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불체자 체포 ICE 급습 단골 장소 '홈디포' 인력시장…기업 책임은?

Atlanta

2025.08.21 15:23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노동자들, 일감 구하려 몰려들어
회사는 단속 매출 영향 없어 침묵
지난 14일 캘리포니아주 홈디포에서 연방 이민국 요원들을 피해 도망치다 차에 치여 사망한 일용직 노동자 로베르토 카를로스 몬토야 발데스를 추모하는 추모 집회가 열렸다. [로이터]

지난 14일 캘리포니아주 홈디포에서 연방 이민국 요원들을 피해 도망치다 차에 치여 사망한 일용직 노동자 로베르토 카를로스 몬토야 발데스를 추모하는 추모 집회가 열렸다. [로이터]

애틀랜타에 본사를 둔 홈디포가 ICE(이민세관단속국)의 단골 급습 장소로 이용되면서 기업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다.
 
공영라디오 NPR은 지난 19일 열린 홈디포 2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잦아진 ICE 단속의 영향을 묻는 질문이 나왔으나 경영진이 답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NPR은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단속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기업이 있다면 홈디포"라며 "전국 곳곳의 매장에서 불체자 단속이 이뤄졌으나 언급을 피하며 침묵을 지키고 있다"고 전했다.
 
홈디포는 주택자재와 공구 등을 판매하는 대형 유통업체인 동시에 비공식 인력시장이다. 지붕 수리, 도색, 조경 일감을 구하는 일용직 노동자들이 홈디포로 몰려들기 때문이다. NPR은 "건설업 분야 인력난이 심각해자 홈디포 앞에서 대기 중인 노동자들은 공사에 필요한 인력을 확보하는 편리하고 값싼 해결책이 됐다"고 짚었다.
 
저임금 인력 대부분은 히스패닉 이민자들이다. ICE는 지난 1월 캘리포니아주 컨 카운티 홈디포 매장 앞 인력시장을 급습해 불체자들을 체포한 것을 시작으로 비슷한 단속 수법을 전국적으로 확대했다. 6월 로스앤젤레스(LA) 남부 파라마운트 홈디포 매장 급습은 전국적인 반이민단속 시위를 낳기도 했다. 라틴아메리카시민연맹(LULAC)은 19일 성명을 내고 테드 데커 홈디포 CEO(최고경영자)에게 ICE의 영장 없는 노동자 체포를 막아달라고 촉구했다. 전미노동자조직네트워크(NDLON) 역시 "트럼프 행정부의 홈디포 노동자와 고객에 대한 공격을 방관하는 것은 기본권 침해"라고 비판했다.
 
홈디포가 이민단속에 별다른 반응을 내놓지 않는 것은 매출 영향이 없기 때문이다. 건설업 경기 침체와 관세 우려에도 홈디포 2분기(5월~7월) 국내 매출은 1.4% 늘었다. 텔리 자문사의 조셉 펠드먼 애널리스트는 "홈디포의 사업모델에 일용직 노동자 네트워크는 포함돼 있지 않다"며 "고객은 그들이 없더라도 홈디포를 이용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시장조사 기관 팁랭크스는 주주들 일부가 이민 단속에 대한 우려를 공유하며 21일 주가가 1.5% 하락했다고 전했다.
 
홈디포 측은 연방법에 따른 이민단속 활동에 직원들의 개입을 자제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또 급습에 대한 사전 통지를 받지 못해 적절한 대응이 어렵다고 답하기도 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