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은 도둑처럼 찾아왔다.” 함석헌 선생의 이 말씀은 매우 복합적이고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
해방둥이의 나이가 올해 80세다. 달리 말하면, 많은 국민이 일제강점기를 잘 모른다는 이야기다. 그 시대의 아픔을 실제로 체험한 사람은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지나간 한 시대의 기억을 학교에서 배우거나, 글이나 말로 얻은 간접경험이 있을 뿐이다. 젊은 세대는 더 실감이 없다. 교과서로 배운 일방적 주입식 교육이나 대중문화와 관광여행을 통한 인식이 거의 전부다.
지난 80년간 한일관계는 양국의 정치 상황에 따라 아슬아슬하게 출렁거리며 갈등을 겪어왔다. 하지만, 세대가 바뀌고 시대가 흐름에 따라 자연스레 개선될 것이다. 그럴 수밖에 없다. 말 그대로 세월이 약이다. 하지만, 무시하거나 잊어서는 안 될 숙제가 많다. 민족적 정체성과 정신적 자존감에 관한 많은 문제들은 슬그머니 넘어가서는 절대 안 될 문제들이다.
그런 근본적 문제 중의 하나를 예로 들면, 우리 역사에는 자주적 근대가 없다는 사실이다. 이건 대단히 중요한 문제다. ‘근대’라는 낱말의 뜻을 사전은 ‘현대의 특징이 나타나기 시작한 가까운 과거의 시대’라고 설명한다. 서양의 역사에서는 고대, 중세, 근대로 구분하는데, 우리는 여기에다 전통적 왕조별 시대구분을 조합하여 고대(고조선-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대(일제강점기), 현대(8.15광복 이후)로 구분한다.
근대는 왕조시대와 현대 사회를 이어주는 징검다리다. 한 나라, 한 사회의 방향과 성격, 철학 등 기본골격이 형성되는 결정적인 시기다. 건물로 치면 기초공사요, 한 개인으로 말하면 어린이와 어른 사이의 인격을 형성하는 사춘기 같은 민감하고 중요한 시기인 셈이다.
그런데, 우리 역사에서는 근대가 바로 일제 식민지 시대였다. 나라 잃은 서글픈 시절, 아무것도 우리 힘으로 자주적으로 할 수 없는 아픈 세상이었다. 한국 사회 전반의 기초가 우리의 의지가 아니라, 일본에 의해서 닦여졌고, 현대화의 바탕이 될 서양 문물도 모두 일본을 통해서 받아들였다. 우리의 뜻이 끼어들 여지가 없었다. 사회 모든 분야에서 그랬다.
다른 분야에 대해서는 말할 처지가 못 되고, 내 전공인 미술을 예로 설명하자면 이런 식이다. 우리의 현대미술은 일본에서 공부한 유학생들이 배워온 서양미술로 시작된다. 그런데, 이 무렵 일본에서는 이미 인상파, 후기인상파 미술이 대세를 이루고 있었다. 한국 유학생들도 당연히 그런 미술을 배워서 돌아와 그대로 그렸다. 그러니까, 서양미술의 가장 오래된 철학적 바탕이자 전통인 리얼리즘, 사실주의를 건너뛴 것이다.
학자에 따라 해석이 다르겠지만, 서양미술을 받아들이면서 리얼리즘을 건너뛴 것은 문화적으로 결함(?)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리얼리즘이란 단순히 대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기술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세상을 바라보고 해석하는 관점, 미술과 사회현실의 관계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의 현대미술에는 치열한 리얼리즘 전통이 자리 잡을 공간이 거의 없었다. 80년대 초 민중미술이 등장하기까지는 그랬다. ‘구상화’라는 개념이 전부였다.
“문제 제기 차원에서 굳이 말한다면, 한국의 근대미술은 ‘지나치게 예쁘기만 하다’는 것이다. (…) 미술도 인간의 영위인 이상, 인간들의 삶이 고뇌로 가득할 때에는 그 고뇌가 미술에 투영되어야 마땅하다.”-서경식 교수
역사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시기를 우리 스스로 고민하고 설계하고 경영하지 못했다는 것은 치명적인 일이다. 근대 시기에 우리가 좀 더 당당하고 의젓하게 주인 노릇을 했더라면, 우리의 역사는 크게 달라졌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