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 GPA는 10~11학년 성적 가주 출신 상위 9%내면 합격 3개 캠퍼스엔 전공 고려 없어
UC계열 주립대학의 맏형 격인 UC버클리의 중앙도서관.
내달 1일이면 캘리포니아 공립 대학인 UC시스템과 캘스테이트 시스템의 2026년 가을학기 신입생 지원이 마감된다. 지원 접수 시작은 두 시스템 모두 지난 10월1일부터 시작됐다. 일부 학생들은 이미 지원서 작성을 마치고 최종적으로 전공을 선택하기 위해서 고심하고 있다. 조기에 접수하는 것이 좋기만 한 것은 아니다. 두 시스템 모두 워낙 대규모 인원이 지원하므로 접수 전에 면밀히 살펴보는 것이 좋다.
엄청난 숫자가 신청 지원을 하다보니 UC와 캘스테이트 모두 마감일에 맞춰 지원하는 것보다 최소한 1주일은 먼저 지원해야 하는 것이 좋다. 개인 정보와 캠퍼스별 지원 학과, 심지어는 크레딧카드 번호까지 모두 입력하고 제출(submit) 버튼을 누르는데 접수가 안된다. 확실한 것은 UC온라인 시스템의 오류는 아니었다. 무엇이 온라인 접수를 막고 있는 것인가. 이미 지원서 요약을 프린트해서 봤는데 문제점을 파악하지 못했다. 잠시 동안 고교 카운슬러에게 도움을 청해야 하느냐로 고민하던 시점에서 원인을 찾았다. 고교 수강 과목의 UC과목 분류를 잘못했던 것이다. 해프닝으로 끝났지만 학부모 입장에서는 가슴을 쓸어내릴 수 밖에 없다. 혹시 우리 아이가 필수 과목을 빼먹은 것은 아닌가. 물론 그런 일은 드물다. 고교 카운슬러가 계속 챙겨줬기 때문에 그렇다. 그렇더라도 마감 당일이었다면 접수가 어려울 수 있었다. UC가 한꺼번에 접수해야 하기 때문에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UC이외 공사립 대학들은 공통지원서(common app)를 통해 대학별로 접수한다.
접수에 필요한 것
UC 신입생 지원서 접수가 지난 10월1일부터 시작됐다. 교육 전문가들은 "마감일인 내달 1일까지 기다리지 말고 늦어도 1주일 전에는 접수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UC지원은 고교 성적이 UC기준에 도달해야 가능하다. 지원 최소 요건은 가주 거주 학생은 A-G 15개 과목 영역을 이수하되 UC GPA(10~11학년 성적)이 3.0점 이상, 타주 및 외국인 학생은 최소 3.4점이어야 한다. 이외 전학년 성적표, AP시험 점수 기록, 개인 또는 부모의 연소득, 소셜 시큐리티 번호, 시민권자 여부 등 신분 상태 정보가 필요하다.
한편 가주 소재 고교 졸업생으로 최소 요건에 해당하고 UC에서 한군데도 합격 통보를 받지 못하는 경우, 고교 졸업생으로 상위 9%안에 들면 UC내 다른 캠퍼스에서 합격 통보를 받을 수 있다.
고교 졸업 필수과목인 'A-G'과정을 C학점 이상이면 지원할 수 있다. UC 지원서에서 요구하는 필수 과목과 과정은 A: 역사/사회학 2년, B: 영어 4년, C: 수학 3년, D: 실험실 과학(과학) 2년, E: 외국어 2년, F: 시각&공연예술 연주 1년, G: 대학 준비용 선택과목 1년을 충족해야 한다.
꼼꼼히 읽고 오탈자 주의해야
UC지원서는 온라인을 통해 접수하는데, 제출하기 전 서류를 먼저 프린트해서 읽어보는 것이 좋다. 하나의 지원서가 9개 캠퍼스 모두에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내용을 꼼꼼히 읽고 오탈자는 없는지 검토해야 한다.
UC계 9개 캠퍼스의 지원서는 하나지만 학교별로 지원 수수료를 내야 한다. 또한 같은 UC지만 전공과 입학 사정 기준이 다르므로 이를 고려해야 한다.
온라인으로 원서를 제출해야 하는데 접수 번호가 포함된 접수증을 이메일로 받게 된다. 지원자의 합격 여부는 이듬해 3월1일부터 31일 사이에 각 캠퍼스별로 통보된다. 등록 여부 통보는 5월1일까지다.
포괄적 심사 방식
UC의 신입생 심사 과정은 '포괄적 심사(Comprehensive Review)' 방식이다. 각 캠퍼스는 입학 지원서에 입력된 모든 정보를 사용하여 학생의 학업 및 개인 성취도를 평가한다. 학생 개인의 기록을 통해 학교 성적과 학년 랭킹 뿐 아니라 학교 수업 외에서의 리더십, 지적 호기심, 창의력 등도 파악한다. 이런 결과는 UC의 엄격하고 어려운 학업 환경에서 지원자가 성공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지를 확인해보는 과정이다. 지원서는 1명 이상의 평가자가 12개의 항목에 대해 상세히 평가한다. 에세이에 해당하는 PIQ(Personal Insight Questions)는 8문항중 4문항을 선택하며 문항당 350단어내로 작성해야 한다. 특히 조심해야 할 것은 캠퍼스마다 전공이 다르므로 원하는 전공을 잘못 넣을 경우, 엉뚱한 전공을 지원하는 지원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C공통 PIQ에 답하면서 전공을 썼는데 막상 지원한 캠퍼스에는 관련 학과나 전공이 없는 경우가 있다.
캠퍼스별 고려사항
캠퍼스마다 제공하는 전공이 다르므로 전공-캠퍼스 매칭을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
▶UC 버클리=지원자의 성과에 주목한다. 성적과 과외 활동을 우선해서 살핀다. 고난을 극복하고 성장한 지원자를 고려한다. 또한 버클리의 교육을 받고 사회 변화에 공헌할 가능성 여부를 따져본다. 공대 중에서 전자공학은 경쟁이 치열하여 합격률이 다른 공학 전공보다 훨씬 낮다. 문리대는 신입생 지원서를 심사할 때 전공 선택 여부는 고려하지 않는다. 하지만 화학, 환경 및 공학은 지원자가 선택한 전공이 중요하다. 또한 이들 전공 지원자의 수학 수준을 고려한다. 합격률은 11%이고 타주 학생은 8~10%정도다.
▶UCLA=UCLA는 학교 성적에 관심을 갖고 있다. 경쟁률이 심해서 성적이 평균보다 높아야 한다. 인문대에 지원하는 신입생은 전공 선택이 무의미하다. 그러나 공대 지원자는 고교 과정에서 수학, 과학에 얼마만큼의 성과가 있었는지 파악해 입학 결정에 활용한다. 미술대와 건축대, 연극.영화.방송학 전공을 지원하면 특별한 재능을 보여주는 오디션이나 포트폴리오를 통해 입학이 결정된다. 합격률은 2024년 9%, 2025년은 9.4%로 기록됐다.
▶UC 샌디에이고=UC샌디에이고는 8개 단과대학으로 이뤄져 있는데 이들은 마치 영국 옥스포드 대학 같이 각 단과대학별로 테마, 필수 교양과목 종류, 전통, 구성원이 다르다. 총 3곳까지 지망할 수 있다. 물론 지망 순서와 합격 가능성은 무관하다. 또한 샌디에이고는 정원제한(capped) 전공이 있다. 하지만 합격 가능성은 정원 제한 전공이 아닌 전공을 선택했다고 해서 달라지지 않는다. 전공 미결정(undecided)으로 합격될 수 있다. 또한 대부분 지원자는 전공에 상관없이 심사하게 된다. 샌디에이고 입학처는 선수 과정을 요구하는 전공으로 공학, 물리학, 인간개발학(Human Development)을 소개하고 있다. 또 프리메드 지원자는 지원시 전공을 명확히 하는 게 좋다. 음악, 연극 및 댄스, 시각예술과 같은 예술계열과 인문대 지원자는 자신의 재능을 보여 줄 수 있는 포트폴리오나 오디션 테이프, 또는 작문 샘플 등을 제출할 수 있다. 학과를 정하지 않은 채 지원해도 포트폴리오 제출이 가능하다.
▶UC 샌타바버러=문리대 지원서는 단과대학에서 직접 심사를 하지만 전공 선택 여부는 따지지 않는다. 다만, 음악 및 무용과는 1월 말 또는 2월초에 실시되는 오디션에 응해야 한다. 일부 경쟁이 치열한 전공은 3.4이상을 요구한다. 전공을 명시한 공대와 컴퓨터 사이언스 지원자는 수학, 과목 점수가 중요하다. 11학년까지 선택한 수학의 성적이 우수해야 하고 12학년에는 캘큘러스(미적분) 이상의 수학 과목을 들어야 한다. 1지망 전공에서 입학이 허락되지 않은 지원자는 2차 지망 전공이 있을 경우 해당 학과에 입학 여부를 재심사한다. College of Creative Studies의 전공 지원자는 추가 서류를 제출할 수 있으며 입학 심사에 반영한다.
▶UC 데이비스=농업환경대.생물학.공대와 인문, 미술과 문화연구학, 수학과 물리학, 사회학을 포함한 문리대는 단과 대학별로 지원서를 심사한다. 전공 미결정으로 지원했어도 소속 단과 대학에서 심사를 하게 된다.
▶UC 어바인=UC어바인은 발레, 현대, 재즈 무용 전공 지망자는 늦어도 1월이나 2월 초에 교수진으로 구성된 오디션을 치러야 한다. 음악도 악기나 성악에 상관없이 오디션을 치러야 한다. 컴퓨터 사이언스 및 공학 지원자는 고교 수학 4년 과정을 마쳐야 하는데 프리 캘큘러스(pre-calculus) 수강과 화학, 물리를 각각 1년 씩 마쳐야 한다. 프로그래밍 과목도 한 학기 수강할 것을 권하고 있다.
▶UC 샌타크루즈=UC지원 자격이 모두 있어도 바스킨 공대 지원자는 고교 GPA, 수학 및 과학 과목, 에세이를 중점적으로 심사해 합격 여부를 판단한다. 반면 지원자의 사회 경제적 상황이 특별했거나 특별한 재능, 커뮤니티 공헌도가 높은 지원자의 경우 UC 지원 자격이 다소 미달돼도 합격할 수 있다. 지원서에 기재한 전공은 입학 심사 과정에서 고려하지 않는다.
▶UC 리버사이드=입학 심사에서 전공 과목은 고려하지 않는다.
▶UC 머시드=입학 심사에서 전공 과목은 고려하지 않는다.
2026학년 가을학기 신규 전공
▶UC 버클리=Climate Systems Science, Korean Language and Culture(이상 문리대),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Environmental Engineering(이상 공대) 등 신설.
▶UC 샌디에이고=기후 및 환경 건강 집중 트랙(Public Health: Climate & Environmental Health)'을 공공보건 전공 내에 신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