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ization Meditation, 시각화 명상’! 당신에게 생소하게 들릴 수 있지만, 말 그대로 시각적 이미지를 사용하는 명상법이다.
이 명상은 심안(心眼, 마음의 눈)을 활용한다. 꿈과 다른 점은 멘탈 이미지가 다분히 의도적이라는 점. 꿈과 같은 점은 명상을 하는 동안에 청각, 촉각, 후각 같은 감각이 의외로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는 것. 명상은 꿈처럼 격렬한 감정의 소용돌이를 고의적으로 피하는 설정이 있을 뿐. 멘탈 이미지의 해상도는 오로지 당신의 집중력에 달렸다.
나는 열 살 때 처음으로 대천해수욕장에 간 기억이 입때껏 고스란히 살아있다. 평생 처음 보는 광활한 수평선, 철석이는 파도 소리, 살에 와 닿는 바닷바람의 감촉과 소금 냄새 속에서 경이롭고 편안했다. 시각, 후각, 촉각, 그리고 총체적 체험을 되살리는 순간 영락없이 그때로 돌아간 기분이다.
명상이 끝나고 나면 온몸과 마음이 날아갈 듯 가벼워진다. 당신도 이런 기억을 되살려 보라. 그때는 좋았고 지금은 다르다, 하는 계산적 추리를 벗어나서.
지금으로부터 6, 7천년 전, 인류에 무당(巫堂)이라는 직업이 처음 생겨났을 때쯤에 시각화 명상이 성행했을 것이라는 소문이 무성하다. 문헌상으로는 기원전 1500년경 힌두교, 1000년경 유대교, 600년경 중국의 도교, 현대 불교의 명상수행, 그리고 가장 최근 1970년대 후반부터 두각을 나타낸 미국식 명상법이 거론된다.
예컨대, 인류의 올림픽 역사상 금메달을 가장 많이 획득한 미국인 Michael Phelps (1985~)의 ‘머릿속으로 하는 수영연습’ 즉 ‘image training’도 시각화 명상과 많이 닮았다. 그는 자신이 올림픽 경기에서 수영하는 일거수일투족의 이미지를 규칙적으로 상상하는 훈련을 쌓았다.
인간의 뇌는 현실과 상상을 확연하게 분별하지 못한다는 특성이 있고 바로 이것을 그가 십분 활용한 것이다. 같은 연유에서 당신과 나도 본능적으로 현실처럼 생생한 꿈을 꾸며 시각화 명상을 연마해왔는지도 모르지.
‘Mindful Meditation, 마음챙김 명상’이라는 명상법은 시각적 이미지에 눈독을 들이지 않는다. ‘염두(念頭)에 두다, 유념(留念)하다’라는 뜻의 ‘mindful’이라는 영어를 우리말로 옮기는데 고민을 많이 한 티가 나는 우리말 번역, ‘마음챙김’!
‘챙기다’는 참견(參見)한다는 한자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발음상 ‘아기’가 ‘애기’로, ‘아비’가 ‘애비’로 변했듯, 참견이 ‘챔견’으로, ‘참기름’의 방언이 ‘챙기름’이듯, 참견의 ‘참’이 ‘챙’으로 변한 후 ‘참기다’가 ‘챙기다’로 변했다는 학설이다. ‘-기다’라는 어미는 ‘엉기다’, ‘개기다’, ‘웃기다’, ‘섬기다’에서처럼 어떤 상태가 된다는 의미.
‘참견하다’는 사전에 ①자기와 별로 관계없는 일이나 말 따위에 끼어들어 쓸데없이 아는 체하거나 이래라저래라 하다. ②어떤 자리에 직접 나아가서 보다, 라고 나와 있다. ①은 부정적이지만 ②는 중립적이라는 점에 유념하시라. 그런 각도에서 ‘마음챙김 명상’은 ‘시각화 명상’에 비하면 참 여유로운 말이다.
나는 시각화 명상으로 숙련된 정신집중의 묘법으로 평화롭고 행복한 이미지를 추구한다. 마음챙김 명상을 하는 중에 얼토당토아니한 연상작용이 일어나더라도 친절하게 넘어가려 한다. 그리고 내 마음 씀씀이에 은근슬쩍 끼어들어 이래라저래라 참견할 것이다.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일으킬 수 있는 뇌 기능의 양면성을 향유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