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가 있다면 너를 걷어찰거야] 브론스타인 감독, 모성의 불편한 진실 직면 은곰상 수상 로즈 번, 붕괴 얼굴로 절망 연기 천장의 구멍, 부재·죄책감의 상징적인 공간 무력한 어머니라는 역설적 자기 고백 담아
로즈 번의 연기와 메리 브론스타인 감독의 섬세한 연출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독립영화로 시작, A24가 배급을 맡아 향후 아카데미시상식에 후보로 오를 가능성이 높다. [A24]
정신 상담사의 정신이 무너져 내린다. 중병을 앓고 있는 딸, 어디에 있는지조차 모르는 남편. 그녀는 또 다른 정신치료사를 찾아가 정신 상담을 이어간다.
영화의 서사는 '정신 상담사의 정신 붕괴'라는 역설적 상황에서 출발한다. 어머니로서의 정체성 혼란, 존재감 상실, 그리고 자책감이 교차하는 내면의 풍경을 세밀하게 그려낸 영화 '다리가 있다면 너를 걷어찰거야(If I Had Legs I'd Kick You)'는 단순한 구조 안에 복합적인 감정과 상징을 응축해 놓았다. 관객의 시선에 따라 심리 스릴러, 비극적 판타지, 혹은 모성에 대한 드라마로 읽힐 수 있다.
영화의 여주인공 린다 역의 로즈 번은 제75회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최고 연기상에 해당하는 은곰상을 받았다.
영화를 연출한 메리 브론스타인은 뉴욕 출신의 독립영화 감독이다. 저예산, 미니멀 세팅, 비상업적이고 실험적 요소가 강한 환경에서 여성 인물들의 불완전함, 인간관계의 불편함, 감정의 분출·갈등을 정면으로 드러내는 스타일을 특징으로 한다.
영화는 사회가 요구하는 ‘이상적 어머니’가 되지 못함에 대한 정 신 상담자의 자기 고백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A24]
영화는 린다가 새벽에 딸의 의료 기구를 점검하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딸은 보이지 않지만, 침대 뒤편에서는 기계음과 숨소리가 들린다. 어디론가 일하러 간 남편 찰스와는 전화 통화만 오간다. 그는 딸의 상태나 린다의 감정에 대해 “조금만 더 버티라”는 말만 반복한다. 린다의 피로한 얼굴에 방 안의 적막함이 압도적이다.
어느 날 천장에서 물이 새기 시작하더니 결국 천장이 내려앉는다. 놀란 딸의 울음소리가 집 안을 메운다. 린다는 급히 집주인에게 연락하지만 아무런 조치도 취해지지 않는다. 그때부터 린다는 모든 것을 혼자 감당해야 한다는 현실에 압도되며 점점 고립되어 간다.
그녀를 둘러싸고 있는 그 모든 요소가 그녀의 삶을 흔든다. 필사적으로 현실을 붙잡으려 하지만 점점 더 무너져갈 뿐이다. 이후 린다는 모텔로 이사를 한다. 모텔은 어둡고 불편한 공간으로 아이의 의료 장비를 유지하기도 힘든 환경이다. 그런데도 린다는 세상과 단절된 이곳이 오히려 편안하다.
모텔에서 린다는 제임스라는 남자를 만난다. 두 사람은 서로의 고립된 상태를 조금 드러내는 정도의 어색한 대화를 나누지만 아무런 위로도 되지 못한다. 린다는 온라인으로 상담사 일을 이어간다. 점차 내담자와의 경계가 모호해진다. 그녀는 “아이를 미워하는 자신이 나쁜 사람인가요”라고 묻는 내담자의 말에 격하게 반응하며 세션을 갑작스레 중단한다.
밤늦은 시간, 린다는 술과 약물에 취한 채 멍하니 침대에 앉아 있다. 고통이 밀려올 때마다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고 소리를 지른다. 그녀의 상담 치료사(코난 오브라이언)는 “당신은 환상 속의 대화를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 느끼는 것 같다”고 지적한다. 그러자 린다는 폭발하듯 외친다.
코난 오브라이언이 린다의 상담 치료사로 출연한다. [A24]
“그 애는 나의 전부야. 그런데 아무도 그 애를 본 적이 없어!”
이 순간부터 관객은 딸의 존재 자체가 현실인지 린다의 내면이 만들어낸 환상인지 혼란에 빠진다. 다음 날 아침 린다는 모텔 침대 옆에서 딸의 기계음이 멈춰 있음을 깨닫는다. 그리고 어딘가에서 들려오는 목소리….“I can see you through the hole.”(구멍 사이로 네가 보여)
그날 밤 린다는 딸이 누워 있던 병원 침대와 똑같은 침대가 놓인 텅 빈 공간을 목격한다. 침대는 비어 있고 의료 장비만이 남아 있다. 린다는 한동안 그것을 바라보다가 천장을 올려다본다. 의자를 밟고 천장 구멍 쪽으로 올라가면서 영화의 제목으로 쓰인 대사를 속삭인다.
“If I had legs, I'd kick you.”(다리가 있다면 너를 걷어찰거야 )
클로즈업된 천장의 구멍을 마지막으로 린다가 그 이후 어디로 사라졌는지는 보여주지 않은 채 영화는 끝이 난다.
브론스타인 감독은 모성의 이면에 자리한 불편한 진실을 회피하지 않는다. 그녀는 린다의 심리적 붕괴를 통해 절망, 공포, 연민이 교차하는 감정의 복합성을 탐구하며 억눌린 분노와 죄책감을 상징적 서사로 표현한다. 이를 통해 모성이라는 사회적 이상과 개인의 실존 사이의 간극을 비판적으로 조명한다.
영화의 전체적인 관점은 린다의 시선을 따라가며 그녀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감독은 린다가 경험하는 현실이 왜곡되었을 가능성을 암시하고 상징적인 장면들을 통해 관객이 그녀의 감정을 체험하도록 유도한다.
린다는 이미 오래전에 딸을 잃었으며 영화는 끝까지 딸의 얼굴을 보여주지 않음으로써 대부분의 장면을 죄책감과 상실감이 빚어낸 환상으로 읽히게 한다. 천장의 구멍은 린다 내면의 '부재의 공간'을 의미하며 그 속으로 사라지는 린다의 모습은 자신의 고통과 정면으로 마주하려는 실존적 자각, 혹은 심리적 구원의 순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영화 제목 'If I had legs, I'd kick you’에는 자신이 무력한 어머니라는 역설적 자기 인식이 담겨 있다. 사회가 요구하는 ‘이상적 어머니’가 되지 못함에 대한 린다의 자기 고백이다. 어머니로서 자신의 무력감을 내비치는 그녀의 독백은 보이지 않는 신, 운명, 사회, 현실을 향한 분노의 표현이다. 이러한 감정의 밀도를 시각적으로 포착하기 위해 감독은 인물의 얼굴을 클로즈업으로 포착하고 흔들리는 핸드헬드 카메라로 린다의 불안정한 심리를 체감하게 한다.
브론스타인 감독은 이 영화가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에서 비롯되었다고 밝힌 바 있다. 딸이 심각한 신체적 질환을 앓게 되면서 가족은 뉴욕을 떠나 샌디에이고의 병원 근처로 이주하게 되었다. 병원 측에서 제공한 임시 숙소에서 8개월간 머물렀다. 이 시기에 그는 집도 아니고 병원도 아닌 ‘어색한 공간’에서 시간이 멈춘 듯한 감정을 강하게 경험한다. 자신이 점점 사라지는 느낌이었다.
브론스타인은 이 경험을 통해 엄마가 되기 전의 나와 엄마가 된 후의 나 사이의 단절을 자각한다. 그는 딸을 돌보는 과정에서 ‘어머니로서의 나’와 ‘한 인간으로서의 나’ 사이의 간극에 짓눌린다. 서로 다른 두 자아의 갈등과 긴장감이 영화의 모티브가 되었고 딸의 병실·좁은 공간·천장의 균열 같은 이미지들은 그 시절의 기억을 시각적으로 변형한 것이다.
모성은 기본적으로 사회적 부담을 동반한다. 사회는 엄마에게 역할을 기대하고 책임을 부과한다. 린다는 이 과정에서 압도당하며 자신의 삶과 존재에 대한 혼란에 빠진다. 영화는 그녀를 바라보는 관객이 어디서부터가 현실이고 어디서부터가 심리적 상상인지 그 경계의 불확실성을 체험하게 한다.
천장 구멍으로 들어간 린다는 정말로 자살한 것일까. 린다의 ‘사라짐’은 실제보다는 상징적 행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린다의 모든 행위와 대사에 담긴 이중성이 영화의 핵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