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공관 사칭 보이스피싱, 여전히 기승

Los Angeles

2025.10.09 19:56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대사관·총영사관 직원 사칭
범죄 연루 운운 송금 요구
전체에서 미주가 70% 차지
재외공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범죄가 미주 한인사회에서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
 
한국 외교부 자료에 따르면 재외공관 사칭 보이스피싱 건수는 2023년에는 전무했으나, 올해 1~9월 사이 23건으로 급격히 늘었다. 미주 지역에서는 지난해 1건에 불과했던 것이 올해 16건으로 급증했다. 이외 유럽 5건, 아시아·태평양 지역 2건으로 집계됐다.
 
보이스피싱 조직은 대사관이나 총영사관 직원을 사칭해 “범죄 연루 사실이 있다”며 피해자를 위협한 뒤 인터넷 접속을 유도하거나 사건 해결 명목으로 거액 송금을 요구하는 수법을 사용한다.
 
실제로 지난 2월 미국에 거주하는 한 재외국민은 대사관을 사칭한 전화를 받고 마약 사건에 연루됐다는 통보를 받았다. 그는 상대방이 보낸 링크에 접속해 개인정보까지 입력했지만, 송금 요구가 이어지자 수상함을 느껴 대사관에 신고했다. 또 다른 피해 사례로 미국에 거주하는 제프 이씨는 총영사관 직원을 사칭한 전화를 받았다. 보이스피싱 조직은 “이씨의 개인정보가 도난당해 범죄에 사용되고 있다”며 “일주일 안에 5만 달러를 보내면 사건을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칭 보이스피싱은 단순 전화 통화에 그치지 않는다. 지난 3월 뉴욕에 거주하는 한인 이씨는 뉴욕총영사관 대표번호로 걸려온 전화를 받았다. 상대방은 한국 경찰청에서 긴급 공문이 왔다며 개인정보를 요구했다. 이씨가 의심을 표하자 사기범은 영상통화를 제안했다. 통화 화면에는 경찰서 로고와 태극기가 배경으로 등장했고, 한 남성은 자신을 서울경찰청 소속 최정배라고 소개하며 경찰을 사칭했다. 〈본지 3월 7일자 A-3면〉
 

관련기사

이에 따라 주미한국대사관과 LA 총영사관은 재외국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주미한국대사관 측은 “공공기관은 전화나 온라인을 통해 개인정보 확인이나 송금을 요구하지 않는다”며 “사칭이 의심될 경우 즉시 전화를 끊고 해당 공관의 대표번호로 직접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LA 총영사관 측도 “국적·병역 안내 전화는 가능하지만 범죄 연루 사실을 전화로 통보하는 일은 절대 없다”며 “직원 사칭 후 마약 사건, 검찰 사이트 접속 등을 요구한다면 보이스피싱을 의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송윤서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