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지난 15일 뉴욕 한국문화원에서 ‘광복 그 너머(Beyond Liberation)’라는 영화 시리즈의 개막과 함께 열렸다.
첫 상영작은 영화 ‘하얼빈’으로, 1909년 10월 26일 중국 하얼빈에서 일본의 초대 총리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통감이었던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한 안중근 의사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하얼빈은 미국에서도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으며 많은 관객의 열렬한 반응을 이끌어냈다. 그래서인지 극장은 빈자리가 없을 만큼 가득 찼고, 대기자 명단에 오른 많은 사람이 영화를 보기 위해 몰려들었다.
이 영화가 한국 밖에서 큰 주목을 받는 이유는 전 세계적으로 전쟁의 참혹한 이미지들이 휴대전화를 통해 쏟아져 나오는 현재 상황과 맞물려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소셜 미디어 덕분에 우리는 전쟁 범죄와 대량 학살을 숨기기 불가능하게 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제는 역사적 잔혹 행위에 대한 정보도 널리 퍼져 있다.
우리는 현재와 역사적 사건 모두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회에 살고 있다. 역사를 더 깊이 이해하면 현재 갈등의 원인과 사건들이 국제적으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20세기 초 한국의 독립 투사들을 살펴보면 현재 다른 나라에서 자유를 위해 투쟁하는 사람들 사이의 유사점을 발견한다. 영화 하얼빈은 압제자들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의 길고 전 세계적인 역사 중 한 장을 보여주며, 그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한 국가의 테러리스트가 다른 국가에서는 자유 투사가 되기도 한다. 우리는 이 사상을 100년 전 안중근 의사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일본에서는 그가 악당으로 비치지만 한국과 중국에서는 영웅으로 여겨지며 그를 기리는 박물관이 세워졌다고 배웠다. 세월이 흘러 이제는 일부 일본인들조차 안중근 의사를 존경하고 그에게 공감한다.
동양평화론(東洋平和論)과 같은 범아시아주의에 대한 그의 사상은 이제 널리 알려져 있고, 안 의사를 주제로 한 국제 심포지엄에서 활발히 논의된다. 그의 사상은 유럽 연합보다 훨씬 앞선 것이며, 국제연맹 창설보다도 먼저다. 이토 히로부미 암살로 인해 안중근 의사에게 내려졌던 가톨릭 교회로부터의 파문은 사후에 철회되었다.
안중근 의사가 사형 선고를 기다리며 감옥에 있었을 때, 그는 자신의 뛰어난 서예 실력을 존경하는 일본인들의 요청으로 많은 작품을 남겼다. 그의 유묵(생전에 남긴 글씨나 그림)은 일본의 수집가들에게 보존되어 있으며, 한국에 있는 여러 작품은 정부 보물로 지정되었다.
안중근 의사의 유묵 중 아시아 외 지역에 있는 것은 단 한 점뿐이다. 그가 하얼빈에 머물렀던 며칠 동안 쓴 중요한 작품이다. 작품에는 ‘나라를 위하여 몸을 버리는 것은 옳음이니 돌아볼 필요가 없다’라고 쓰여 있다. 작품에 찍힌 그의 손바닥 도장에는 단지동맹으로 잘려나간 그의 약지 위쪽 부분이 보인다.
이 작품은 감정가 200만 달러에 팔릴 수도 있었다. 코리안아트소사이어티 회장인 필자는 작품 소유주이자 우리 단체 회원인 한 미국인 부부를 설득해 올해 브루클린 박물관의 200주년을 기념하여 작품을 기증하는 것을 주선했다.
브루클린 박물관의 아시아 미술 큐레이터인 조앤 커민스 박사는 “이 작품은 매우 강력한 힘을 지녔다. 안중근 의사의 애국적인 메시지는 저항 예술의 감동적인 예다. 그의 방식을 지지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조국의 독립을 이루려는 그의 열망은 많은 사람에게 큰 울림을 준다”라고 평가했다.
기증자 중 한 분은 “미국인이 소중하게 여기는 기본적인 가치, 즉 애국심, 개인의 자유, 원하는 대로 살고 믿을 권리, 기회균등, 그리고 가족과 교육의 중요성은 전통적인 한국 문화에서 소중히 여기는 가치와 다르지 않다. 이러한 공유된 전통 가치는 미국과 한국 국민을 연결하는 근본적인 전략적 연결 고리”라고 덧붙였다.
안중근 의사의 이 희귀하고 중요한 작품은 오는 11월에 처음으로 대중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필자는 이 작품과 안중근 의사에 대해 이야기하고 박물관의 한국 갤러리를 둘러보는 코리안아트소사이어티의 행사를 마련할 것이다. 우리 단체의 모든 행사가 그렇듯이 이 행사 또한 무료이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 이메일 주소로 연락해 주시기를 바란다. 여러분을 만나 이 중요한 대화를 계속 이어나가기를 기대한다.
(이 글의 일부는 곧 출간될 로버트 털리의 회고록 『잉크타운(Inktown)』에서 발췌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