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파디야 상원의원 “놈 장관 회견서 수갑 채운 건 헌법 침해”

알렉스 파디야(민주·가주·사진) 연방 상원의원이 지난 12일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 장관 기자회견장에서 강제로 퇴장당하고 수갑이 채워졌던 사건과 관련해 공식 입장을 밝혔다.     파디야 의원은 17일 상원 연설에서 당시 상황을 생생히 증언했다. 그는 자신에게 취해진 행동들에 대해 “헌법적 권리에 대한 명백한 침해”라고 규정하고 트럼프 행정부의 비민주적 탄압이라고 비판했다. 파디야 의원은 “한 명의 상원의원이 질문하려 했다는 이유로 밀쳐지고 제압당했다면, 일반 시민들은 어떻게 안전하게 목소리를 낼 수 있겠는가”라며, “이 사건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미국 전체의 양심을 흔드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LA 연방 청사에서 열린 놈 장관의 기자회견에 참석했다가, 질문을 시도하던 중 연방 요원들에게 끌려나가 수갑이 채워졌다. 파디야 의원은 “처음에는 무릎을 꿇린 채, 이어 가슴을 바닥에 댄 상태로 수갑이 채워졌으며, 이유를 반복해서 물었지만 끝내 설명을 듣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국토안보부는 당시 그의 행동을 “무례한 정치 퍼포먼스”라고 비난했고, 놈 장관은 이후 인터뷰에서 “파디야 의원이 주목을 받기 위한 의도였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파디야 의원은 자신이 기자회견에 앞서 연방 수사국(FBI) 요원과 주 방위군 병사에게 출입 허가를 받았고, 보안 검색까지 마쳤다고 반박했다.     파디야 의원은 특히 놈 장관이 연설 중 “연방 정부의 목적은 LA를 주지사와 시장으로부터 해방하는 것”이라고 발언한 데 대해 강하게 반발하며, 이를 “비미국적인 사명 선언”이라 표현했다. 그는 “민주적으로 선출된 지도자들로부터 시민을 해방하겠다는 발언은, 민주주의의 근간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파디야 의원은 멕시코계 이민자의 아들로 LA에서 태어나 MIT 출신의 엔지니어였다. 그는 부모와 함께 이민자 권리 시위에 참여한 경험을 계기로 정계에 입문했다. LA시의회 의장, 가주 상원의원 등을 거친 뒤, 지난 2021년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연방 상원직 공석을 메우기 위해 임명됐다. 이듬해 선거에서 당선되며 가주 최초의 라틴계 상원의원이 됐다.   김경준 기자상원의원 비민주 비민주적 탄압 라틴계 상원의원 국토안보부 장관

2025.06.17. 21:41

썸네일

국토안보부 장관 IL 성역주 정책 비판

국토안보부(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크리스티 노엄(53) 장관이 일리노이 주를 방문, ‘성역 주’(sanctuary state) 정책에 대한 강하게 비판했다.     노엄 장관은 지난 7일 일리노이 주도 스프링필드를 찾아 일리노이 주의 ‘성역 주’ 정책과 JB 프리츠커(민주) 주지사의 리더십에 대한 의견을 피력했다.     노엄 장관은 이날 “2017년부터 ‘성역 주’를 자처하고 있는 일리노이 주는 결과적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너무나 살기 어려운 곳으로 변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프리츠커는 범죄자들을 위한 안식처를 만들어주고 그들에게 무료 주택, 무료 의료, 무료 지원 등을 제공하는가 하면 이들이 법의 심판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고 있다”며 “이 같은 정책들로 인해 매일 무고한 일리노이 주민들이 희생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노엄 장관은 “프리츠커는 자신이 일리노이 주에 대해 저지른 일들에 대해 부끄럽게 생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노엄과 자리를 함께 한 일리노이 공화당 의장 토니 맥콤비는 “우리는 처음부터 계속해서 일리노이 주의 ‘성역 주’ 정책 폐지를 요구하면서 민주당이 쉽게 채택할 수 있는 법안을 제시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노엄 장관의 이 같은 발언에 대해 프리츠커 주지사는 맞대응에 나섰다.     노엄 장관이 자신의 회고록에서 “훈련이 불가능하고 위험한 개를 죽이기로 결정했었다”는 내용을 인용, 프리츠커 주지사는 “노엄이 일리노이를 방문할 땐 모든 주민들은 자신의 애완동물을 가까이서 보살피기 바란다”고 비꼬았다.     이어 “일리노이 주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나 노엄과 달리 법을 준수한다”며 “적법 절차를 거부하는 트럼프 행정부가 헌법을 위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애초 일리노이 주지사 관저 앞에서 예정되어 있던 노엄 장관의 기자회견은 지난 2023년 불법체류자 가브리엘 칼릭스토에 의해 살해된 에마 셰이퍼(24)의 스프링필드 아파트 앞에서 진행됐다. 아직까지 칼릭스토는 체포되지 않은 상황이다.     노엄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 2기서 국토안보부 수장으로 지명되기 전 2019년부터 2025년까지 사우스 다코타 주지사를 역임했다. 이전에는 사우스 다코타 주의 연방 하원의원, 주 하원의원 등을 지냈다.     Kevin Rho 기자국토안보부 성역주 국토안보부 장관 성역주 정책 국토안보부 수장

2025.05.08. 13:40

썸네일

연방정부, 아시안 불법입국자 단속 강화

연방정부가 미국 국경을 통해 밀입국하는 아시안 불법이민자들에 대한 단속과 추방을 강화하고 나섰다. 한인들의 경우 불법 밀입국자는 많지 않지만, 아시안들에 대한 단속을 전반적으로 강화하고 나선 만큼 영향을 받을지 주목된다.     4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국토안보부(DHS)는 지난 2일 중국 국적자 116명을 중국으로 강제 추방했다고 밝혔다. 이번 송환은 중국 정부와 조율을 거친 뒤 주말 사이에 이뤄졌다. 국토안보부는 “전세기를 동원한 이 같은 대규모 송환은 2018년 이래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작전은 지난달 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 국토안보부 장관과 왕샤오훙 중국 공안부장이 영상통화를 통해 불법 이민자 송환 문제, 마약 퇴치, 국경을 초월한 범죄 척결 등 각종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한 후 이뤄졌다.     최근 미국에는 중남미 국가를 거쳐 남부 국경을 통해 유입되는 중국인 이민자가 급증했다. 국경세관보호국(CBP)은 지난해 10월부터 5월까지 남서부 국경을 따라 중국 국적자 3만1077명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이는 같은 기간동안 국경에서 체포된 총 인원의 4분의 1에 해당한다.     국경을 넘어 유입되는 중국인들은 보통 임금과 교육, 숙련 수준이 낮은 소외계층이다. WSJ는 “비자를 받을 가능성이 거의 없는 이들이 많으며,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거나 중국 당국으로부터 탄압을 받고 밀입국하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한편 시라큐스대 산하 업무기록평가정보센터(TRAC)에 따르면, 이민법원에 회부돼 추방 위기에 있는 중국인 수는 2020~2021회계연도 2464명에서 2022~2023회계연도 1만66명으로 늘었다. 한국인의 경우에도 같은기간 201명에서 381명으로 증가했다. 김은별 기자중국 불법입국자 아시안 불법이민자들 불법 밀입국자 국토안보부 장관

2024.07.04. 18:36

국토안보 장관 탄핵안 연방하원서 1표차 가결

연방하원이 남부 국경 통제 실패로 인한 망명신청자 급증 등을 이유로 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사진) 국토안보부 장관에 대한 탄핵안을 가결했다. 미국에서 현직 각료에 대한 탄핵안이 하원에서 가결된 것은 1870년대 이후 약 150년 만에 처음이다.     13일 공화당 다수의 연방하원은 본회의 표결에서 찬성 214표, 반대 213표로 마요르카스 장관 탄핵안을 가결했다.     최근 망명신청자 유입 문제가 대선의 핵심 쟁점으로 떠오른 상황에서, 야당인 공화당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국경관리에 실패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공세의 맥락에서 마요르카스 장관 탄핵안도 추진해왔다.     앞서 하원은 지난 6일 마요르카스 장관 탄핵안에 대해 표결했지만, 공화당 내에서 이탈표 3표가 나오면서 부결된 바 있다. 이번 표결에서도 공화당 내 반대표가 있었지만, 지난 표결 당시 암 치료 때문에 불참했던 스티브 스컬리스 공화당 원내대표가 참여하면서 1표 차이로 아슬아슬하게 가결됐다.     마요르카스 장관의 해임 여부는 ‘탄핵심판권’을 가진 연방상원에서 최종적으로 가려진다. 상원은 민주당이 다수당인데다, 재석 의원의 3분의 2가 찬성해야 해임이 가능하다. 김은별 기자국토안보 연방하원 국토안보부 장관 국토안보 장관 1표차 가결

2024.02.14. 19:48

썸네일

“한인들 의견, 정책에 반영할 것”…DHS 차관보 한인타운 방문

아시안 커뮤니티 내 인종차별 방지와 예방을 위해 국토안보부(DHS)가 직접 나섰다. 국토안보부 관계자 한인 커뮤니티를 직접 방문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브랜다 압데럴 DHS 차관보, 니콜라스 라스무센 대테러 코디네이터, 존 파카렐리 국가안전보장회의 대테러 예방 국장은 29일 LA한인타운에서 한인 및 아시안 커뮤니티 관계자들과 만나 아시안 증오범죄 증가에 대한 커뮤니티의 우려를 듣고 지원을 약속했다.   압데럴 차관보는 “애틀랜타 스파 총격 사건 2주년을 맞아 국토안보부가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지역을 방문하고 있다. 현재 애틀랜타에도 담당자가 나가 한인 및 아시안 커뮤니티와 미팅하고 있다”며 “모든 의견을 백악관과 국토안보부 장관에 전달하고 개선점을 찾아 나가겠다”고 말했다. 또한 비영리기관과 종교단체를 대상으로 증오범죄나 테러 예방에 필요한 기금 지원에도 관심을 쏟겠다고 덧붙였다.   이 자리에는 임혜빈 DHS 종교기관 안보자문위원, 레일라 이 LA시장실 아태 경제개발 디렉터, 에스터 임 힐다 솔리스 카운티수퍼바이저 사무실 보좌관, 그레이스 유 LA시 10지구 시의원 후보, 비블리카 차 UC어바인 교수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레일라 이 디렉터는 “주류사회에서 아시안은 도움이 필요 없는 커뮤니티라고 인식하고 있어 팬데믹 기간에도 제대로 지원을 받지 못했다”며 “하지만 극빈자층 상당수가 아시안들이다. 이들에 대한 관심과 도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1월 몬터레이파크 중국계 커뮤니티에서 발생한 총격사건 피해자들을 도왔다는 앤젤리카 추 우리재단 대표와 에릭 첸씨는 “외상은 없지만, 정신적 충격을 받은 피해자 30여명은 지금도 상담 등의 도움을 전혀 받지 못하고 있는 상태”라며 “이들뿐만 아니라 아시안증오범죄 사건에서도 직접적인 피해를 보지 않았다는 이유로 사법기관에서 외면당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고 전했다.   아태주택환경정의의 수잔 박씨는 “실제로 랠프 상점에서 종업원의 인종차별적인 대우와 발언을 듣고 경찰에 신고했지만, 경찰은 ‘그럴 리가 없다’며 케이스를 접수하지도 않고 관련 수사도 하지 않아 도움을 전혀 받지 못했다”며 “아시안을 대하는 사법기관의 잘못된 행동과 판단을 개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비블리카 차 교수는 “아시안 커뮤니티를 위한 연구기금도 많지 않아 정책지원에 필요한 연구도 더디다”고 설명하며 관련 예산 증액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회의를 주관한 임혜빈 자문위원(FACE 회장)은 “현재 DHS가 증오범죄나 테러에 대한 예방 차원에서 비영리기관과 종교단체를 대상으로 관련 시설 설치에 필요한 기금을 지원하고 있다”며 “아태 커뮤니티 지원에 필요한 기금 지원 등을 요구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안보부 지원금 정보는 관련 웹사이트(grants.gov)에서 찾을 수 있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국토안보부 한인타운 국토안보부 장관 아시안 커뮤니티 아시안증오범죄 사건

2023.03.29. 20:57

썸네일

국토안보부 장관도 코로나19 돌파감염

 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 연방 국토안보부 장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국토안보부 대변인은 19일 "마요르카스 장관이 오늘 아침 해외 출장에 앞선 코로나19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다"며 "증상은 경미하다"고 밝혔다.   마요르카스 장관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모두 완료했지만 돌파 감염됐으며, 현재 재택 근무 중이라고 국토안보부는 덧붙였다.   마요르카스 장관은 애초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함께 콜롬비아를 방문할 예정이었다.   전날에는 흑인 최초로 합참의장과 국무장관을 지낸 콜린 파월 전 장관이 코로나19로 별세한 바 있다.   이밖에 린지 그레이엄 공화당 상원의원을 비롯해 샤리스 데이비스 민주당 하원의원, 랠프 노먼 공화당 하원의원 등도 백신 접종을 마쳤지만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2021.10.19. 15:01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