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갤러리 장, 폐건물 이용 시간차 작품전

‘갤러리 장(Gallery CHANG)’이 폐건물을 이용한 시간차 기획전 ‘CHASE Project: Phase Shift’를 진행한다.     전시는 뉴욕주 업스테이트 미들타운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The Bank’에서 소개된 기획을 갤러리 장 맨해튼 관에서 프로젝트 확장 버전으로 기획됐는데, 신기운·김홍빈·안온 등 3명의 작가가 출품했다   전시는 먼저 오는 8월 5일까지는 김홍빈·안온의 작품이 전시되고, 국립현대미술관 백남준 ‘다다익선’ 복원 작업에도 참여한 신기운은 오는 8월 12일까지 ‘Illusion of Permanence’ 전시를 이어간다.     전시에서 영상 아트 작가 신기운은 공간 속 ‘존재’와 ‘비존재’의 의미를 ‘생성’과 ‘소멸’하는 세계관 속에 존재하는 이미지로 담아내는 작업으로 예술의 경계를 넘어서려는 기술적인 방법을 채택·실험하고 있다.     갤러리 장은 “신 작가는 존재하는 환경이지만 곧 없어지면 실체가 사라지며 모호하여 놓쳐버린 기억의 이미지를 타임랩스 촬영을 통해 기억 속 심리적 공간으로 새롭게 되살리는 영상 작업을 선보인다”고 소개했다.   섬유예술가 안온(An On)은 섬유를 매개로 평면·부조·설치 작업으로 독자적인 시각 언어를 구축해온 작가로, 직접 나염한 천을 찢고, 겹겹이 이어붙이는 과정을 통해 회화적이면서도 조형적인 화면을 구성한다.     갤러리 장은 “안온의 이러한 섬유 콜라주는 치밀한 구조 안에서 색채의 서사와 감각의 층위를 담아내는데, 이는 자연의 시간성과 개인의 감정, 기억의 단면을 섬유라는 물성을 통해 시각화하는 과정”이라며 “반복되는 재단과 재구성, 그리고 바느질 행위는 사유의 흔적을 남기고, 화면 속 절제된 수직과 수평의 구도는 일정한 리듬을 유지하고, 색채는 계절·빛·감정 등의 감각을 불러일으킨다”고 밝혔다.     ‘반하다(VANHADA)’라는 아티스트 명으로 활동하는 김홍빈 작가는 ‘추구하는 아름다움’과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 등을 표현한다.   갤러리 장은 “김 작가는 ‘정착하지 못한 삶에 대한 불안감’을 작품에 담아내며, 환경에서 받는 자극과 스트레스를 수용하고, 즐기고 있음을 과장된 색감으로 표현한다”며 “아크릴 페인트를 활용한 평면적인 작품을 제작하는 김 작가는 물감을 스티커처럼 활용하거나, 구기고 찢는 등의 방법으로 여러 형태의 작품을 구성한다”고 밝혔다.   한편 강수진 큐레이터는 “이번 전시는 업스테이트 뉴욕에서 시작된 전시를 또 다른 도심의 공간으로 옮겨오는 작업 자체가 ‘전환의 과정’”이라며 “공간과 예술이 어떻게 만날 수 있는지를 함께 상상해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갤러리 장 폐건물 이용 시간차 작품전 CHASE Project: Phase Shift 신기운 김홍빈 안온 갤러리 장 맨해튼 관 강수진 큐레이터

2025.08.03. 17:53

썸네일

갤러리 장 ‘햄튼 파인 아트페어’ 참가

갤러리 장(GALLERY CHANG)이 10일부터 오는 13일까지 뉴욕주 사우스햄튼에서 개최되는 ‘햄튼 파인 아트페어(Hamptons Fine Art Fair)’에 참가한다.     아트페어 일반 관람은 12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7시까지, 13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된다.   갤러리 장은 “이번 아트페어에 국내외 주요 작가들의 작품과 함께한다”며 “현대미술의 거장 김강용 작가는 전 세계 미술계에서 오랜 시간 주목받아온 인물로, 그를 대표하는 벽돌 시리즈 작품들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또 갤러리 장 뉴욕 전시에 참여했던 작품들도 함께 출품된다.     갤러리 장은 “유기적인 색채 흐름과 입체감 있는 구성으로 잘 알려진 앤디 모지스(Andy Moses), 독자적인 실버 나이트 기법을 활용한 회화로 주목받는 지미 글리슨(Jimi Gleason), 그리고 대형 금속 조각으로 미국 조각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브렛 프라이스(Bret Price)가 다채로운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갤러리 장은 “햄튼 파인 아트페어는 미 동부에서 주목받는 여름 아트페어 중 하나로, 전 세계 유수 갤러리들이 대거 참가해 현대미술의 흐름을 조망할 수 있는 중요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포브스(Forbes) 선정 ‘2025년에 꼭 가봐야 할 세계 12대 아트페어’ 중 하나로, 고급 콜렉터·미술 관계자·예술 애호가들이 대거 방문하는 이 페어는 작가들에게는 국제적인 노출 기회를, 갤러리에게는 전략적 시장 확장의 장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강수진 큐레이터는 “이번 햄튼 파인 아트페어에서 갤러리 장이 지향하는 미적 감각과 작가 중심의 철학을 좋은 무대에 선보이는 기회가 되어 향후 한국 작품을 미국 시장에 연결하는 거점으로 성장해 나가고 싶다”고 전했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갤러리 장 '햄튼 파인 아트페어' 참가 갤러리 장 GALLERY CHANG 햄튼 파인 아트페어 김강용 작가 강수진 큐레이터

2025.07.09. 20:26

썸네일

KANA·갤러리 장, 한인작가 단체전 개최

뉴욕한인예술인협회(KANA)는 맨해튼 갤러리 장(Gallery Chang)과 함께 7월 30일부터 오는 8월 18일까지 두 차례의 단체전을 갖는다.     뉴욕한인예술인협회와 갤러리 장은 이번 2차례의 단체전에 대해 “공동 기획자 이상혁과 황혜린의 기획을 바탕으로 역량 있는 한인 작가들을 조명하고 한국 미술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며 발전 가능성을 더욱 확장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전시는 1부와 2부로 나누어져 각각 ‘Binary Equilibrium’과 ‘Unbound Playground’라는 다른 주제로 진행된다.     1부 전시에는 뉴욕에서 활동하며 한국 문화적 배경을 공유하는 김태중·김세준·오진이·김다운·이상혁·조윤아·노바울, 그리고 오가영 작가가 참여한다.   1부 전시는 실존주의와 허무주의의 이중성의 맞닿아 있는 부분에 대한 작가들의 견해를 담아냈다.     8월 9일부터 8월 18일까지 열리는 2부 전시에는 애니쿤(Anikoon)·유선미·권용은·서태경·김홍빈, 그리고 박연수 작가가 참여한다.   2부 전시는 작가들의 ▶일상과 어린 시절의 경험 ▶기억과 감정에서 출발해 각기 다른 시각적 언어와 유희적인 표현으로 이뤄진 작업들을 선보인다.     전시와 관련된 자세한 정보는 갤러리 장 웹사이트(www.artgallerychang.com) 참조.   박종원 기자뉴욕한인예술인협회 KANA 갤러리 장 Gallery Chang 이상혁 황혜린 Binary Equilibrium Unbound Playground

2024.07.31. 20:03

썸네일

단색화 거장, 조용익 화백 북미 최초 회고전

  뉴욕 맨해튼의 갤러리장(Gallery Chang)'이 북미 지역 최초로 지난해 타계한 조용익 화백의 회고전 'The Hidden Masterpiece: Cho Yong Ik 1934-2023'을 오는 11일부터 개최한다.   조 화백은 한국 단색화의 주요 작가인 박서보, 정상화, 윤형근 등과 함께 한국 현대추상회화를 이끈 인물로서, 전후 한국 현대미술의 형성에 있어 매우 비중이 큰 작가로 평가되고 있다.     1934년 함경남도 북청에서 태어나 서울대 회화과를 졸업하고 추계예대 교수를 역임한 조 화백은 1961년에 ‘현대미협'과 ‘60년미협'의 연립전에 참가하는 것을 계기로 한국 추상미술의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갤러리장 이민지 수석 큐레이터는 “1950년대 후반부터 80년대에 이르는 기간은 조용익 화백이 작가로서 가장 왕성한 활동을 보인 시기였는데, 1961년 프랑스 파리 비엔날레(2nd Paris Biennale)와 1967년 브라질 상파울루 비엔날레(Bienal Sao Paulo) 등 세계 유수의 국제전 참가는 국내외에 그의 이름을 알리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조 화백은 60년대부터 단색화 1세대 작가들과 함께 활동했지만, 2000년대 초반 개인적 사정과 병환으로 미술계를 떠나는 바람에, 2010년 이후 전 세계의 주목을 받은 단색화 열풍에 함께하지 못했다. 하지만 2016년 성곡미술관과 런던 올리버 말리그(Oliver Malingue) 갤러리에서 열린 개인전과 현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진행 중인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미술'에 연달아 소개되며, 한국 단색화 운동을 이끈 1세대 화가로 국내외에서 재평가를 받고 있다.     이 수석 큐레이터는 "이번 전시에서는 총 20여 점의 작업을 선보이는데, 이를 통해 70년을 아우르는 그의 작품 세계와 한국 추상회화사의 발전 과정을 한 번에 만나 볼 수 있는 귀중한 경험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밝혔다.     한편 이번 전시는 국내외 어디서도 선보이지 않았던 조용익 화백의 초기 엥포르멜 회화 〈59-119〉(1959), 〈No 102〉(1966)와 한국의 기하학추상을 대표하는 작품 〈72-112〉(1973), 〈72-113〉(1973) 등을 최초로 선보여 국내외 미술계의 주목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시는 갤러리장 1관(150 W 55스트리트)에서 5월 4일까지 열리는데, 관람 시간은 월요일부터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조용익 조용익 화백 조용익 회고전 조용익 뉴욕 회고전 갤러리장 갤러리 장 조용익 갤러리장 회고전 박서보 윤형근 정상화 뉴욕 갤러리장

2024.04.08. 20:23

썸네일

갤러리 장, 뉴욕 업스테이트에 제2관 개관

‘갤러리 장(Gallery Chang)’이 뉴욕시 맨해튼 제1관에 이어 제2관을 뉴욕 업스테이트 미들타운(55 North St. Middletown, NY 10940)에 확장 개관했다.   ‘갤러리 장’은 “새롭게 오픈하는 제2관은 지역 사회 참여와 예술 문화 접근성을 높이는 갤러리의 정신과 부합한다”며 “제2관 초대 전시로 오관진 작가의 개인전 ‘Emptying to Enrichment: Moon Jars Path’를 2월 16일부터 3월 17일까지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개관 전시는 오관진 작가의 달항아리 작품인 ‘비움과 채움’과 함께 올해 청룡의 해를 기념해 출품한 ‘청룡: 비움과 채움(龍의夢)’ 등 다수의 신작도 함께 전시된다.       특히 이번 전시에는 한국 드라마 세트에 기여한 작품들도 다수 전시돼 K-팝(K-Pop) 팬들과 드라마 애호가들에게 인기를 끌 것으로도 예상된다.     또한 16일 오후 5시부터 7시까지 열리는 VIP를 위한 오프닝 행사에 참석하면 오관진 작가의 라이브 미술 퍼포먼스를 직접 경험할 수 있다.     ‘갤러리 장’은 “오관진 작가의 퍼포먼스는 ‘비움과 채움’을 주제로 동양과 서양 문화의 조화로움을 표현하며, 잔잔한 울림으로 다가가는 작가의 즉흥 미술 공연으로, 다문화적 내면의 대화와 공감을 자아낼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갤러리 장’은 “앞으로 제2관을 단순히 예술 표현의 장소에 국한하지 않고, 뉴욕 미들타운의 창의성, 지역사회 참여, 그리고 문화 간의 대화를 촉진하는 활기찬 문화 중심지로 키워가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한편 ‘갤러리 장’ 제1관은 지난 7일 뉴욕시 맨해튼 55스트리트에 문을 열었는데, 이번 미들타운에 제2관을 개관함으로써 한국의 문화 유산을 글로벌 단위로 확장하겠다는 미션을 이어가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갤러리 장 갤러리 장 제2관 갤러리 장 제1관 맨해튼 갤러리 장 오관진 오관진 작품전

2024.02.15. 18:44

썸네일

‘벽돌화가’ 김강용, ‘갤러리 장’ 개관 초대전

맨해튼 55스트리트에 한국 미술 작가를 알리기 위해 설립된 ‘갤러리 장(Gallery Chang·150 W 55스트리트)’이 오는 7일 세계를 뜨겁게 달군 ‘벽돌화가’ 김강용 초대전을 개관 기념전으로 공식 개관한다.   ‘갤러리 장’ 설립자인 장준환 관장은 “‘갤러리 장’ 개관을 통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아티스트(미술가)들의 작품을 뉴욕에서 전 세계로 알리는 문화 허브의 역할을 계속하고, 문화 산업의 글로벌 성장과 국가 이미지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개관 기념전에 초대된 ‘벽돌화가’ 김강용은 전 세계를 매료시킨 극사실주의 1세대 작가로, 1970년대부터 벽돌그림으로 세계 화단에 이름을 알렸다.   그는 1999년에 독일 쾰른 아트페어에서 집중 조명을 받은 이후 현재는 미국과 유럽 등 글로벌 단위에서 주목을 받는 화랑계의 거장이다.   ‘갤러리 장’ 클로이 박 수석큐레이터는 “이번 김강용의 개인전 ‘Masterpiece(2019-2023)’에선 그를 상징하는 모래로 이루어진 벽돌 시리즈, ‘리얼리티+이미지(Reality + Image)’ 작품 중 최근 작품에 집중하고 있는데, 2023년 신작도 함께 공개한다”며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까지 모노톤 회벽돌을 주로 그렸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며 다채로운 색감의 벽돌 회화 작품으로 변신하기 시작해 리얼리티를 넘어 단순과 컬러로 다시 한번 새롭게 두각을 나타내며 최근에는 단색화의 거장, 박서보를 이을 다음 세대 주역으로 불린다”고 설명했다.   이어 박 수석큐레이터는 “1세대 극사실화로부터 추상화-단색화를 아우르는 그의 작품 세계는 우리나라 미술사에 한 획을 그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며 “그의 작품은 특히 전 세계 젊은 아트 컬렉터들에게도 뛰어난 호응을 얻고 있으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그리고 LA의 레더릭아이즈먼 아트 파운데이션 등에 소장돼 있고, 또한 소더비와 크리스티 옥션하우스 등 글로벌 아트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고 밝혔다.   김강용 초대전은 2월 28일까지 진행된다. ‘갤러리 장’ 전시 정보 등은 갤러리 웹사이트(www.artgallerychang.com) 참조.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갤러리 장 Gallery Chang 장준환 관장 맨해튼 갤러리 장 김강용 작가 김강용 개관 기념전 김강용 초대전 벽돌화가 김강용

2024.02.05. 20:25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