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무대와 시선] 나빌레라

한때 웹툰 ‘나빌레라’에 푹 빠져 지낸 적이 있다. ‘나비처럼’이라는 뜻의 제목만큼 그림체가 곱고, 일흔에 발레를 시작하는 은퇴 우편공무원과 그를 가르치는 발레리노가 꿈인 23세 주인공의 이야기가 재미있어 웹툰 연재 시간에는 아주 컴퓨터에 코를 박고 있었다. 지난 2021년 이 웹툰이 드라마로도 제작돼 춤추는 두 남자의 모습을 실감나게 TV로도 즐겼던 기억이 생생하다.     솔직히 그전까지 발레하면 으레 발레리나에만 관심이 갔었다. 백조처럼 여리고 우아한 자태로 무대 위를 날아다니며 춤추는 발레리나의 모습을 보며 공연을 즐기곤 했다. 하지만 ‘나빌레라’ 이후 확실하게 눈길이 발레리노에게 갔다.   힘차게 공중을 날아오르며 선보이는 ‘제떼(한 발로 점프했다 다른 발로 착지)’, ‘아쌍블레(한 발로 점프했다 두 발로 착지)’, ‘앙트르샤(공중에서 다리를 교차하며 뜀)’ 등 발레리나에게는 느낄 수 없는 독특한 역동성을 발레리노에게 강렬하게 느낄 수 있었던 것도 나빌레라 덕이었다.     흔히 발레를 여성 무용수가 주도하는 프랑스 예술이라 생각하지만, 사실 발레는 15세기 이탈리아에서 남성 예술로 창안됐다.   당시에는 다른 모든 분야와 마찬가지로 여성은 발레에 발도 들일 수 없었다. 그러다 16세기 피렌체 출신인 카트린 드 메디시스 왕비가 프랑스 앙리 2세와 결혼하며 다른 이탈리아 예술과 함께 프랑스에 전해졌고, 루이 14세가 발레에 열광하면서 귀족사회의 필수 교양예술로 발전했다. 여성이 발레 무대에 등장한 것은 17세기부터였다.   프랑스에 번성하던 발레는 프랑스 혁명 당시 왕실·귀족사회와 함께 왕립 발레 아카데미가 붕괴하면서 인재들이 환영받던 러시아로 진출했다. 덕분에 러시아는 발레의 왕국이 됐다. ‘볼쇼이’나 ‘마린스키 발레단’이 세계 최고의 명성을 얻게 된 것도 프랑스 혁명 덕이라 할 수 있다. 러시아에서도 발레는 장교학교에서 필수 훈련 과목이었을 정도로 남성 위주였다.   지난 7월24일부터 27일까지  코스타메사의 시거스트롬 홀에서 미국 최고의 발레단으로 손꼽히는 ‘아메리칸 발레 시어터(ABT)’의 ‘지젤(Giselle)’ 공연이 있었다.     아돌프 아당의 음악에 장 코랄리, 쥘 페로, 마리우스 페티파가 공동 안무한 이 작품은 로맨틱 발레 대표작이자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무대에 오르는 작품이다. 다양하고 드라마틱한 기교를 선보일 수 있어 많은 발레리나, 발레리노가 기량을 뽐낼 수 있는 최애 작품으로 손꼽는다.   기쁘게도 이번 지젤 공연에는 한인 무용수 여러 명이 출연했다. 오프닝엔 ABT의 간판 무용수로 활동하는 발레리나 서희가 타이틀 롤을 맡았다. 특히 26일 공연에서는 발레리노 안주원이 남성 주역인 알브레히트 백작 역을 맡았다기에 선뜻 26일 공연을 보기로 했다.     아니나 다를까, 세계적 명성을 얻고 있는 안주원은 대단했다. 그야말로 ‘나빌레라’, 무대 위를 힘차게 훨훨 날아다녔다. 객석을 가득 메운 관객은 그의 뛰어난 연기와 기량에 아낌없는 박수로 환호했다. 정말 자랑스러운 순간이었다.   중학교 때 키가 커진다는 권유로 이모의 무용교습소에서 발레를 배우기 시작한 안주원은 곧 재능을 인정받았다. 선화 예고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공부하며 여러 국제 콩쿠르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고, 2013년 ABT에 입단해 현재 세계적 발레단이 탐내는 수석 발레리노로 우뚝 섰다.   놀랍게도 현재 여러 한인 발레리노가 세계 유수의 발레단에서 활약하며 빛을 발하고 있. 이미 발레리나 서희의 뛰어난 활약으로 한인 커뮤니티에 친숙한 ABT에는 안주원외에도 한성우가 솔리스트로 활약 중이다. 마린스키 발레단에는 수석무용수 김기민과 전민철이 솔리스트로 활동하고 있으며 네덜란드 국립발레단에는 최영규가 수석 무용수로 13년째 더치 발레팬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다.     또한 지난 2월엔 스위스 로잔발레 콩쿠르에서 16세의 박윤재가 우승하면서 세계를 놀라게 했다.   한인 발레리노의 춤사위에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니 이처럼 기쁜 소식이 어디 있겠는가. 안주원의 훨훨 날았던 지젤 공연처럼 한국을 빛내는 모든 한인 발레리나, 발레리노의 공연에 언제라도 날아가 힘찬 박수를 보내고 싶다. 유이나 / 칼럼니스트무대와 시선 발레리나 발레리노 발레리노 안주원 발레 무대

2025.07.30. 19:12

썸네일

[무대와 시선] 사람이 만든 아주 괜찮은 것

아카데미상에서 작품상, 감독상, 촬영상 등 무려  7개 부문으로 수상하며 큰 사랑을 받아온 영화 ‘아웃 오브 아프리카(Out of Africa)’가 개봉 40주년을 맞아 다시 주목받고 있다.   덴마크의 여성 소설가 카렌 블릭센의 자서전을 영화화한 이 작품을 본 사람이라면 눈이 부실 정도로 황홀했던 아프리카 대평원의 그 광활한 풍경을 잊지 못할 것이다.   당시로서는 거액인 2800만 달러를 쏟아부은 이 영화가 제작비의 거의 10배인 2억280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흥행에도 초대박을 터트린 것은 명장 시드니 폴락의 뛰어난 연출력과 스토리 라인, 존 배리의 장엄하면서 감미로운 음악이 기막히게 어우러진 덕이다. 하지만 진짜 백미는 주인공 카렌 블릭센(메릴 스트립 분)과 데니스 핀치 해튼(로버트 레드포드 분)의 밀고 당기던  뛰어난 감성 연기가 첫 손 꼽힌다.   이 명품 연기 가운데서도 특별히 기억에 남는 장면은 이들이 초원에서 모차르트의 클라리넷 협주곡을 들으며 눈빛 교감으로 마음 문을 활짝 열고 상대를 받아들이던 모습이다. 잔잔한 클라리넷 음색과 대비되어 강렬하게 빛나던 이들의 눈빛 교류를 통해 시드니 폴락 감독은 음악의 파워를 강조하고자 했다는 데 그 메시지 전달은 적중했다.   영화  전편을 흐르며 서정적 음률로 아프리카를 감싸 안았던 모차르트의 클라리넷 협주곡 A 장조 K 622,  2악장 ‘아다지오’는 모차르트의 마지막 협주곡이다. 말년에 유난히 클라리넷에 집착했던 모차르트가 사력을 다해 완성했다는 이 곡은 음역 표현이 넓은 클라리넷의 특성으로 아프리카 대평원과 절묘하게 어우러져 ‘아웃 오브 아프리카’의 제 2 주제곡이 됐다.   자연에 대한 동경으로 고향을 떠나 케냐에서 커피 농장을 하는 덴마크의 거부 카렌은 우연히 만난 수렵가이자 비행사인 데니스와 가까워 지지만 서로 다른 삶의 방식으로 마음은 늘 평행선이다. 외로운 아프리카에서 가정을 갖고 안정을 원하는 카렌에게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 데니스는 가장 가까운 사람이면서 훌쩍 떠나기를 즐기는 아주 먼 사람이기도 하다. 그래서 카렌은 마음에 브레이크를 건다. 데니스 역시 카렌을 좋아하면서도 다름이 두렵다. 이때 이들의 마음을 무장해제하는 것이 모차르트다.   어느 날 카렌 앞에 축음기를 들고 나타난 데니스, “봐요, 사람이 만든 가장 괜찮은 게 여기 있소”라며 음반 위에 모차르트를 올린다.     그리고 자연 위 느닷없이 펼쳐진 음악에 넋을 빼앗긴 카렌은 굳게 내렸던 마음의 빗장을 연다. 음악이 벽을 허물 것이라는 데니스의 믿음은 통했고 둘은 하나가 된다. 뮤직 파워를 보여준 명장면이다.   LA 다운타운의 뮤직 센터에는 주 공연장인 도로시 챈들러 파빌리언 외에 ‘파운더스 룸(Founders Room)’이라는 근사한 방이 있다. LA 뮤직 센터 후원자를 위한 친목 장소인데 하이 실링에 한들 한들 매달린 샨데리어에서 크리스탈이 별처럼 반짝이는 멋진 방이다.   LA 오페라,  LA 필하모닉, 애만슨 시어터 등 후원자는 공연 전후 이곳에 모여 음식 먹고 차 마시고 술도 한잔 걸치며 친목을 다지는데 이곳에서 이루어지는 네트워킹이 비즈니스 세계에서는 매우 중요한 사교의 다리 역을 한다. ‘비즈니스 성공하려면 파운더스 멤버십부터 사라’는 말이 오갈 정도다. 미국에선 아무리 대단한 거부라도 문화 예술의 문외한이면 무시당한다.   한국이 ‘인간사의 걸작’이라는 음악을 통해 글로벌 상위국가로 자리매김하고 있어 참 기쁘다. 클래시컬, 팝 뮤직에 이어 ‘어쩌다 해피엔딩’으로 뮤지컬 성공까지 이뤄냈으니, 요즘 음악 한국의 모습은 계속 기분을 좋게 한다.   음악의 매직 파워를 보여준 근사한 영화 ‘아웃 오브 아프리카’의 40주년을 축하하며 이 걸작을 꼭 다시 감상해 볼 것을 권한다. 유이나 / 칼럼니스트무대와 시선 아프리카 대평원 클라리넷 협주곡 클라리넷 음색

2025.07.01. 18:42

썸네일

[무대와 시선] 두다멜의 마지막 선물 ‘서울축제’

지금으로부터 36년 전인 1989년. LA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일을 냈다.   LA필의 실세이던 매니징 디렉터 어니스트 플레이시먼이 당시 31세이던  핀란드 출신 에사-페카 살로넨을 뮤직디렉터로 기용한다고 전격 발표한 것이다. 전세계 언론이 대서특필했음은 물론이고 클래식 음악계는 그야말로 충격 수준, 모든 화제가 LA 필이었다. 살로넨은 당시 34세였지만 그 무렵 전세계 수준있는 오케스트라의 뮤직디렉터 연령층이 60~80세였으니 그 놀라움의 정도가 어떠했을지는 상상이 가능하다.   다행히 젊은 에사-페카 살로넨은 LA 필의 수준을 크게 업그레이드하며 훌륭히 뮤직디렉터 일을 성취해 냈다. 현재 LA 최고 문화 명소인 월트 디즈니 콘서트 홀 건립도 그 성과 중 하나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 2007년 LA 필이 또 한번 일을 냈다. 이번엔  좀 더 강도가 셌다.   음악계에 거의 알려지지 않은 26세의 신예 지휘자 구스타보 두다멜을 뮤직디렉터로 영입하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베네수엘라 출신 구스타보 두다멜은 이후 ‘파격 기용’의 대명사가 된 LA 필을 등에 업고 훨훨 날았다.   엄숙하고 근엄한 표정의 늙수그레한 지휘자에 익숙했던 청중은 곱슬 머리에 활짝 웃으며 열정적으로 지휘봉을 휘두르는 상쾌 발랄 마에스트로에 열광했고 그는 곧 스타가 됐다.     하지만 그가 단순히 운이 좋아 하루아침에 별이 된 건 아니다. 17세에 베네수엘라의 유명 교향악단 ‘시몬 볼리바르 유스 오케스트라’의 뮤직 디렉터로 활동한 그는 23세에 ‘구스타프 말러 국제 지휘 콩쿠르’에서 우승, 그 실력을 전세계에 알렸다.   열정적이고 대범한 제스처, 작곡가의 특성을 족집게처럼 쏙쏙 집어내 마치 파도처럼 오케스트라를 휘어잡는 정교한 지휘로 전세계 교향악단을 사로잡기 시작했다.   20대 중반에 빈 필, 베를린 필 등 세계 정상급 오케스트라를 지휘한 그는 27세엔 지휘자 선정에 까다롭기로 유명한 스웨덴 예테보리 오케스트라의 수석 지휘자 자리에 떡 자리 잡았다. 그리고 LA 필에 전격 스카우트, 2009~2010 시즌부터 뮤직디렉터로 활동해 온 것이다.   LA 필하모닉에서 그가 이룩한 업적은 셀 수 없이 많다. 그 중에서도 가장 빛나는 공적은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을 크게 활성화했다. 특히 어려운 가정에 혜택을 준 이 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청소년이 음악이라는 나침반을 들고 바른 삶의 길 위에 설 수 있었다.   그런데 아쉽게도 LA의 별이었던 그가 2025~26 시즌을 마지막으로  LA 필을 떠난다. 그가 새 뮤직디렉터로 옮기는 곳은 뉴욕 필하모닉. 월드 스타를  영입하게 된 뉴욕 필은 벌써 그를 맞을 준비로 들떠있다고 한다.   하지만 반가운 소식도 있다. 그가 LA 필을 떠나기 전 한인 커뮤니티에 엄청난 선물을 마련했다. ‘서울 페스티벌’이라는 음악 축제가 바로 그 멋진 선물이다.   오는 6월3일부터 10일까지 무려 일주일간 월트 디즈니 콘서트 홀 무대에  펼쳐지는 ‘서울 페스티벌’은 한인 뮤지션이 주도하는 음악 축제다. 현대 음악계 큰 별로 불리는 작곡가 진은숙씨 기획으로 열리는 이번 축제는 한인 작곡가가 만든 음악이 한인의 지휘와 연주로 LA 필과 함께 소개되는 상당히 수준높은 음악제다.   세계 음악계에서 빛을 내고 있는 한인 뮤지션이 대거 참여한다. 뉴질랜드와 스위스 등지에서 공부한 이안 환이 LA 필 위촉으로 작곡한 ‘봄이 다시 온다(Spring Will Come Again)’가 세계 초연되며 프린스턴대 교수인 서주리 작곡가도 피아노와 체임버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을 들고 온다.     뉴욕필에서 초연, 극찬을 받은 진은숙씨의 클라리넷 협주곡이 대한민국 관악의 대표연주자로 불리는 클라리네티스트 김한의 협연으로 서부 초연되는 것도 이번 축제의 하이라이트다.     이외에도 김택수, 전예은, 배동진, 케이 규림 리 등 현대 음악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작곡가의 곡이 소개되고 피아니스트 김선욱, 바이올리니스트 이수빈, 비올리스트 이유라, 전위적 연주로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는 대금 연주자 유홍도 이번 서울 음악제를 빛낸다.   그동안 한인 연주자에 아낌없이 무대를 제공해 준  LA 필이지만 이번처럼 일주일 내내 한인 음악인을 무대에 세워 한인 작곡가의 곡을 소개하는 뮤직 페스티벌은 처음 있는 일이다. 한인 커뮤니티로서는 큰 경사고 기쁨이다. 게다가 이번 축제가 LA필에서 마지막을 준비하는 구스타보 두다멜의 리더십 아래 펼쳐진다는 것도 매우 뜻깊다.   아름다운 계절 6월, 월트 디즈니 콘서트 홀에 향기롭게 피어날 ‘서울 페스티벌’에 한인 커뮤니티의 큰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 유이나 / 칼럼니스트무대와 시선 서울축제 선물 뮤직디렉터 연령층 전세계 교향악단 클래식 음악계

2025.05.28. 20:05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