연령별 종교인 분포 변화를 살펴봤다.   20대의 경우 지난 2017년 당시 종교인 비율은 31%였다. 반면 2023년에는 16%로 급감했다. 30대 역시(이하 2017년 38%·2023년 19%) 상황은 심각하다. 20~30대의 종교인은 해당 세대에서 5명 중 1명도 채 안 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종교인의 노령화 추세는 점점 뚜렷하게 나타난다.   2017년과 2023년의 무종교인과 종교인 간 격차는 40대(15%p), 50대(12%p), 60세 이상(3%p) 등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좁혀지는 현상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관련해 UCLA 유헌성 연구원(사회학)은 “미국도 별반 다를 바 없지만, 포스트모더니즘 사회로 접어들면서 사람들이 점점 개인화됐고 종교라는 집단적 제도권에 속하는 것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과거와 달리 종교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과거보다 약해진 것도 원인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종교별로 보면 개신교와 불교 인구의 하락세가 컸다. 반면, 가톨릭 인구는 소폭 상승한 것이 눈에 띈다.   먼저 개신교인은 지난해 기준으로 전체 인구 중 16.6%를 차지했다. 이는 2017년(20.3%)과 비교하면 약 4%p 줄었다.     불교 인구는 2017년 당시 19.6%였으나, 현재 12.4%로 감소했다. 가톨릭 인구는 7.8%로 2017년(6.4%)에 비해 소폭 늘었다.   전체적으로 종교인은 소수에 속하지만 그나마 개신교에는 희망적인 부분이 한가지 있다. 20~30대 종교인만 따로 보면 개신교인의 비율이 그나마 높다. 젊은 층은 사찰, 성당보다는 ‘교회’에 소속된 셈이다.   20대 전체 인구 중 무종교인 비율은 85%다. 이어 개신교인(9%)이 두 번째로 많았다. 이어 불교인(4%), 가톨릭(2%) 등의 순이다.   30대 역시 상황은 마찬가지다. 무종교인(81%)을 제외하면 개신교인(11%), 불교인(4%), 가톨릭(4%)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한동안 대학 캠퍼스 사역을 담당했던 필립 이 목사는 “기존의 기독교 울타리에서 자라난 젊은 층은 교회에 실망해 기독교를 떠나거나 신앙을 잃어버리는 사례가 많다”며 “하지만 미국에서도 오히려 정신적 빈곤 등을 느끼는 젊은 비신자들이 늘면서 영적인 것을 찾아 교회 등으로 오는 사례 역시 많아진 것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그렇다고 마냥 웃을 일만은 아니다. 젊은 층이 종교를 떠나는 현상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목회데이터연구소는 보고서를 통해 “최근 10년간 20~40대 개신교인은 절반가량 감소했다”고 밝혔다.   일례로 19~29세 사이 개신교인을 보면 2023년 기준으로 9%다. 이는 2012년(19%)과 비교했을 때 10%p 줄었다.   30~49세(2012년 21%→2023년 11%), 40~49세(26%→14%) 등 모두 10%p 이상 감소했다.   ‘가나안 성도(교회를 '안 나가'는 교인을 일컫는 신조어)’에 대해서도 조사가 진행됐다.   목회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개신교인 4명 중 1명(26.6%)은 가나안 성도다. 이는 지난 2012년(10.5%)과 비교했을 때 무려 16%p가량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젊은 층 개신교인 중 가나안 성도 비율이 높았다.   연령별로 보면 19~29세(45%), 30~39세(35%) 등 가나안 성도는 절반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했다.   목회데이터연구소 측은 “개신교인 성인의 가나안 성도 비율은 27%였는데, 특히 청소년의 경우 36%가 가나안 성도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들이 성인이 된다면 앞으로 개신교 내 가나안 성도의 비율은 지속해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래에 대해서는 다소 암울한 전망을 내놓았다. 이대로 가면 10년 후 개신교인은 전체 인구의 12%대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목회데이터연구소는 보고서에서 “다른 변수를 통제하고 지난 통계를 바탕으로 추세의 기울기를 예측한 결과 향후 10년 뒤에 개신교인 비율은 12.6%로 떨어졌다”며 “가나안 성도의 비율 역시 37.1%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이는 교회 출석자 비율 급감 현상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목회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6년간 교회 출석자를 살펴보니 현재(2023년 기준) 20대(6%), 30대(9%)의 교회 출석 비율은 모두 10% 미만이다. 이는 2017년(20대 17%·30대 17%)과 비교하면 교회에 출석하는 개신교인들이 크게 줄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번 조사는 5451명(19세 이상 4751명·청소년 7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0월 18일부터 지난 1월 3일까지 진행됐다. 신뢰도는 19세 이상(오차범위 ±1.4%), 청소년(± 3.7%) 등 모두 95%다.   장열 기자 [email protected]개신교 인구 반면 무종교인 연령별 종교인 종교 인구

2024.01.22. 18:38

썸네일

일리노이 인구 46000명 늘었다

공식적인 일리노이 주 인구가 4만6000명 늘어나게 됐다. 연방 센서스국이 지난 2020년 실시한 인구 총조사에서 누락된 일리노이 인구를 찾았기 때문이다.       3일 일리노이 주지사실은 보도자료를 통해 “연방 센서스국이 2020년 인구조사 당시 빠져 있던 일리노이 인구를 확인했다. 이를 통해 수백만달러에 달하는 연방 정부의 예산이 조정될 수 있고 정확한 일리노이 주민들의 숫자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일리노이 주지사와 연방 의원들은 2020년 인구 총조사 결과가 나온 직후 센서스국에 재조사를 요구한 바 있다.     당시 일리노이의 인구는 1281만 2508명으로 10년 전에 비해 1만8000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이는 일리노이가 연방에 가입한 이후 처음으로 총인구가 줄어든 것이었다.     센서스국은 이후 자체 재조사를 통해 733개의 단체 시설(group quarters)에 거주중이던 일리노이 주 인구가 빠진 것을 확인했다. 단체 시설에는 요양원과 대학 기숙사, 교도소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추가된 일리노이 주민은 모두 4만6400명으로 집계됐다. 물론 이 숫자가 다시 파악됐다 하더라도 2020년 인구 총조사 결과가 뒤바뀌진 않는다. 인구조사 결과에 따라 일리노이에 배정된 연방 하원 의석이 18석에서 17석으로 줄었지만 이 숫자가 다시 회복되지도 않는다.     다만 2030년 인구 총조사 이전까지 일리노이 인구를 파악할 때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는 있다. 2024년 연례 인구 조사 업데이트에 반영될 예정이다. 주지사실이 한해 6750억달러 이상의 연방 정부의 지원금이 바뀔 수 있다고 지적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연방 센서스국에 재조사를 요청한 곳은 일리노이와 함께 캘리포니아와 텍사스 등이다.     한편 센서스국은 지난 12월 2023년 인구 조사 업데이트 결과를 발표했는데 이때 일리노이 인구는 최근 1년간 3만2826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번 인구 총조사 누락 인구로 이 숫자가 상쇄될 것으로 보인다.     Nathan Park 기자일리노이 인구 일리노이 인구 일리노이 주지사실 인구 총조사

2024.01.05. 13:12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