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후 18.3% 줄어 맨해튼 20.5%.퀸즈 19.5% 전국 평균 8.1% 크게 상회
전국서 5세 미만 아동을 양육중인 가구의 대도시 이탈률이 증가한 가운데 뉴욕시가 18.3%의 감소세를 기록해 전국 평균 대비 높은 엑소더스 현상을 보였다.
10일 공공정책기관 경제혁신그룹(Economic Innovation Group, EIG)이 공개한 ‘팬데믹 후 대도시를 떠나는 젊은 가족들(Young families have continued leaving big cities post-pandemic)’에 따르면, 뉴욕시 5세 미만 아동이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4월 이후 18.3% 줄었다. 이는 39개월간 10만명이 줄어든 것이다. 보로별로는 ▶맨해튼 20.5% ▶퀸즈 19.5% ▶브루클린 18.7% ▶브롱스 16.6% ▶스태튼아일랜드 8.9%로 집계돼 전국 도시 이탈률(8.1%)을 모두 웃돌았다.
EIG는 원인으로 ▶팬데믹으로 인한 대도시 중심의 이탈 현상 가속화 ▶농촌 대비 심화된 출생률 감소 ▶인플레이션을 들었다. 또한 역으로, 대도시 외의 지역에서도 살 수 있을 만큼 지역 평준화가 이뤄지는 신호로 읽을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뉴욕시의 감소세가 가장 컸고, 이어 ▶샌프란시스코(15.4%↓) ▶일리노이주 쿡카운티(14.6%↓) ▶LA 카운티(14.2%↓) 순이었다.
뉴욕시의 경우 비싼 렌트와 생활비 등이 특히 높은 이탈률의 이유로 꼽혔다. 앞서 지난달에도 진보성향의 싱크탱크 재정정책연구소(Fiscal Policy Institute)가 팬데믹 후 6세 미만 아동을 양육중인 가구가 뉴욕주를 이탈할 가능성이 다른 연령대 대비 47% 높다고 분석했다. 이 역시 인플레가 원인으로 지적됐다.
전국적으로는 팬데믹으로 인해 대도시 이탈이 가속화했고, 특히 2020년 7월~2021년 7월 사이 전국서 5세 미만 아동의 3.9%가 줄었다. 이는 전체 인구 감소율(0.7%) 대비 높은 수치다.
전국 기준 2022년과 지난해 사이 5세 미만 아동이 14만6000명(0.8%) 줄었고, 팬데믹 이전 대비로는 89만명(4.6%) 감소했다.
코노 오브라이언 EIG 정책 분석가는 “뉴욕시 5세 미만 아동의 급속한 감소는 이곳서 가정을 꾸리기가 어려운 상황이란 것”이라며 “도시 이탈은 역으로, 도시 외에서도 지낼 만한 환경이 개발돼 지역 평준화가 이뤄졌다는 의미”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