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디에이고 카운티 보건국은 지난 2일 카운티 일부 비치가 바닷물의 박테리아 수치가 기준치 이상을 초과한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입수 및 접촉금지 경고를 발효했다. 바다 입수 및 물 접촉금지 경고가 발효된 비치는 다음과 같다. ▶임페리얼 비치 해안선:시코스트 드라이브 남쪽 끝에서 카네이션 애비뉴 북쪽까지의 바닷가 ▶티후아나 슬라우 해안선:미국-멕시코 국경을 포함한 바닷가, 보더 필드 주립공원과 티후아나 슬라우 국립야생동물 보호구역까지의 구간 ▶코로라도:노스 비치, 아베니다 루나 ▶카디프 주립비치:샌 엘리호 석호 출구 ▶미션 비치:사우스 미션 비치 제티 ▶라호야:칠드런스 풀, 라호야 코브 해변 ▶투르말린 서프 파크:퍼시픽 비치, 투르말린 서프 파크 ▶오션비치:독 비치, 샌디에고 강 출구에서 남쪽으로 300피트 ▶실버 스트랜드 해안선:카네이션 북쪽에서 아베니다 루나 남쪽까지의 바닷가 샌디에이고 카운티 해안의 수질오염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www.sdbeachinfo.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샌디에이고 박테리아 샌디에이고 해변 박테리아 기준치 접촉금지 경고
2024.12.03. 20:27
전국으로 유통된 육류에서 근육통과 설사 등을 유발하는 리스테리아 박테리아가 검출돼 해당 제품 리콜에 나섰다. 지난 25일 연방농무부(USDA) 식품안전검역국(FSIS)이 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등 시중에 유통된 육류 7만2240파운드 리콜한다고 밝혔다. 리콜된 제품은 유 샹 식품(Yu Shang Food)의 27개 브랜드다. 해당 식품업체는 삼겹살, 닭다리, 닭 소세지, 통닭, 소고기 사태 등을 시중에 판매하고 있다. 리콜 대상 제품 라벨에는 USDA 검증마크에 ‘P-46684, EST. M46684’ 번호가 찍혀 있다. FSIS는 해당 제품에서 리스테리아 박테리아가 검출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리스테리아 박테리아는 주로 육류, 어패류, 치즈, 채소 등 오염된 음식을 섭취할 때 감염된다. 주요 증상은 발열, 근육통, 구토, 설사, 두통, 경련 등이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노인이나 어린이는 주의해야 한다.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이번 리콜과 관련 1명이 사망하고, 9명이 병원에 입원했다고 전했다. 발병 지역은 캘리포니아, 일리노이, 뉴저지, 뉴욕으로 총 11건이 보고됐다. USDA는 이번 리콜 관련 소비자 핫라인(888-674-6854)도 운영한다. 김형재 기자리스테리아 박테리아 리스테리아 박테리아 육류 어패류 이번 리콜
2024.11.26. 20:03
샌디에이고 카운티 남부 해안가의 박테리아 수치가 최근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조사돼 일부 비치에서의 수영과 서핑이 또다시 금지됐다. 샌디에이고 카운티 보건국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현재 입수금지령이 내려진 해변은 티후아나 슬로우 해안선(Tijuana Slough Shoreline)을 비롯해 미국-멕시코 국경부터 보더 필드 주립공원(Border Field State Park)과 티후아나 슬로우 국립 야생동물 보호구역(Tijuana Slough National Wildlife Refuge)까지다. 이밖에 라호야 칠드런즈 풀, 라호야 코브, 미션베이 테코로테 해변, 벤투라 코브, 임페리얼 비치 시코스트 드라이브 남단 해안가는 입수 주의 권고가 내려졌다.남부해안 박테리아 카운티 남부해안 박테리아 수치 현재 입수금지령
2024.10.01. 21:04
지난 주말 샌디에이고 카운티 남부 해안가의 수질이 악화돼 일부 비치에 '물접촉 금지령' 또는 '물접촉 주의 권고령'이 발령됐다. 카운티 보건국은 지난 10일 카운티 서부 해안 주요 비치가의 수질을 최근 조사한 결과 일부 비치의 박테리아 수치가 위험 수준을 넘어섰다는 분석결과가 나옴에 따라 이같은 조치를 취하게 됐다고 발표했다. 특히 코로나도 일대의 유명 비치들이 대거 포함돼 이 지역 비치를 찾는 해수욕객들의 주의가 당분간 요망된다. 물접촉 금지령과 주의 권고령이 내려진 비치들은 다음과 같다. ▶물접촉 금지령: 실버 스트랜드 해안선 상 카네이션 북쪽부터 아베니다 루나르 남쪽까지 / 임페이얼 비치 해안선 상 시코스트 드라이브 남쪽부터 카네이션 애비뉴 북쪽까지 / 티후아나 슬로우 해안선 상 미.멕시코 국경 인근의 비치와 보더 필드 주립공원 및 티후아나 국립 야생보호지구에 이르는 비치 ▶물접촉 주의 권고령: 라호야 칠드런스 풀 / 코로나도 아베니다 루나 / 코로나도 노스비치 & 도그 비치 / 코로나도 인명구조 타워 인근 / 미션베이 노스 코브 / 베이케이션 아일랜드 남쪽 배수로 인근박테리아 물접촉 박테리아 수치 물접촉 금지령 물접촉 주의
2024.08.13. 20:32
샌디에이고 카운티 남서부의 일부 비치 바닷물에서 인체의 건강기준을 초과하는 박테리아가 검출돼 카운티 보건국이 지난 8일 입수 주의령을 발령했다. ▶실버 스트랜드 해안선: 북쪽 카네이션부터 남쪽 아베니다 루나까지 ▶임페리얼 비치 해안선: 시크스트 드라이브 남쪽 끝에서 카네이션 애비뉴 북쪽까지 ▶티후아나 슬로 해안선: 국경에서 티후아나 슬로 국립 야생동물 보호구역까지.카운티남서부 박테리아 카운티남서부 비치 박테리아 검출 안전 기준
2024.07.09. 20:21
고급 천연수로 유명한 피지(Fiji) 생수 190만 병이 자발적으로 리콜됐다. 28일 온라인매체 푸드&와인은 피지 생수 제조사인 비티 리미티드 내추럴워터사가 피지 생수 7만8500박수, 190만 병을 자발적 리콜한다고 보도했다. 제조사 측은 해당 생수 관리 과정에서 문제가 감지됐고, 생수가 박테리아 3종에 오염된 것 같다고 전했다. 피지 워터 측이 X(구 트위터)에 올린 자발적 리콜 조치에 따르면 리콜 대상 생수는 지난 2월 1일부터 3월 3일 사이 아마존을 통해 판매된 제품이다. 다만 리콜된 생수를 마셔도 건강에는 큰 위협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리콜 대상인 생수는 500밀리미터 병물 24병이 묶음식으로 판매됐다. 생수 제조일은 2023년 11월 11·12·13·24·25일이 찍혔다. 제품코드(UPC Code)는 632565000043, 632565000012이다. 피지 워터 측은 생수 리콜에 관한 소비자 문의(1-866-406-4149)도 받고 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박테리아 가능성 생수 리콜 생수 190만병 오염 가능성
2024.05.28. 19:53
최근 대규모 폐수 방출로 베니스 비치와 독와일러 주립 비치가 일시 폐쇄된 데 이어 LA카운티 지역 주요 해변에 박테리아 주의보가 내려졌다. 지난 20일 LA카운티 공중보건국은 LA카운티 지역 6개 해변의 박테리아 위험 수치가 기준치를 넘어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수영과 서핑은 물론, 모래사장 이용 등 해변 활동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공중보건국 측이 주의보를 발령한 6개 해변은 ▶카브리요 비치(수영 가능 구역) ▶서프라이더 비치(공중 화장실 기준 양옆 100야드) ▶마더스 비치(수영 가능 구역) ▶샌타모니카 피어 기준 양옆 100야드 ▶샌타모니카 스테이트 비치(배수구 기준 양옆 100야드) ▶토팽가 비치(라군 기준 양옆 100야드)다. 박테리아 수치가 정상 수치로 회복해 경고 조치가 해제된 해변도 있다. 총 4개 해변으로 ▶파라다이스 코브 비치(월넛 크릭 지역) ▶토팽가 비치(배수구 구역) ▶윌 로저스 비치(윌 로저스 타워 인근 구역) ▶에스콘디도 비치(에스콘디도크릭 구역)다. LA카운티 지역 내 해변 이용 주의 여부는 LA카운티 공중보건국 웹사이트에서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다. 김경준 기자la카운티 박테리아 박테리아 주의보 la카운티 공중보건국 la카운티 지역
2024.05.21. 21:41
최근 박테리아 수준이 급속도로 올라간 샌디에이고 카운티 남부 해안가의 일부 비치에 대한 바닷물 입수금지 권고령이 내려졌다. 카운티 보건국이 지난달 8일부터 발령한 이 권고령에 의해 입수금지가 권고된 비치는 다음과 같다. ▶실버 스트랜드 쇼어라인: 카네이션부터 아베니다 루나에 이르는 해안선 ▶임페리얼 비치 해안가: 시코스트 남쪽 끝에서 카에이션 애버뉴까지 ▶티후아나 흘라우 해안선, 보더 필드 주립공원 및 티후아나 훌라우 국립 야생동물 보호 구역 내의 해안선.박테리아 해안가 박테리아 수준 남부 해안가 바닷물 입수금지
2024.04.30. 20:13
항생제가 통하지 않는 ‘수퍼 박테리아’가 LA카운티에서 처음으로 발견돼 우려를 사고 있다. 7일 USC 연구팀은 LA카운티의 가장 큰 폐수 시설 2곳에서 항생제 저항성을 지닌 박테리아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한 곳은 플라야 델 레이 지역의 ‘히페리온 폐수 처리 및 재활용 공장’이었고, 다른 한 곳은 카슨 지역의 ‘조인트 수질오염 통제 공장’으로 나타났다. 이 수퍼 박테리아는 마지막 수단으로 고려되는 항생제 콜리스틴(Colistin)을 완전히 무력화시켜버렸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콜리스틴은 페니실린 같은 항생제로 치료할 수 없거나 반응하지 않는 심각한 감염이나 상태일 때 사용되는 최후 처방 항생제다. 애덤 스미스 교수는 “특정 유형의 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세계 다른 곳에서 발견되긴 했지만, LA에서 발견된 것은 처음”이라며 “수퍼 박테리아의 출현은 팬데믹 당시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섭취가 증가한 데에 따른 것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스미스 교수는 “박테리아가 내성을 가지게 된다면 항생제는 더는 소용이 없을 것이고, 그러면 우리는 새로운 항생제나 다른 치료법을 고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폐수가 대중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좋은 지표기 때문에 급증하는 질병을 추적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검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노인 요양 시설이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에 노출될 위험이 높은 장소에 매우 유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스미스 교수는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항생제 내성이 다음 팬데믹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장수아 기자 [email protected]박테리아 항생제 항생제 저항성 슈퍼 박테리아 항생제 내성
2023.04.09. 19:10
거버(Gerber.사진)가 박테리아 감염 우려에 일부 분유 제품을 리콜 조치했다. 분유 제조 업체 페리고 측은 위스콘신 공장에서 지난 1월 제조된 일부 조제분유가 박테리아 일종인 크로노박터 사카자키균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리콜을 결정했다고 최근 밝혔다. 해당 제품은 소매 업체를 통해 전국에 유통됐다. 다만 리콜 분유 제품 수는 공개되지 않았다. 리콜 대상은 거버굿스타트수드프로 12.4온스의 경우 제조번호가 300357651Z이고 소비기한이 2024년 7월 4, 5, 6, 8, 9, 11, 12일이다. 또는 제조번호 300557652Z에 소비기한이 2024년 7월 6일, 11일로 표기돼 있다. 30.6온스 제품은 제조번호와 소비기한이 각각 301357652Z, 2024년 7월 14~15일 또는 301557651Z, 2024년 7월 16일이다. 19.4온스는 제조번호가 301557652Z, 소비기한은 2024년 7월 16일이다. 문의 전화는 (800)777-7690이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박테리아 가능성 박테리아 감염 리콜 분유 거버 분유
2023.03.21. 22:17
콜게이트-팜올리브가 박테리아 오염 가능성에 파불로소(사진) 브랜드의 다목적 세제 500만 병을 리콜한다. 업체는 최근 세제 제조 과정 중 첨가된 방부제의 양이 제조 기준에 미달해 박테리아균의 일종인 슈도모나스 오염 가능성이 있다면서 다목적 세제 5종, 12개 제품 총 490만 병의 전량 회수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는 “해당 박테리아는 호흡기와 점막을 통해 신체에 침입한다”며 “면역력이 나쁘거나 폐 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CPSC에 따르면 리콜 세제는 2022년 12월 14일부터 2023년 1월 23일까지 제조된 제품들로 아마존, 홈디포, 샘스클럽, 월마트 등 전국의 소매업체를 통해 판매됐다. 업체는 해당 제품 490만 병 중 약 390만 병은 아직 판매되지 않은 제품들이라고 전했다. 즉, 시중에 유통된 제품 수는 약 100만 병가량이라는 것이다. 표기된 고유 번호의 앞자리 숫자 네 자리가 2348US78부터 2365US78까지 또는 3001US78부터 3023US78까지라면 리콜 대상이다. 업체는 “해당 제품을 구매했다면 사용을 즉시 중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환불을 희망하는 구매자들은 업체에 전화(1-855-703-0166)하거나 웹사이트(colgatepalmolive.com/en-us/fabuloso_contact-us)를 방문해 신청서를 작성하면 된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파불로소 박테리아 세제 박테리아 파불로소 다목적 박테리아 오염
2023.02.09. 21:49
유니레버를 모회사로 둔 세탁 용품 업체 ‘더 런드리스’가 제품 내 박테리아 오염 가능성으로 시중에 유통된 800만 개 제품의 리콜을 실시한다.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 지난 1일 제품 속 슈도모나스균 등 여러 박테리아 오염의 가능성이 제기된 더 런드리스 제품의 회수를 결정했다. 더 런드리스는 지난달 17일 성명에서 “제품 내 소비자의 안전이 우려되는 박테리아가 검출됐다”며 모든 더 런드리스 제품의 사용을 멈춰달라고 요청했다. 현재까지 보고된 슈도모나스균 감염자는 총 11명으로 업체는 리콜 대상인 제품과의 관계 여부를 확인중이라고 밝혔다. CPSC는 “면역력이 약하거나 폐의 기능이 저하된 사람들이 박테리아균에 감염될 경우, 위중한 상태에 빠질 수 있다”며 “박테리아균은 호흡 혹은 피부와 점막 접촉 시에도 감염될 수 있다”고 말했다. 뉴욕서 제작되어 전국에 유통된 더 런드리스의 제품들은 업체의 웹사이트와 아마존 등 다양한 온라인 소매업체를 포함해 타겟과 노드스트롬, 블루밍데일즈 같은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판매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의 제품들은 제품 밑면에 위치한 제조 코드에 알파벳 F와 마지막 네 자리로 9354 이하의 숫자, 알파벳 H와 2262 이하의 숫자, 알파벳 T와 5264 이하의 숫자가 새겨져 있다. 해당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제조 코드를 촬영한 사진이나 구매 영수증과 함께 업체에 환불을 요청할 수 있다. 환불을 희망하는 소비자는 업체 고객센터로 이메일([email protected]) 혹은 전화(800-681-1915)로 문의하면 된다. 우훈식 기자박테리아 런드리 박테리아 오염 숫자 알파벳 슈도모나스균 감염자
2022.12.04. 19:51
오는 노동절 주말 야외 활동이 많아지자 당국이 박테리아 분포도가 높은 해변에서의 수영 또는 물놀이를 자제해 달라고 당부하고 나섰다. LA카운티 보건 당국은 샌타모니타 피어, 마더스 비치(마리나 델레이), 이너 카브리오 비치(샌 피드로), 토팽가 캐년 비치(말리부)에서의 물놀이를 자제해 달라고 주민들에게 당부했다. 이들 바닷가는 박테리아 농도가 높아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당국은 지적했다. 보건 당국은 정기적으로 주기적으로 웹사이트(http://publichealth.lacounty.gov/phcommon/public/eh/water_quality/beach_grades.cfm)를 통해 박테리아 농도를 조사 보고하고 있다. 디지털본부 뉴스랩 박테리아 농도 박테리아 농도 해변들 수영 박테리아 분포도
2022.08.30. 11:33
코로나19 확산 첫해 과도하게 항생제를 사용하는 바람에 ‘수퍼 박테리아’ 감염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12일 발표한 ‘코로나19가 미국 항균제 내성에 미친 영향 2022 특별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병원에서 항균제 내성균에 감염된 사례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대비 15% 증가했다. 주요 균별로 보면 폐렴, 혈류감염, 창상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카바페넴 내성 아시네토박터 감염증이 78% 늘었다. 또 피부감염·욕창·폐렴·균혈증 등을 유발하는 다제 내성 녹농균(MRPA) 감염증, 요로감염·창상감염·균혈증 등을 일으키는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감염증, 화농성 염증·식중독·패혈증 증상 등을 보이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감염증도 각각 32%, 14%, 13% 증가했다. 박테리아는 진화하면서 항생제에 내성에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항생제를 많이 사용할수록 박테리아가 적응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 2020년 3~10월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의 거의 80%가 항생제를 받았다. CDC는 박테리아나 진균 감염 여부를 모를 때 항생제 처방이 적절할 수도 있지만 이처럼 처방을 많이 하면 환자가 부작용이 생길 우려가 있고 항생제 내성균이 성장하고 확산할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CDC에 따르면 2020년 미국에서 2만9400명 이상이 항생제 내성균에 감염돼 사망했는데 이 가운데 거의 40%가 병원에서 감염됐다.박테리아 코로나 수퍼 박테리아 항균제 내성균 항생제 내성균
2022.07.13. 2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