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베이거스의 한 교회에서 선교 보고와 설교를 하던 주일 아침, 1부 예배 설교 직전에 상의 주머니에 넣어둔 휴대전화가 진동했다. 예배가 끝난 뒤에 확인한 메시지는 아이티 현지 스태프 조나단에게서 온 것이었다. “장애 고아원에서 아이 둘이 콜레라로 사망했습니다.”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다. 이어진 메시지에는 11명의 아이가 콜레라 증세로 입원했다는 소식이 덧붙어 있었다.
지난 2월, 장애 고아원에서 세 살 난 아만다가 폐렴으로 세상을 떠났다. 의료시설은 대부분 문을 닫았고, 의약품 공급도 어려운 상황에서, 장애가 있는 고아들은 늘 위태로운 삶을 이어간다. 그래서 그곳에서 전해오는 소식은 언제나 긴장과 걱정을 동반한다. 이번에는 콜레라였다.
요즘 아이티는 콜레라가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 며칠째 폭우가 이어지며 수도 포르토프랭스의 저지대는 침수되었고, 도로는 쓰레기가 둥둥 떠다니는 강물로 변했다. 식수가 안정적으로 공급되지 않아 대부분 지하수에 의존하지만, 위생 상태는 늘 불안하다. 오염된 물은 콜레라가 번지기 가장 좋은 환경이다.
깨끗한 물은 꿈도 꾸기 어렵다. 정수된 물을 사 마실 형편은 더더욱 아니다. 커다란 물탱크차로 공급되는 물도 깨끗하지 않다. 비가 많이 와서 사방이 물로 가득하지만 마실 물은 없다. 우물물도, 펌프 물도 모두 콜레라 같은 전염병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콜레라가 퍼졌다는 소식에 보건부 관계자들이 장애 고아원을 방문했지만, 그들이 할 수 있는 일은 많지 않았다. 사망한 아이들을 확인하고, 증세가 심한 11명을 병원으로 옮긴 것이 전부였다. 병원에 간 아이들도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수액마저 개별적으로 구해야 하는 형편이었다.
불과 한 달 전, 우리는 장애 고아원의 렌트를 해결했다. 이제 1년은 쫓겨날 걱정 없이 아이들이 익숙한 곳에서 지낼 수 있다는 사실에 감사했고, 식량도 정기적으로 공급했다. 마음 한편에는 깊은 안도감이 있었다. 그러나 그것으로 끝이 아니었다. 장애 고아들은 늘 아프고, 적절한 치료를 받기 어려운 환경에 있다. 면역력은 낮고, 배고픔을 면하게 해도 영양은 충분하지 않다. 그런 가운데 콜레라가 아이들을 덮친 것이다.
급하게 다른 고아원의 상황도 살피고, 당장 아이들이 마실 수 있는 봉지 물을 구매해 공급하기로 했다. 손바닥만 한 비닐봉지에 든 물을 아이들은 유난히 좋아한다. 그것이 그나마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물이기 때문이다. 물값으로 드는 비용은 많지 않지만, 무겁기도 하고 식량처럼 지속해서 공급하기 어려워 우리도 한동안 중단했었다. 그러나 이번 일을 계기로 다시 공급을 시작한 것이다. 물을 구매하기로 하면서 다시 깨달았다. 끝난 게 끝난 게 아니었다.
렌트를 얻어줬다고, 집을 지어줬다고 끝난 게 아니다. 집을 지어주고도 계속 식량을 지원하고, 질병을 염려해야 한다. 학교에 등록시켰다고 끝난 게 아니다. 다음 학년은 곧 돌아온다. 쌀을 한 번 사줬다고 끝난 게 아니다. 끼니는 매일 돌아오니까.
“이제 됐다”라는 마음이 들 때마다, 주님은 말씀하신다. “끝까지 사랑해라.”
장애 고아원 렌트 일 년 치를 해결해줬다는 안도감은, 콜레라로 목숨을 잃은 아이의 소식 앞에 눈물로 바뀌었다. 사랑에는 반드시 수고가 따르고, 행동이 따라야 한다. 예수님은 말씀을 전하신 후 배고픈 무리를 염려하셨고, 병든 자를 고치시며 영혼을 보듬으셨다. 사랑은 언제나 ‘끝난 게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