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은 미국 과학계에 드리워진 또 다른 그림자다.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에도 기후변화 회의론에 기반한 연구비 삭감은 과학계를 위축시켰지만, 이번에는 그 강도가 훨씬 거세질 것이라는 우려가 지배적이다. 세계 과학의 중심인 미국에서 시작된 ‘연구 재난 쓰나미’가 전 세계 과학 지형을 뒤흔들고 있다. 미국은 오랜 기간 전 세계 젊은 과학자들에게 꿈의 무대였다. 특히 인도와 중국 출신 과학자들은 미국에서 경력을 쌓고 정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함께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비롯한 정부 기관의 연구자들은 하나둘 짐을 싸기 시작했다. 이는 단순한 실직을 넘어, 미국의 과학 기술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문제다. 해고된 연구자들은 유럽연합, 중국, 일본 등으로 대거 이동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들을 유치하기 위해 500조 원에 달하는 천문학적인 예산을 준비하며 국내 연구소와 대학에 초빙하는 장기 프로젝트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과거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과학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쟁을 수행했던 일본의 역사를 상기시킨다. 당시 일본은 탄저균 풍선 개발을 위한 대기과학, 항공 및 조선 기술, 물리해양학, 철도 기술 등 광범위한 기초 과학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했다. 독일 역시 아우토반을 위한 자동차 개발, V2 미사일, 항공기, 전차 등 중공업 기반의 무기 개발에 아인슈타인, 폰 브라운과 같은 당대 최고 과학자들을 동원했다. 종전 후 소련이 독일 과학자들을 확보하며 과학 발전을 이뤘고, 일부 독일 과학자들은 미국으로 망명하여 미국 과학 발전에도 기여했다. 일본 731부대의 생체 실험을 통해 축적된 의학 기술 자료를 미국이 전량 넘겨받아 자국 의학 기술 발전에 활용한 사례는 과학 기술이 가진 양면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최근 영국과 캐나다에서도 미국발 이민자 급증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 중 상당수가 과학자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2년 전 윤석열 정부의 연구비 50% 이상 삭감 사태로 한국 과학계가 겪었던 혼란을 떠올리게 한다. 당시 우주항공기술 등 정부 출연 연구소는 물론 대학까지 연구 동력이 상실되었고, 특히 젊은 과학자들을 위한 예산이 사라지면서 이들의 피난처가 미국이었다는 점은 아이러니하다. 하지만 불과 2년 만에 미국마저 연구 재난 쓰나미에 휩쓸리면서, 한국의 젊은 과학자들은 다시 설 곳을 잃을 위기에 처했다. 현재 한국은 경제 상황 악화로 응용 분야에 연구비가 집중되면서 기초 과학 분야는 여전히 ‘빙하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더욱 안타까운 현실은 한국 내 세계적 석학들이 정년 퇴임 후 중국으로 이직하는 사례가 빈번하다는 점이다. 이는 오래전부터 지속되어 온 문제로, 과학자를 존중하는 일본의 경우 정년 후에도 3~5년간 연구를 지속하며 다음 세대에게 노하우를 전수하는 문화가 정착된 것과 대비된다. 일본은 매년 급여를 일부 삭감하더라도 시니어 연구자의 지혜를 활용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미국 과학자들의 ‘방랑’뿐만 아니라, 한국 석학들의 해외 유출에 대한 민감한 대응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미국의 과학자들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한민국의 석학들에게 정년 연장의 기회를 마련해 주는 것이 더욱 절실하지 않을까. 한국의 새로운 정부가 북극 항로를 부울경(부산, 울산, 경남)의 허브로 삼는 정책을 추진하는 등 미래를 위한 투자를 고민하는 이때, 과학 기술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김용원 / 알래스카주립대 페어뱅크스 교수기고 미국 엑소더스 출신 과학자들 과학 기술 세계 과학
2025.06.26. 20:53
젊은 고소득자들이 가주와 뉴욕을 떠나고 있다. 온라인 재정정보 사이트 스마트에셋은 최근 국세청(IRS)의 자료를 바탕으로 고소득 밀레니얼이 가주와 뉴욕을 떠나 플로리다와 텍사스 등으로 이주하고 있다고 밝혔다. 고소득 밀레니얼이란 26세에서 45세 사이의 연 수입이 20만 달러 이상을 뜻한다. 업체에 따르면 2021년과 2022년에 걸쳐서 9100가구가 넘는 젊은 고소득자가 가주를 떠났다. 〈표1 참조〉 이는 50개 주 중에서 가장 많은 수치다. 4251가구가 떠나가면서 2위를 차지한 뉴욕과 비교해도 2배가 훌쩍 넘는다. 일리노이(3163가구), 매사추세츠(1927가구), 펜실베이니아(609가구)가 각각 3, 4, 5위에 올랐다. 1위를 차지한 가주를 제외한 톱5 안에 대표적인 동부 대도시가 이름을 올렸다. 가주를 포함한 젊은 고소득자 대부분이 플로리다와 텍사스 등 생활비가 저렴하고 세금이 적은 주로 이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이 가장 많이 향한 주는 플로리다로 6188세대가 늘었다. 〈표2 참조〉 5151가구가 증가한 텍사스도 젊은 고소득자가 선호하는 주로 꼽혔다. 이외에도 노스캐롤라이나(1970가구), 콜로라도(1227가구), 테네시 (1197가구) 등이 고소득 밀레니얼의 전입이 두드러졌다. 전문가들은 고소득 밀레니얼이 가주를 떠나는 이유로 높은 생활비와 기업 이전을 꼽았다. 실제로 4인 가족 기준 가주 생활비를 감당하려면 연간 14만 달러의 소득이 필요했다. 〈7월 23일자 중앙경제 3면〉 전국 평균치보다 약 3만3000달러가 더 많은 것이다. 가주 생활비가 전국에서 상당히 높다는 걸 보여준다. 또한 2019년부터 2023년 사이 가주를 떠난 100명 이상 고용 대기업의 숫자가 222개에 달한다. 스마트에셋의 재클린 데존 에디터는 “생활비, 세금, 정부 규제와 같은 경제적 요인들이 가주를 떠나는 주요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다만 많은 수가 유출됐음에도 불구하고 가주는 여전히 고소득 밀레니얼 세대 수가 가장 많았다. 가주에 있는 고소득 밀레니얼은 58만9524 가구로 이는 2위인 텍사스(26만1892 가구)와 3위인 뉴욕(24만2762 가구)을 합친 것보다 많은 수다. 스마트에셋은 고소득 밀레니얼은 가처분 소득이 높은 데다 구매력도 큰 세대여서 다른 세대보다 경제적 중요성이 더 크다고 설명했다. 조원희 기자엑소더스 고소득 고소득 밀레니얼 고소득 젊은층 고소득자 대부분
2024.10.02. 0:31
전국서 5세 미만 아동을 양육중인 가구의 대도시 이탈률이 증가한 가운데 뉴욕시가 18.3%의 감소세를 기록해 전국 평균 대비 높은 엑소더스 현상을 보였다. 10일 공공정책기관 경제혁신그룹(Economic Innovation Group, EIG)이 공개한 ‘팬데믹 후 대도시를 떠나는 젊은 가족들(Young families have continued leaving big cities post-pandemic)’에 따르면, 뉴욕시 5세 미만 아동이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4월 이후 18.3% 줄었다. 이는 39개월간 10만명이 줄어든 것이다. 보로별로는 ▶맨해튼 20.5% ▶퀸즈 19.5% ▶브루클린 18.7% ▶브롱스 16.6% ▶스태튼아일랜드 8.9%로 집계돼 전국 도시 이탈률(8.1%)을 모두 웃돌았다. EIG는 원인으로 ▶팬데믹으로 인한 대도시 중심의 이탈 현상 가속화 ▶농촌 대비 심화된 출생률 감소 ▶인플레이션을 들었다. 또한 역으로, 대도시 외의 지역에서도 살 수 있을 만큼 지역 평준화가 이뤄지는 신호로 읽을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뉴욕시의 감소세가 가장 컸고, 이어 ▶샌프란시스코(15.4%↓) ▶일리노이주 쿡카운티(14.6%↓) ▶LA 카운티(14.2%↓) 순이었다. 뉴욕시의 경우 비싼 렌트와 생활비 등이 특히 높은 이탈률의 이유로 꼽혔다. 앞서 지난달에도 진보성향의 싱크탱크 재정정책연구소(Fiscal Policy Institute)가 팬데믹 후 6세 미만 아동을 양육중인 가구가 뉴욕주를 이탈할 가능성이 다른 연령대 대비 47% 높다고 분석했다. 이 역시 인플레가 원인으로 지적됐다. 전국적으로는 팬데믹으로 인해 대도시 이탈이 가속화했고, 특히 2020년 7월~2021년 7월 사이 전국서 5세 미만 아동의 3.9%가 줄었다. 이는 전체 인구 감소율(0.7%) 대비 높은 수치다. 전국 기준 2022년과 지난해 사이 5세 미만 아동이 14만6000명(0.8%) 줄었고, 팬데믹 이전 대비로는 89만명(4.6%) 감소했다. 코노 오브라이언 EIG 정책 분석가는 “뉴욕시 5세 미만 아동의 급속한 감소는 이곳서 가정을 꾸리기가 어려운 상황이란 것”이라며 “도시 이탈은 역으로, 도시 외에서도 지낼 만한 환경이 개발돼 지역 평준화가 이뤄졌다는 의미”라고 했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엑소더스 뉴욕 대도시 이탈률 엑소더스 현상 미만 아동
2024.07.11. 21:16
일리노이주 선거판에 영향력을 행사해 온 주내 최고 갑부인 켄 그리핀 (53) 헤지펀드 '시타델'(Citadel)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예비선거를 목전에 두고 거주지와 사업 기반을 플로리다주로 옮긴 데 대해 구구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그리핀은 최근 플로리다주 마이애미로 거주지를 이전한 데 이어 지난 24일 사내 공문을 통해 1990년 시카고에 설립한 시타델 본사를 마이애미로 이전할 방침을 밝혔다. 시카고 트리뷴은 27일 "그리핀이 시카고를 떠나며 그가 공개적으로 견제해 온 민주당 소속 J.B. 프리츠커(57) 일리노이 주지사와 그리핀 사이 힘의 균형이 빠르게 달라졌다"고 보도했다. 그뿐만 아니라 그가 지원해온 일리노이 공화당의 미래, 특히 선거운동과 기금모금에 큰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리핀은 "프리츠커 주지사의 무능으로 인해 일리노이주 납세자들과 기업이 막대한 해를 입고 있다"며 낙선 운동을 벌여왔고, 시카고를 떠나며 범죄 급증을 이유로 들었다. 포브스 추정 자산이 252억 달러에 달하는 그리핀은 2002년 이후 일리노이 공화당에 1억8천만 달러 이상을 지원했다. 그 가운데 70% 이상인 1억2900만 달러가 지난 4년새 내놓은 금액이고, 5천만 달러는 금년 공화당 주지사 후보 경선에 나선 일리노이 제2 도시 오로라 시의 리처드 어빈 시장에게 투입됐다. 하얏트 호텔을 소유한 부호가문 출신 프리츠커 주지사의 자산은 36억 달러로 추산된다. 프리츠커는 2018년 선거에서 개인돈 1억7천 만 달러를 선거전에 쏟아 부으며 그리핀이 지원한 공화당 소속의 현역 주지사 브루스 라우너를 꺾고 당선됐다. 만일 프리츠커 주지사가 재선에 성공한다면 그리핀에게는 참패가 되는 셈이다. 그리핀이 예비선거를 코앞에 두고 시타델 본사 이전 방침을 전격 발표한 것은 어빈의 패배가 예상되기 때문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일리노이 주지사 선거 공화당 경선에서는 일리노이 남부 출신의 대런 베일리(56) 주 상원의원이 상승세를 타고 있다. 트리뷴은 프리츠커 주지사 측이 전통적 보수 성향의 베일리 의원을 상대적으로 쉽게 판단하고 그리핀의 지원을 받는 중도 성향의 어빈 시장 공격에 집중한 캠페인을 벌인 탓도 있다고 설명했다. 농장 경영주이기도 한 베일리 의원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공개지지 선언을 계기로 날개를 단 양상이다. 베일리 의원은 시카고 사업가 리처드 일레인으로부터 900만 달러 지원을 받았으나 프리츠커와 그리핀의 '쩐의 전쟁'에 끼지 못했었다. 만일 공화당 경선에서 베일리 의원이 승리한다면 일리노이 주지사 선거 판세가 어떻게 돌아가게 될 지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다. 베일리 의원이 공화당원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얻는다 해도 '민주당 텃밭' 시카고를 포함하는 '전통적인 파란색 주' 일리노이주에서 자금 열세를 딛고 최종 승리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그리핀은 당초 "프리츠커를 꺾을 후보를 전면 지원하겠다"고 다짐했으나 이주 발표 후 일리노이 선거판 개입 여부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에서 벨기에 대사를 지낸 로널드 기드위츠는 그리핀이 거주지와 사업체 기반을 마이애미로 옮겼다고 해서 일리노이-시카고 공화당에 대한 지원을 끊을 것이라는 판단은 성급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리핀은 미 전역의 연방 의원 선거 출마자들도 지원해왔다"며 "뜻이 맞고 승산이 있는 후보라면 지원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시카고=연합뉴스 김 현 기자엑소더스 주지사 일리노이주 선거판 일리노이 주지사 프리츠커 주지사
2022.06.28. 1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