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말은 1422년 프랑스에서 샤를 7세가 부친을 이어 즉위할 때 처음 쓰였다. 왕정의 연속성을 알리기 위한 것이었다. 옛 왕은 죽었으나, 새 왕이 같은 룰 아래 통치할 것이라는 의미였다.
제2차 대전과 한국전쟁 이후, 미국은 힘과 리더십을 바탕으로 세계 질서를 구축했다. 이는 여러 이름으로 불려왔다. 팍스 아메리카나, 자유주의 세계 질서, 글로벌 체제 등….
어떤 대통령이 선출되든 기본 체제는 유지됐다. 아이젠하워가 떠나고 케네디가, 카터가 떠나고 레이건이, 클린턴이 떠나고 부시가, 부시가 떠나고 오바마가 왔어도 그랬다. 각 대통령은 미국 주도의 세계질서를 염두에 두고 정권을 운영했다. 팍스 아메리카나가 세계 각국뿐 아니라 미국에도 이익이 된다고 확신했다. ‘미국 예외주의’, ‘계몽된 자기 이익’, ‘없어서는 안 될 미국’이라는 신념이었다.
사회, 경제, 그리고 국가가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질서 속에서 번성한다는 건 자명한 원리다. 예측 불가능한 상황은 혼란을 낳는다. 미국은 여러 잘못도 저질렀지만, 세계의 균형을 잡는 동시에 안정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려고 애썼다. 자유무역이 그 중요한 수단이었다. 세계는 중간 정도의 균형 상태에 있었고, 한국은 70여 년간 예측 가능한 무역 규범과 미국의 안전보장 아래 번영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제 미국 국내 정치에서 압력이 쌓이고 있다. 과연 팍스 아메리카나가 수많은 보통 미국인들이 치른다고 느끼는 대가에 걸맞은 가치가 있는지,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 회의론을 발판 삼아 ‘아메리카 퍼스트’라는 구호로 당선됐다. 그는 이전 대통령들보다 훨씬 좁은 의미로 국익을 정의한다.
팍스 아메리카나라는 왕이 명을 다해 가고, 아메리카 퍼스트가 그의 숨통을 끊어놓을지 모른다는 사실에 한국인들이 아무리 불안해하고 불편해해도, 그게 현실이다. 아메리카 퍼스트의 구체적인 형태와 세계 질서에 대한 영향은 아직 좀더 두고 봐야 한다. 분명한 건 옛 왕이 사라질 것처럼 보인다는 점이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이 나온다. 한국, 동아시아, 그리고 세계는 언제 어떻게 다시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질서를 이루어낼 것인가? 번영의 토대인 예측 가능성을 보장해줄 그 질서 말이다. 한국은 1940~50년대 팍스 아메리카나 초기와 달리 더 이상 큰형님 미국에 의존하는 약자가 아니다. 물론 힘의 격차는 여전히 크다. 하지만 한국은 이제 세계 10위권 경제 대국이며, 미국엔 큰손 투자자다. 한국의 음식, 음악, 문화는 전 세계에서 모르는 이가 없을 정도다. 제조업에선 일본에 도전장을 내밀었고, 몇몇 분야에선 추월하기도 했다. 미국, 영국, 유럽, 호주, 인도, 필리핀 등 수많은 나라의 고등학교에 ‘코리아 클럽’이 있을 정도로 세계의 젊은이들은 한국에 푹 빠져 있다.
한국은 다가올 새 질서를 만드는 데 주체적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한 실용 노선은 옳아 보인다. 한국에선 5년 주기로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정책방향이 180도 뒤집히곤 했는데, 이젠 진보와 보수가 사려 깊은 대화를 통해 새 질서 속에서 최선의 길을 찾아가는 게 바람직하다.
미국, 아시아, 유럽 곳곳에 사무소와 지부를 둔 유서 깊은 아시아 소사이어티가 한국 지부를 다시 연다. 이는 강경화 아시아 소사이어티 회장이 주미 대사로 가기 전 최우선 과제로 지정했던 일이었다. 그는 한국 지부 재건과 폭넓은 재정적.사회적 지원 확보를 위해 임시로 책임을 맡아 달라고 내게 요청했다. 훌륭한 이사회 덕분에 그 일이 추진되고 있다.
다시 문을 연 아시아 소사이어티 코리아의 핵심 과제 중 하나는 본부의 강력한 국제 네트워크의 시너지를 한국에 제공하는 것이다. ‘새로운 왕’을 모색하고 있는 국제질서 속에서 한국이 나아갈 최선의 길을 찾으려는 이론가와 활동가들에게 말이다. 물론 진보·중도·보수 진영을 모두 아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