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랜초팔로스버디스 ‘유리교회’ 새 부지 찾았다

한인도 즐겨 찾던 랜초팔로스버디스 명소인 웨이페어러스 채플(Wayfarers Chapel)이 새 보금자리를 찾았다.   남가주 지역에서 ‘유리교회’로 불렸던 예배당은 예전 모습 그대로 이전된다.   최근 웨이페어러스 채플 측은 웹사이트를 통해 랜초팔로스버디스 시와 협력해 새로운 예배당을 세울 장소를 찾았다고 발표했다. 채플 측은 기존 예배당 지역에서 지반 침하 현상이 나타나자 지난해 7월 유리교회를 전면 해체한 바 있다.   채플 측은 기존 예배당을 이전할 새 부지는 랜초팔로스버디스 시청 바로 앞 언덕 지대(Battery Barnes)라고 밝혔다. 새 부지는 기존 예배당 지역에서 서쪽으로 1.7마일 떨어진 곳이다.   특히 예배당 이전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방문객은 모든 면이 유리로 지어진 100석 규모의 예배당을 둘러보고, 바로 아래 해안가 쪽에 펼쳐진 포인트 비센테 등대 풍광도 내려다볼 수 있다.   채플 측은 기존 예배당을 그대로 이전하는 것은 물론 방문 센터, 박물관, 카페, 정원도 추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채플 측은 이전 공사가 확정되는 대로 보관 중인 건축 자재를 활용해 재건축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웨이페어러스 채플은 안전상 문제로 지난해 2월 폐쇄된 뒤 7월 해체 작업을 마쳤다. 이 채플은 1940년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아들인 유명 건축가 로이드 라이트가 설계했고 지난 1951년 문을 열었다. 이후 유명인 등 결혼식 수천 건이 열렸다. 지난 2023년에는 국가사적지(National Historic Landmark)로 지정된 바 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유리교회 부지 채플 웹사이트 채플 측은 예배당 지역

2025.06.02. 19:31

썸네일

오뚜기, 뉴욕 산업 부지 2220만불 매입

오뚜기 아메리카가 뉴욕의 산업 부지를 새로 매입했다.   지난 12일 로클랜드 비즈니스저널에 따르면 가주 라미라다 지역에 본사를 둔 오뚜기 아메리카는 뉴욕주 오렌지버그에 위치한 창고 및 산업 부지(29 Corporate Dr.)를 2220만 달러에 구매했다.     판매자는 뉴저지 마와에 기반을 둔 29 코러레이트 드라이브 LLC로, 구매자는 오뚜기 아메리카의 약칭인 OA 오렌지버그, LLC로 밝혀지면서 소식이 알려지게 됐다.   해당 건물은 9만7000스퀘어피트 규모로, 약 7.21에이커의 부지에 자리 잡고 있다. 이 지역은 오렌지버그 내 주요 산업 지구 중 하나로, 기존에 쿠키 제조업체인 키블러의 시설이 자리했던 곳이다. 이 부지는 당초 소형 주방 가전 제품을 제공하는 뉴저지 마와 소재 기업 셰프먼의 본사로 설계됐다.     지난 2021년, 오렌지타운 기획위원회는 기존 5만 스퀘어피트 건물에 4만7642스퀘어피트의 상업 공간을 추가해 총 9만7642스퀘어피트 규모로 확장하는 분배 운영 확대 계획을 승인한 바 있다. 다만, 운영 시간은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6시까지로 제한하는 조건이 추가됐다.   한편 오뚜기 아메리카는 지난 2005년 5월 LA에서 자회사로 설립돼 미국과 캐나다 시장에 한국 식제품을 유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번 부지 매입을 통해 오뚜기 아메리카는 동부 지역에서의 유통 및 운영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됐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오뚜기 부지 오뚜기 뉴욕 오뚜기 아메리카 산업 부지

2025.01.13. 19:32

옛 원유저장소 부지 개발…헌팅턴비치 시의회 승인

헌팅턴비치 시의회가 옛 원유 저장소 부지에 주택 단지와 호텔을 건설하는 개발 프로젝트를 승인했다.   시의회는 지난 17일 회의에서 부동산 투자회사 쇼포프가 추진 중인 ‘매그놀리아 탱크 팜(Magnolia Tank Farm)’ 프로젝트를 시의원 7명 전원 찬성으로 가결했다.   쇼포프는 퍼시픽 코스트 하이웨이 북쪽 매그놀리아 스트리트의 29에이커 부지에 250채 주택 단지와 객실 215개를 갖춘 부티크 호텔과 상업 시설, 4에이커 규모의 공원 등을 건립할 예정이다.   프로젝트가 진행될 부지의 원유 저장소는 1972년부터 2013년까지 사용됐다. 저장소 폐쇄 후 2500만 갤런 용량의 저장 탱크 3개는 제거됐다. 시의회에 참석한 일부 주민과 환경단체 관계자는 개발 부지 오염 가능성을 들어 개발에 반대했다.   시 당국은 이번 개발로 연 250만 달러의 세수를 기대하고 있다.   착공 시점은 내년 여름 또는 가을이 될 전망이다. 임상환 기자원유저장소 부지 원유저장소 부지 개발 프로젝트 29에이커 부지

2024.09.22. 20:00

도산기념관 부지 2곳으로 압축

리버사이드에 건립될 예정인 도산안창호기념관(이하 도산 기념관) 부지가 두 곳으로 좁혀졌다.     건립을 추진해 온 미주 도산안창호 기념사업회(이하 기념사업회)는 지난 6일 리버사이드시 관계자들과 4차 미팅을 갖고 건립 가능성이 있는 2곳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미팅에는 기념사업회 곽도원 회장과 폴 송 기념관 건립위원장, 김민아 건립위원장 특별보좌관, 리버사이드시 캐시 앨러비 행정담당과 던 카터 국제관계위원, 로널드 러브리지 UC리버사이드 정치학과 교수 등이 참석했다.     기념사업회에 따르면 논의된 부지 2곳 중 한 곳은 ‘캘리포니아 시트러스 스테이트 히스토리 파크(이하 시트러스 파크)’ 인근에 있는 10에이커 규모의 땅으로, 오렌지밭 가운데에 위치한 것이 큰 장점이다.     차세대 교육을 위한 종합교육센터로서 기념관 건립을 계획 중인 기념사업회는 오렌지 따는 일을 하며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하고, 리버사이드시 발전에도 노동자로서 공헌했던 도산 안창호 선생의 삶을 체험하는 장소로 활용하기에 큰 이점을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시트러스 파크의 일부분으로 보여 랜드마크로서 역할이 미비할 것 같다는 우려와 시 유틸리티 당국과 이해관계 때문에 조정 과정을 겪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고 전했다.     두 번째 후보지는 시트러스 파크에서 밴 뷰런 불러바드를 따라 0.5마일 정도 떨어진 8에이커 규모의 지대로, 바로 옆에 캘리포니아 주 소유의 캐년 지대라는 것이 특징이다. 이곳은 앞으로 도산 기념관을 확장해 민속촌을 건립 하는 등 마스터 플랜을 충분히 이어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대가 높고 리버사이드 팜트리와 오렌지밭의 아름다운 광경을 내려다볼 수 있어 랜드마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념사업회는 평가했다.     하지만 이 부지 역시 주차장 확보가 어렵고 상시 정체구간인 탓에 추후 차선 확장 공사가 진행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점과 오렌지밭까지 다소 거리가 있어 셔틀을 운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고 전했다.     인랜드 한인회장인 김민아 특별보좌관은 “부지마다 장단점이 있어 오는 11일쯤 건축가인 기념사업회 이사를 모시고 부지를 한번 더 둘러볼 계획이며 이후 임원들과 장단점과 발전 가능성을 논의할 예정이다”며 “아직 정확한 미팅 일정은 나오지 않았지만, 회의를 거쳐 이른 시일 내에 결론이 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부지 2곳 모두 기념사업회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오렌지밭과 접근성이 높기 때문에 둘 중 하나로 부지가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기념사업회에 따르면 리버사이드시는 부지를 50년간 1달러 또는 무상으로 도산 기념관에 임대할 예정이다.   김민아 특별보좌관은 “시 관계자들은 도산 안창호 같은 시민운동가의 활동 무대가 되어 행운이라고 전하면서 적극적으로 기념관 건립을 돕겠다는 입장이다”며 “앞으로 동포사회의 관심과 협조가 관건. 프로젝트에 대한 한인 및 주류사회 아웃리치 활동과 한국 정부와의 지원책 논의에 힘쓸 예정이다”고 전했다.     한편, 기념사업회 지난해 8월부터 리버사이드에 도산 안창호와 초기 이민 및 독립운동에 대한 종합 체험 시설을 짓는다는 목표로 도산 기념관 건립 사업을 추진해왔다.   장수아 기자도산기념관 부지 기념관 건립위원장 건립위원장 특별보좌관 리버사이드시 관계자들

2022.05.08. 19:42

썸네일

풀러턴 시 ‘그린벨트’ 유지…웨스트 코요테힐스 녹지 매입

풀러턴 시가 웨스트 코요테힐스 녹지 24.1에이커를 매입, ‘그린벨트’ 지키기에 성공했다.   시 당국은 총 1804만 달러를 지불하고 웨스트 코요테힐스 동쪽 길버트 스트리트~유클리드 스트리트에 이르는 부지 2곳을 매입하는 에스크로 절차를 완료했다고 6일 발표했다.   시가 매입한 부지는 정유사 셰브론의 자회사인 ‘퍼시픽코스트홈’ 소유지 중 일부다.   풀러턴 시는 이번 매입을 통해 기존 시유지인 로버트 워드 자연보호 구역을 합쳐 웨스트 코요테힐스 동쪽의 녹지 217.8에이커를 모두 보유하게 됐다.   프레드 정 시장은 “풀러턴 시와 인근 지역 녹지 보존은 주민을 위한 시정의 최우선 과제”라며 “웨스트 코요테힐스 동쪽 녹지 매입은 오랜 기간에 걸쳐 주민과 후세에게 많은 이익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말했다.   풀러턴 시는 그린벨트 지역이 환경 보호는 물론 자연 생태 교육 및 산책을 포함한 주민 레크리에이션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측은 로버트 워드 자연보호 구역 내에 2마일 길이의 새로운 산책로 공사가 진행 중이며, 내달 중 완공될 것이라고 밝혔다.   퍼시픽코스트홈은 지난 2011년, 시와 계약을 맺고 510에이커 부지에 주택 710채를 짓기로 했다. 이에 환경단체 ‘프렌즈오브코요테힐스’가 OC 북부에 남은 마지막 녹지에 주택 단지를 건립하는 것에 반대하며 소송을 제기했다. 오랜 법정 다툼은 2019년 가주 대법원이 개발사의 손을 들어주며 마무리됐다.   퍼시픽코스트홈은 승소에도 불구, 시 당국과 주민의 녹지 보존 의사를 존중, 전체 부지 중 일부를 시 또는 환경단체가 원할 경우, 매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풀러턴 시는 지난 2018년 가주 정부로부터 부지 매입 자금 1500만 달러를 확보하고 나머지 300만여 달러의 민간단체 기금을 조달, 이번에 부지를 매입한 것이다.   제프 콜리어 풀러턴 시 매니저 대행은 “부지 매입 자금 조달을 도운 자시 뉴먼 가주 29지구 상원의원과 섀런 쿼크-실바 가주 65지구 하원의원에게 특별히 감사한다. 이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부지 매입은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임상환 기자코요테힐스 부지 코요테힐스 부지

2022.01.09. 17:57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