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대학 교수가 제자와 수영시합을 했다. 교수는 원래 대학교 체육관에 있는 수영장에서 꾸준히 혼자 수영 연습을 하던 사람이었다. 제자와의 경기에 나름대로 최선을 다했으나, 평소에 혼자 수영 연습을 했을 때보다 기록이 안좋은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아무래도 옆에서 물도 튀기고, 제자의 숨소리도 들리고 여러가지로 신경이 많이 쓰였던 게다. 그런데 이 교수는 수영 경주가 끝나고 제자로부터 생각지도 못했던 이야기를 듣게 된다. “교수님께서 제 옆에서 수영을 하셔서 제가 긴장도 많이 되고, 교수님 신경을 쓰느라 평소 제 실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이 말을 들은 교수는 느꼈다. ‘아, 내가 상대방을 부담스러워하고 어렵게 느끼는 것만큼, 아니 그것보다 훨씬 더 많이 상대방은 나를 불편하게 느낄 수도 있겠구나.’
나는 가끔 체육관 벽면을 차지하는 커다란 거울에 비친 내 모습을 다른 회원인 줄 착각하면서 움찔할 때가 있다. ‘저런 돼지 같은 녀석이 내 옆에 있으니까 저 녀석이 내 옆을 완전히 지나갈 때까지 조금 피해 주자.’ 그런데 자세히 보면 거울에 비친 ‘돼지 같은 녀석’은 사실 나 자신이다. 나의 몸뚱아리는 내가 봐도 부담스럽고 피하고 싶은 개체인데, 남이 보면 오죽하랴. 평생을 비염 때문에 하루에도 백번씩 ‘힘차게’ 코를 푸는 소리에 우리 사무실 직원들은 얼마나 괴로울까? 서울에 가는 비행기 안에서 코를 세차게 풀 때, 옆자리 고객은 ‘한숨’이라도 쉬면서, 나에게 불만을 간접적으로나마 표시하지만, 우리 사무실 직원분들은 Boss라는 이유로 한숨마저도 참고 있지 않던가?
프랑스의 철학자 샤르트르는 ‘타인은 나의 지옥’이라고 말했다. 이 말은 여러가지로 해석이 되어왔다. 타인의 시선이 나를 어떤 특정한 ‘대상’으로 고정시켜버리는 순간, 나는 고정된 틀 안에 갇혀버린다. 누군가가 ‘너는 이기적이야’라고 규정해버리는 순간 나는 더 이상 그 틀에서 벗어나기 어려워지는 ‘이기적인 인간’이 되어 버리는 것이다. 그래서 남에 대한 규정은 조심해야 하고 웬만해서는 하면 안되는 일이다. 이 말은 동시에 내가 타인을 의식하는 순간 나의 자유는 없어지고 나 자신은 지옥에 빠진다는 말로도 해석되어왔다.
인간은 서로 ‘상대방의 지옥’이다. 하지만 인간은 동시에 ‘서로의 거울’이다. 타인의 시선이 나를 규정하는 순간, 나는 불편하고 위축된다. 하지만 동시에 나는 타인의 거울을 통해 내 자신을 다시 볼 수 있다. ‘지옥’은 ‘나를 비추는 시선’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내 주위의 많은 사람들이 나를 바라보는 ‘시선,’ 그것들이 합쳐져서 온전한 사회적인 ‘나’를 만드는 것이다. 타인의 시선은 내 자유를 뺏는 ‘지옥’인 동시에 ‘나’라는 존재를 완성하는 ‘거울’인 것이다.
슬프지만, 나이가 들수록 점점 내가 타인의 ‘지옥’이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 게다가 눈까지 흐려져 사회적인 ‘거울’ 속에 비친 나 자신마저 볼 수 없게 된다. 남이 내 말을 듣고 싶어하지 않아도 계속 내 이야기만 하고, 상대방은 이미 내 상황을 이해했는데도, 더 명확하게 내 상황을 상대방에게 이해시키기 위해서 젊은 사람에게 열번, 스무번 같은 이야기를 반복한다.
지옥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은 몇가지 있다. 먼저 내가 타인의 지옥이라는 사실을 인정해야한다. 그리고 이미 지옥에 갇힌 타인을 조금이라도 더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지옥에 갇힌 분들이 내는 소리를 인내심을 갖고 경청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지옥’이 뭔지 ‘거울’이 뭔지 아직 생각도 못해본 사람들에게 내가 속한 지옥의 맛을 보지 않도록 그들을 나의 지옥으로 끌고 들어오지 않아야 한다. 매일 거울을 보고 성찰할 일이다. (변호사, 공인회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