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이 작품과 만나다] 인간은 사랑 없이는 살 수 없다는 것을

New York

2025.07.15 18:00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에밀 아자르의 ‘자기 앞의 생’
어느 단발머리 시절, 라디오에서 ‘모모는 철부지, 모모는 무지개, 모모는 생을 쫓아가는시계바늘이라. 모모는 방랑자, 모모는 외로운 그림자, 너무 기뻐서 박수를 치듯이 날개짓하며...’라고, 외치듯이 부르던 노래가 노력하지 않아도 귀에 탁 박히도록 유행한 적이 있었다. 소설, ‘자기 앞의 생’을 소재로 했던 노래… 드디어 이번에 제대로 읽어보게 되었다. 며칠 후면 처음 가보는 남프랑스 여행에 대한 예의이기도… 혹은 로맹가리 책을 두 권이나 국제 우편으로 뉴욕에 보내주셨던 로맹가리 전문 번역가를 만나기 전의 예의이기도 했으려나…
 
두 번의 특별한 결혼, 그리고 헤밍웨이처럼 스스로 삶을 마감한 특별한 이력을 갖춘 프랑스의 대표 소설가 로맹 가리가 에밀 아자르라는 필명으로 1975년 출판한 이 책은 1970년 파리의 빈민가를 배경으로 무슬림 고아 소년 모모를 주인공으로 한다.
 
매춘부 출신이지만, 어느 새벽에 호출이 되었다가 그 길로 홀로코스트에 끌려가서 가까스로 살아나온 트라우마를 지닌 유대인로자 아줌마는 자신 삶의 부채의식을 의지할 곳 없는 매춘부의 어린아이들을 돌봐준다는 선의로 연명하면서, 다른 아이는 몰라도 모모만큼은 지원이 끊겨도 꼭 돌봐주겠다는 의지가 선명했다.  
 
소설 초반부에는 열 살 소년이라고 나오지만, 실제로 열네 살, 사춘기 소년이었던 모모는, 친아버지가 매춘부와 사랑에 빠져 그를 낳았으나, 의처증으로 친모를 살해한 후, 정신병원 치료를 받다가 심장병으로 인한 죽음을 앞두고 팽개쳐뒀던 아들을 찾으러 오면서 극적으로 만나게 된다.  
 
그러나, 모모를 잃지 않으려던로자 아줌마가 유대인 소년 모세를 친아들이라며 거짓 소개하는 바람에, 독실한 무슬림이었던 친아버지는 종교적 충격으로 인해 심장마비로 사망한다.
 
시도 때도 없이 엄마를 그리워했으나 끝내 만나지 못한 모모는, 로자 아줌마에게 세상 최고의 사랑을 주며, 두 사람은 서로에게 최상의 위로자가 되어 살아간다.  
 
그러던 로자 아줌마가 늙고 병들어 요양원에 가야 하는 처지가 되었으나, 다른 이들의 주장을 뒤로한 모모는 그녀가 요양원 가기를 죽기보다 싫어했던 점을 잊지 않고, 그녀의 아지트인 지하의 세계로 그녀를 데리고 내려가 그녀와의 약속을 지키면서 끝까지 아름답게 임종을 지켜준다는 것이 책의 줄거리이다.
 
“한 아이를 키우는 데는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아프리카 속담이 있다고 한다.  
 
우리의 삶은 물론 가족이라는 가장 끈끈하고도 기본적인 단위에서 시작되어, 가족들만 잘 먹고 잘살아도 행복할 수 있을 것이지만, 길에서 만난 타자, 완전한 타인으로부터도 더 끈끈한 삶의 원동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남다른 소소함으로 말해주는 소설이었다.  
 
사회적인 약자로, 매춘을 생계의 수단으로 삼는 이들, 마약, 절도, 상해 등으로 삶이 얼룩져 있지만, 갱생의 삶을 지향하며, 엘리베이터도 없는 7층 건물을 두 발로 오르락거리며 사는 중에도, 이웃들과 진심으로 위로와 사랑을 나누는 소설 속 인물들에게서 언뜻, 혈연관계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으로, 2018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어느 가족’이라는 영화도 오버랩이 됐다. 꼭 가족 간이 아니어도 사랑은 주고받을 수 있는 ‘내 안의 기적’임을 보여주는 공통분모가 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살아가면서 멘토로 여기며 많은 인생 질문을 해왔던 동네어른, 하밀 할아버지에게 어느 날 모모가 질문을 한다. “사람이 사랑 없이 살 수 있나요?…” 그때, 부끄러워하며 “사실… 그렇단다.”하고 대답하는 할아버지의 말을 듣자마자, 모모가 울음을 터뜨리며 뛰어나가는 장면이 떠오른다.  
 
작가가 역설적으로 우리 삶의 치명적 실수, ‘사랑의 부재’ 속에서도 부단히 바쁜 척, 별일 없는 척, 잘 살아가는 척 달려가는 우리에게 넌지시 건네주는 메시지가 아닐까… 우리는 정말… 사랑 없이도 잘 살 수 있는 것일까…

박영숙 / 시인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