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는 기억력과 인지능력에 이상이 생겨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능력을 잃는 무서운 질병이다.
사회가 고령화로 접어들면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질병 중 하나가 치매다. 현재 미국인의 400만 명이 치매를 앓고 있고, 65세 이상 노인의 약 10퍼센트 정도가 치매를 앓고 있다. 한국의 통계를 보면 2000년도에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은 8.3퍼센트로 보고되었다.
은퇴한 60대 후반의 김모 씨 가족들은 김 씨의 건망증이 너무 심하다고 걱정했고, 최근에는 가족들에게 자주 화를 낸다고 했다. 평소 건강했던 김 씨는 병원에 가는 것을 처음에는 꺼렸지만, 가족들의 권유로 병원을 찾아왔다.
김 씨의 이학적 검진과 혈액검사는 정상이었지만, 치매 상태 검사상 중등도 치매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김 씨는 약물치료를 시작했고, 6개월 후 재검사에는 치매가 약간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도 그 원인에 따라서 종류가 다양하다. 가장 흔한 부류가 베타 아밀로이드라는 물질이 뇌에 침착해서 뇌의 기능을 떨어뜨리고, 인지능력을 상실하게 하는 알츠하이머 질환으로 전체 치매 환자의 60∼80% 정도를 차지한다. 두 번째로 흔한 것이 고혈압이나 당뇨병 환자에게 많이 올 수 있는 혈관성 치매로 10∼20%의 치매 환자에게서 발견된다. 그 외에도 파킨슨 질환과 함께 오는 치매가 5% 정도를 차지하고, 지나친 알코올 섭취로 인한 알코올성 치매, 우울증으로 인한 치매, 약물이나 대사 장애로 인한 치매가 있다.
치매의 위험요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나이다.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서 치매 발병은 비례해서 증가한다. 또 양쪽 부모가 알츠하이머 질환에 걸렸다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치매가 올 가능성이 더 높다. 또 여성에서 알츠하이머 질환이 남성보다 더 흔히 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매를 촉진하는 유전자는 ‘아포단백(Apoprotein) Eε4’로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유발하는 아밀로이드가 뇌에 침착되는 것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외의 위험인자로는 교육받지 못한 경우가 고등교육은 받은 사람보다 치매가 더 잘 온다는 보고가 있고, 흡연과 지나친 음주도 치매를 촉진하는 원인이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유발하는 원인은 ‘베타 아밀로이드’다. 또 혈중 호모시스테인(homocysteine)이 증가하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증가하는데 치매의 위험도 증가시킬 수 있다.
운동이나 지속적인 사회 활동은 치매 예방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 금연과 과다한 음주를 삼가고 혈압, 당뇨, 고지혈증을 적정하게 조절하는 것도 치매의 위험인자를 줄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치매 환자의 뇌에는 아세틸콜린이라는 물질의 생산이 감소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뇌에서 아세틸콜린 생산을 증가시키는 약물은 초기 치매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 식품의약청(FDA) 승인을 받은 뇌피질의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제거해주는 약물도 초기 치매환자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부작용이 심각할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