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90분 질주, 9억불 경제효과…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대외협력 총괄 인터뷰

Los Angeles

2025.11.24 20:14 2025.11.24 23:4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200마일 레이싱 자체가 광고
글로벌 기업들이 주요 스폰서
도시 한복판에 F1 인프라 구축
포뮬러 원(F1) 그랑프리는 단순한 스포츠 이벤트를 넘어 도시 전체가 움직이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올해 3회째를 맞은 ‘F1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는 지난해에만 9억3400만 달러의 경제 효과를 창출했다.
 
특히 F1은 세계 최고 수준의 호스피탈리티 역량을 요구하며, 관광·서비스 산업이 발달한 라스베이거스의 특성과 결합해 ‘세계에서 가장 화려한 F1’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주관사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대외협력 총괄 로리 넬슨-크래프트(사진) 전무는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의 가장 큰 특징은 도시 한복판에 영구적인 F1 인프라를 구축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F1 모회사 리버티 미디어는 약 6억 달러를 투입해 39에이커의 부지를 매입하고, 30만 스퀘어피트 규모의 패독(Paddock) 클럽 ‘그랑프리 플라자’를 조성했다.
 
그는 “이 시설은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연중 F1 전시와 체험을 운영하는 복합 공간으로, 미국 내 F1 확장 전략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넬슨-크래프트는 “운영비의 대부분은 민간 투자”라고 밝혔다. 하이네켄,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등 글로벌 기업들이 주요 스폰서로 참여하며, 라스베이거스 관광청(LVCVA)이 도시 마케팅 차원에서 유일한 정부 기관 스폰서로 참여한다.
 
그는 “LVCVA는 주민 세금이 아닌 관광객이 납부하는 호텔 숙박세(room tax)로 예산을 조성한다”고 덧붙였다.
 
경제 효과도 막대하다. 넬슨-크래프트는 “남네바다 지역이 지난해 F1으로 얻은 경제 효과만 9억3400만 달러였고, 이 중 4500만 달러가 세수였다”며 “이 가운데 1500만 달러는 공립학교 재원으로 배정됐다”고 설명했다.
 
고용 효과 역시 크다.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사에는 정규직 직원 150명이 근무하고 있다. 서킷 설치가 시작되는 9월부터 대회 운영과 철거까지 약 4개월간 안내·보안·서비스 등 분야에서만 지역 내 임시 고용 인력 4000명 이상이 투입된다.
 
그는 “패독 클럽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설은 임시 구조물로, 설치에 3개월, 철거에만 1개월이 소요된다”고 말했다.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는 도로 3.8마일을 폐쇄해 도심 서킷으로 운영된다. 지역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율도 필수다.
 
넬슨-크래프트는 “스트립 일대는 대형 이벤트가 많지만 F1은 규모가 가장 큰 행사라 더욱 정교한 조율이 필요하다”며 “지역 주민과 업주 등 1000명 이상이 매월 회의를 열어 도로 공사·폐쇄 일정을 공유하고 개선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대회 첫 해에는 플라밍고 로드에 설치된 임시 교량이 영업에 지장을 준다는 의견이 나오자, 2·3년 차에는 교량 폭을 절반으로 줄여 설치 기간을 단축했다. 주민과 관광객을 위해 도로 통제 계획과 실시간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전용 웹사이트도 개설했다.
 
넬슨-크래프트는 시가지 서킷이 도시 마케팅 측면에서도 압도적인 효과를 발휘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스포츠 관광객은 일반 관광객보다 소비 규모가 두 배 이상 크다”며 “2021년 LVCVA 근무 당시 F1이 먼저 접촉해 왔고, 이를 국제 관광 확대의 기회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전 세계 F1 시청자 수는 지난해 15억 명에 달한다. 그는 “LED 조명으로 빛나는 스트립 위를 F1 차량이 시속 200마일 이상으로 질주하는 장면 자체가 관광 광고”라며 “2023년 레이스 주간 라스베이거스가 얻은 미디어 노출 효과는 평시 1년 치의 6배”라고 설명했다.
 
한편 최근 한국에서는 인천광역시가 가장 적극적으로 F1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인천시는 송도를 중심으로 한 도심 서킷을 구상 중이다. 이에 대해 넬슨-크래프트는 “도심 서킷을 검토한다면 관광 인프라, 국제 방문객이 즐길 콘텐츠, 이동 편의성, 이해관계자 조율 능력, 주민 수용성이 핵심”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라스베이거스가 F1 측에 제안한 것은 레이스 자체가 아니라 ‘여행 목적지로서의 도시’였다”며 “한국도 도시 고유의 매력과 관광 인프라가 결합할 때 경쟁력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준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