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경찰국(LAPD)이 소속 경관들에 과도한 총격 대응 자제를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판단 잘못으로 인한 ‘오인 발포’ 사례는 오히려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관의 과잉 총격으로 숨진 한인 양용(당시 40)씨 사건과 같은 비극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라도 경관들의 정확한 현장 판단 능력을 키우는 재교육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LA타임스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LA경찰위원회는 급증하는 경관 총격 사건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LAPD에 보고서 제출을 요구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발생한 LAPD 경관의 총격 사건은 30건에 달한다. 최근 일주일 동안에만 3건이나 발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19건)에 비해 50% 이상 급증했다. 이로 인해 9명 이상이 숨지고, 부상자도 14명이 넘는다. 특히 이중 10건은 용의자가 무기를 휴대하지 않고 있음에도 오인해 발포한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해의 6건과 비교하면 크게 증가한 수치다. LA타임스는 출동한 경관들이 모형총 등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발포한 것을 ‘자의적 인식에 의한 총격(perception shootings)’으로 규정하며, 현장 판단에 심각한 문제가 있음을 지적했다. 통계에 따르면 2015년 이후 발생한 LAPD 경관 총격 사건의 18%가 오인 발포로 드러났다. 이 가운데는 수건, 열쇠, 휴대전화, 술병 등을 들고 있었던 용의자를 무장한 것으로 잘못 판단해 발포한 사례도 다수 포함됐다. 이번 LA경찰위원회 조사에는 가주 검찰의 수사 착수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가주법에 따르면 모형총 휴대는 무장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검찰은 이를 근거로 LAPD 경관 총격 사건에 대한 수사를 진행 중이다. 이 가운데 LAPD는 지난달 28일 경관 3명이 장난감 총을 무기로 오인해 발포한 사건의 보디캠 영상을 공개했다. 지난 7월 14일 보일하이츠에서 발생한 것으로 정신질환을 앓던 제레미 플로레스(26)가 밴 안에서 경관 총격에 사망했다. 당시 플로레스가 갖고 있던 것은 페인트볼용 장난감 총(Airsoft rifle)으로 밝혀졌다. 공개된 영상에 따르면 플로레스는 총격 직후 차량 운전석에 쓰러졌으나, 장난감 총이 허벅지 위에 놓여 있었다는 이유로 2시간 넘게 의료 지원을 받지 못한 채 방치됐다. 현장에 출동한 경관들은 정확한 상황 파악을 하지 못했고, 경찰특공대(SWAT)는 드론으로 상황만 관찰하다 플로레스를 결국 사망에 이르게 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경관 총격 경관 총격 경관 발포로 총격 대응
2025.09.01. 19:32
LA시가 지난 1년 동안 비무장 대응팀을 확대 운영했지만, LA경찰국(LAPD) 경관 총격대응은 되레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LA타임스와 LA경찰위원회 등에 따르면 올해 들어 사건 현장에서 경관의 총격 대응은 총 2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9건보다 42%나 급증했다. 경관 발포로 9명이나 사망하고 14명이 다쳤다. NBC4뉴스는 최근 몇 년 동안 LA지역 살인, 총격 등 강력 사건이 줄어드는 추세와 달리 경관 총격 대응은 늘었다고 지적했다. LAPD 등이 현장 출동 경관의 공권력 남용 방지를 강조하고 있지만, 출동 경관의 현장 판단 능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인 셈이다. 실제 경관 총격 대응 중 약 15건은 용의자가 총기 또는 모형총기(8건)를 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10건보다 50%나 늘어난 수치다. 특히 총격을 당한 용의자 중 30%는 정신건강 문제를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민들은 LAPD 경관들이 사실상 정신건강 도움이 필요한 민간인을 향해 무분별한 발포에 나선다며 비판하고 있다. 실제 지난해 5월 2일 정신질환을 앓던 고 양용(당시 40)씨의 부모는 정신건강국 모바일 대응팀(PMRT)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현장에 나갔던 PMRT 측은 양씨를 진정시키지 못한 채 911에 직접 신고했다. 결국 심리상태가 불안정했던 양씨는 LAPD 안드레스 로페즈 경관이 쏜 총에 맞아 사망했다.〈본지 2024년 5월 3일자 A-1면〉 이와 관련 양씨의 아버지 양민 박사는 “정신건강국 직원 윤수태씨는 상황 파악이나 아들과 대화를 시도하려고 하지 않는 등 비전문적이었다”고 말했다.〈본지 5월 5일자 A-1면〉21일 당시 PMRT 소속으로 911에 신고했던 정신건강국 직원 윤수태씨는 본지 통화에서 “드릴 말씀이 없다”고 말했다. LA 시와 카운티 정부가 유사한 비무장 대응팀을 확대하면서 현장 혼선을 키운다는 지적도 나왔다. 현재 LA시는 UMCR과 별도로 시장실 산하에 홈리스 비폭력 사건 위기대응팀(CIRCLE)도 운영하고 있다. LA카운티 정신건강국 PMRT를 운영한다. 관련 정보 안내가 부족한 상황에서 정작 도움이 필요 주민은 헷갈릴 수 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비무장 대응팀 경관 총격대응 비무장 대응팀 경관 발포로
2025.08.21. 2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