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문화산책] 오늘날 더욱 귀한 도산 정신

Los Angeles

2025.11.06 19:19 2025.11.06 20:19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장소현 시인·극작가

장소현 시인·극작가

매년 11월 9일은 ‘도산 안창호의 날’이다. 도산 선생의 탄생일(1878년 11월 9일)을 기념하는 날로, 지난 2018년 캘리포니아주 의회에서 공식 선포했다. 이는 미국 내 외국인 업적을 기리는 최초의 기념일이라는 역사적 의미가 있다.
 
이처럼 뜻깊은 기념일인데, 정작 미주 한인사회에서는 ‘흥사단’이나 ‘도산기념사업회’ 등의 유관 단체가 기념식을 거행하는 것 외에는 보통 사람들은 별 관심이 없는 것 같아 안타깝다.
 
도산 선생의 가르침을 되새기면, 하루만 기념할 것이 아니라 1년 365일을 ‘도산의 날’로 삼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그러면 세상이 한층 밝고 아름답고 평화로워질 거라는 소박하지만 야무진 꿈….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도산 선생은 결코 과거의 인물이 아니고, 오늘 지금 이 순간에도 생생하게 살아 숨 쉬고 있다는 점이다. 도산은 동상으로 굳어 있지도 않고, 박물관이나 기념관에 갇혀 있지도 않고, 책 속에 박제되어 있지도 않다. 오늘 더욱 귀하고 생생하게 살아계시는 현재진행형이다. 내일도 모레 글피에도 날마다 살아 말씀하신다.
 
도산의 나라사랑과 꿈은 장대하고 우렁차지만, 가르침은 아주 작고 구체적이다. 도산 선생은 높고 깊은 생각을 하고 나라의 미래에 대해 큰 그림을 그린 뛰어난 지도자였지만, 실제로 힘주어 가르치신 것은 아주 작은 것들, 그래서 우리가 대수롭지 않게 지나쳐버릴 수 있는 것들이다.  
 
나와 이웃을 사랑하라, 스스로 주인이 되라, 농담으로라도 거짓말을 하지 말고, 일단 한 약속은 목숨을 걸고라도 지켜라, 청소를 잘하라, 항상 웃으라, 우스개도 정성껏 하라, 풀 나무 한 포기도 소중하게 여겨라, 물건을 아껴 써라….
 
마음만 먹는다면 바로 실천할 수 있는 것들이고, 지금 우리에게 절실하게 필요한 덕목들이다. 땅이 몸부림치며 뒤흔들리고, 회오리바람이 땅 위를 모조리 휩쓸어가는 아슬아슬한 세상에서 우리 마음의 중심을 잡아주는 것은 도산 선생 같은 참 스승의 가르침이요, 참 어른의 마음이다.
 
그리고 도산 선생께서는 이런 가르침을 말로만 하신 것이 아니라, 몸소 실천하셨다. 직접 청소를 하고 오렌지를 따셨고, 한 어린이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걸었다. 큰소리만 치며 군림하려 드는 다른 지도자들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그래서 더욱 감동적이고, 지금도 생생하게 살아계신 것이다.
 
도산 선생께서 말씀하셨다. “만일 우리가 우리 자신부터 고치는 일을 큰일로 보지 않는다면, 우리는 세상을 속이는 사람이요, 또 우리 스스로가 속는 사람일 것이외다.”
 
그러므로, 도산 선생을 위대한 인물로 올려세우는 작업보다 더 필요한 것은 ‘인간 안창호’의 진면목을 오늘 우리의 삶에 되살리는 일이 아닐까? 그 어른의 가르침을 우리의 삶에 생생하게 되살려 실천하고, 도산의 푸근한 사람냄새를 맡을 수 있었으면… 그래서 도산을 우리의 할아버지나 큰아버지처럼 친근하게 여길 수 있게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 일을 위해서는, 특히 젊은 세대들에게 도산의 생각과 삶을 널리 알리는 다양한 형식의 문학작품, 시, 연극, TV 드라마, 영화, 음악, 뮤지컬 등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렇게 많은 젊은이들을 끌어들여 개조시키면, 세상이 조금이라도 밝고 아름다워질 것이다.
 
그런 점에서 도산기념관 건립을 위해 힘쓰는 ‘도산기념사업회’나 ‘뮤지컬 도산’ 공연에 땀 흘리는 예술가들에게 감사와 응원의 박수를 보낸다. 우리 사회가 그런 노력을 적극 지원했으면 정말 좋겠다. 우리의 건강한 내일을 위해!
 
도산께서 말씀하셨다. “우리는 과거에 살 자가 아니라, 미래에 살 자외다.”

장소현 / 시인·극작가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