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사설] 묘소 찾기는 역사적 책무

광복 80주년을 맞아 미주중앙일보가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화랑청소년재단과 함께 ‘독립유공자 묘소 찾기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최대 한인 은행인 뱅크오브호프도 후원으로 참여한다.   120여 년 전 척박한 땅에 이민와 하루벌이로 살면서도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우리 선조들의 숭고한 희생은 세월이 갈수록 잊혀가고 있다. 특히 선조들이 잠들어 있는 묘소마저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프로젝트의 우선 목표는 방치된 묘소 실태 조사 및 편람 제작이다. 또 정기적으로 묘소를 찾아 미화 작업도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잊힌 역사를 발굴하고, 그 가치를 다음 세대와 공유하는 데 의의가 있다.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클라라 원 이사장의 말처럼 “하루에 10시간씩 일하며 한 달에 26불 남짓한 돈을 벌어 조국에 독립운동 자금을 보냈던 선조의 이야기”는 그 어떤 교과서보다 생생한 역사 교육이다.   ‘묘소 찾기’가 우리 자녀들에게 진정한 민족혼을 심어주는 이정표 역할을 하기 위해선 반드시 지켜져야 할 과제들이 있다.  그래서 이번 프로젝트는 단발성 행사에 그치지 않고 지속 가능한 시스템으로 정착되어야 한다. ‘3인 1조’ 묘소 관리, 정기적인 미화 작업, 전국 20개 주로의 확대 계획은 훌륭한 시작이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할 한인 사회 전체의 꾸준한 관심과 참여, 그리고 뱅크오브호프 등 기업들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또 독립유공자의 흔적을 찾아내고 기록하기 위해 한국 정부 및 관련 기관, 전문가들의 협업도 시급하다.     무엇보다 기성세대의 책임 있는 역할이 중요하다. 화랑청소년재단의 박윤숙 총재가 “자녀들이 역사를 모르는 건 어른들 잘못”이라고 지적했듯, 우리 주변에 산재한 역사의 흔적들을 제대로 가르치고 보존하지 못한 과오를 반성해야 한다. 부모가 자녀와 함께 묘소를 찾고 역사를 이야기하는 모습이야말로 가장 효과적인 뿌리 교육일 것이다.   ‘묘소 찾기’의 다른 이름은 ‘유산 발굴’이다. 잊힌 역사에서 잡초를 걷어내고 드러난 선조의 이름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역사적 책무이자 우리가 물려줄 민족의 가치다. 이 소중한 불씨가 미주 전역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한인 사회 모두의 지혜와 역량을 모아야 할 때다.사설 묘소 역사 역사적 책무 독립유공자 묘소 묘소 실태

2025.05.28. 19:17

다음 세대가 역사 모르는 건 어른들 잘못

역사의 현장에는 생동감이 배어 있다.   독립유공자들의 숨결이 스민 LA 한인타운 인근 로즈데일 묘지에 오는 24일 화랑청소년재단 소속 학생들이 방문한다. 미주 지역 독립유공자 묘소 관리 및 실태 조사를 위해서다. 학생들은 오랜 시간 방치된 독립유공자들의 묘비를 직접 하나하나 닦으면서 역사적 의미를 마음으로 되새기게 된다.   화랑청소년재단 박윤숙 총재는 22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올해가 광복 80주년인데 애국지사들의 삶을 살펴보면 저마다 독립을 위한 투쟁기가 있다”며 “이런 역사를 교실 책상에 앉아서 배우기보다, 현장에서 직접 보고 느낄 때 그 가치가 훨씬 깊게 와닿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히 독립유공자들에 대한 묘소 관리 차원이 아닌 그 이상의 목적이 있다.   박 총재는 “이 프로젝트의 최종 목표는 애국지사들의 묘소를 파악하고 정비한 뒤 이들을 한국의 국립묘지로 이장하는 것”이라며 “단기적인 활동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역사 보존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현재까지 파악한 독립유공자 묘소 외에, 아직도 발견하지 못한 애국지사들의 묘소를 찾는 일이다. 또, 한 세기에 가까운 시간이 흐르면서 부식돼 식별마저 어려운 묘비를 다시 세우고 그 의미를 선명하게 드러내는 작업도 진행해야 한다.   박 총재는 “장의 업체 전문가 등을 만나 훼손된 묘소, 묘비 등을 어떻게 복구해야 하는지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며 “우리는 현재 20개 주에 지부가 있는데 화랑의 인프라를 이용해 LA를 비롯한 전국 각지의 독립유공자 묘소를 찾아내고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화랑청소년재단 측은 프로젝트를 위한 조사팀도 구성했다. 조사팀은 애국지사들의 묘소 위치, 삶의 행적 등을 조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데이터화할 계획이다.   박 총재는 대한인국민회 등과 함께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기성세대의 중요성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그는 “우리 주변을 잘 살펴보면 한인 역사의 흔적들이 곳곳에 있는데 이를 제대로 교육시키지 않은 건 우리 모두의 잘못”이라며 “어른들도 역사를 잘 모르는데, 다음 세대가 더 모르는 건 너무나 당연한 것 아닌가”라고 안타까워했다.   박 총재는 “역사를 모르면 한인 2세, 3세 같은 명칭도 필요가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점 때문에 24일 진행될 행사에는 학부모들도 함께 동참한다. 자녀들과 함께 묘소에서 잡초도 정리하고, 독립유공자들의 역사를 함께 나누겠다는 취지다.   이미 화랑청소년재단은 대한인국민회와 손을 잡고 도산 안창호 역사 학교를 운영 중이다. 자원봉사를 통해 글렌데일 위안부 소녀상, 풀러턴 한국전 참전 용사 기념비 등도 관리하고 있다.   박 총재는 “이 프로젝트가 전국적으로 확대되면 역사학자 등을 비롯한 한인 사회 각 분야 인사들의 참여도 필요할 것”이라며 “관리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건 차세대가 우리의 역사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프로젝트는 미주중앙일보,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 화랑청소년재단이 주관하고, 한인 은행권 최초의 리저널 뱅크이자 최대 한인 은행인 뱅크오브호프가 후원한다.   송영채 기자현장에서 역사 독립유공자 묘소 한인 역사 역사적 의미

2025.05.22. 22:00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