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캐나다 TFW 프로그램 폐지 여론 확산

  새로운 여론조사에 따르면 캐나다 국민의 44%가 임시 외국인 근로자(TFW) 프로그램을 폐지해야 한다고 답했다. 특히 15-24세 청년층 실업률이 7월 기준 14.6%에 달하는 가운데, 청년층과 30-44세 연령대에서 폐지 찬성 비율이 50%를 넘었다. 반면 60세 이상 응답자는 37%만이 폐지에 찬성했다.   피에르 폴리에브 보수당 대표는 높은 청년 실업률을 근거로 프로그램 폐지를 촉구했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보수당 지지층들은 대체로 찬성했지만, 자유당 지지층들에게는 찬반이 엇갈렸다. 전문가들은 이 사안이 보수당에게 정치적 쟁점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분석한다.   9월 초 마크 카니 총리는 “프로그램 폐지는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며, 현재 이 정책이 광범위한 이민 정책 검토의 일부라고 밝혔다. 정부는 임시 거주자 비율을 국민의 5% 수준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 비영주권자는 7.1%를 차지한다.   한편, 웹 개발자 타이렐 체임버스가 만든 Job Watch Canada 사이트는 캐나다 일자리 은행에 올라온 임시 외국인 근로자 채용 공고를 추적한다. 체임버스는 “대졸 신입생들 조차 자신들의 전공 분야에서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일부 기업들이 캐나다인 노동자를 구하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TFW 채용을 요청하는 현실이 이해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청년층이 느끼는 일자리 불안과 경제적 불확실성이 TFW 프로그램 폐지 논쟁으로 연결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그러나 레스토랑 업계 등 일부 산업계는 프로그램 폐지가 관광과 서비스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캐나다 외국인근로자 TFW프로그램 프로그램폐지 마크카니 피에르폴리에브 이민정책 청년실업률

2025.09.12. 6:34

썸네일

캐나다 스트롱 패스, 국내 여행 활성↑

  여름철 프로그램, 관광 활성화에 기여 연방 정부가 올여름 도입한 ‘캐나다 스트롱 패스(Canada Strong Pass)’가 철도 여행과 박물관, 역사 유적지, 국립공원 방문을 늘리는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무료·할인 혜택 제공 캐나다 스트롱 패스는 6월 20일부터 9월 2일까지 시행됐으며, 17세 이하 청소년에게는 국립박물관 무료 입장을, 18~24세에게는 50% 할인 혜택을 제공했다. 또한 공원 관리청(Parks Canada)이 운영하는 국립공원과 유적지 입장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었다.   방문객 증가 효과 캐나다 문화유산부는 보도자료에서 패스 시행 초기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립공원 방문객이 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한 여름철 중반에는 참여 박물관 방문객이 지난해 대비 평균 1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철도 여행 이용률도 상승 비아레일캐나다(VIA Rail Canada)는 보도자료를 통해 패스를 이용한 예약 건수가 5만 건을 넘었다고 밝혔다. 이 패스는 성인과 함께 여행하는 17세 이하 청소년에게 무료 승차 혜택을, 18~24세에게는 할인된 요금을 제공했다.   ‘캐나다 강력 패스’는 청소년과 젊은 세대의 문화·관광 참여를 촉진하며, 여름철 관광 활성화와 철도 이용 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아직 캐나다 스트롱패스를 이용해보지 않았다면, 이번 가을 캐나다 스트롱패스를 활용해 기분 좋은 국내 여행을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 캐나다 스트롱패스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캐나다 정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캐나다 캐나다스트롱패스 스트롱패스 마크카니 비아레일 국내여행

2025.09.10. 6:52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