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터카 업체 허츠(Hertz)가 인공지능(AI) 기반 차량 손상 감지 시스템을 국내 주요 공항에 도입하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차량 반납 후 사람이 보기 어려운 흠집에 대해 AI가 자동으로 손상을 판독하고 고액의 요금을 부과하면서, 공정성과 투명성 논란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가을 애틀랜타 하츠필드-잭슨 국제공항에서 AI 고화질 스캐너를 도입했고, 현재 뉴어크, 샬럿, 피닉스, 탬파, 휴스턴 등 6개 공항에서 해당 시스템을 운용 중이다. AI 시스템은 입출차 시 수천 장의 차량 사진을 촬영해 반납 전후 상태를 비교 분석하고 손상 여부를 자동 판별한다. 이 과정에서 사람의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흠집에도 청구가 이뤄지면서 고객과의 마찰이 커지고 있다. 최근 한 고객은 1인치 크기의 타이어 스크래치에 대해 440달러를 청구받은 사례가 알려지면서 논란이 확산됐다. 이외에도 뉴욕 거주자 켈리 로저스 부부는 지난 4일 애틀랜타 공항에서 허츠 차량을 반납한 뒤, 앱을 통해 차량 문 흠집에 대한 195달러의 청구서를 받았다. 이 중 50달러가 수리비였고 115달러는 ‘감지 및 처리 수수료’였다. 로저스는 “흠집이 보이지 않았고, 직원도 아무 말이 없었다”며 이의를 제기했으나, 허츠는 AI 감지를 근거로 청구 입장을 고수했다. 문제는 이 같은 수수료 청구 방식이 고객 동의 없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다. 허츠는 “전체 차량의 3% 미만에만 청구가 발생하며, 고객이 이의 제기 시 직원이 보고서를 재검토한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손상 판단과 청구는 일단 AI가 자동으로 처리하며, 비용 산정 기준이나 감지 수수료의 구체적 근거는 공개하지 않고 있다. 또 AI 시스템 운영비를 소비자에게 떠넘기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소비자 단체들은 특히 ‘감지 및 처리 수수료’의 부과가 내부 시스템 운영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소비자 권익옹호 관계자는 “수리비와 별도로 감지 비용까지 부과하는 것은 사실상 이중 청구”라며 “이해당사자의 검토나 동의 없는 요금 청구는 불공정 약관 소지가 있다"고 비판했다. 해당 기술을 개발한 업체 유브이아이(UVeye)는 “사람보다 5배 더 많은 손상을 감지해 6배 많은 손상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한편 식스트(Sixt)는 AI 기반 스캐너 ‘카게이트’를 사용 중이나 사진 검증 절차를 병행하고 있으며, 에이비스(Avis)와 엔터프라이즈(Enterprise) 등은 여전히 사람이 점검하는 방식만을 채택하고 있다고 밝혔다. 허츠는 올해 AI 시스템을 더 많은 공항으로 확대할 예정이나, 구체적인 장소나 시기는 밝히지 않았다. 정윤재 기자렌터카 타이어 논란 세계 렌터카 업체 바가지 요금
2025.07.13. 20:16
LA지역에 렌터가 업체를 차려놓고 남미 등에서 온 원정 절도단을 조직적으로 지원한 총책이 경찰에 검거됐다. 연방검찰가주 중부 지검에 따르면 LA지역에 렌터카 업체인 ‘드라이버 파워 렌탈’을 운영하며 칠레 등 남미에서 온 원정 절도단의 범죄를 공모한 혐의로 6명을 기소했다. 후안 톨라듀란(57), 애나 마리아 아리아가다(41) 등은 렌터카 업체를 운영하면서 지난 2018년 1월부터 지난 7월까지 남미 지역 조직원들을 관리 및 지원하고 절도단을 구성해 범죄를 공모하는 등 40건 이상의 혐의를 받고 있다. 마틴 에스트라다 연방 검사는 “이들은 원정 절도단이 덜미를 잡히지 않도록 허위 신분증을 통해 렌터카를 제공했다”며 “이들은 훔친 절도범들에게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장물 처리 등을 도맡아 이득을 챙겼다”고 말했다. 이번에 기소된 6명은 ▶자금 세탁 ▶범죄 공모 ▶보이스 피싱 ▶신분 도용 등의 혐의를 받고 있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원정절도단 작성 원정절도단 la 원정 절도단 렌터카 업체
2024.08.28.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