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수도요금 등 유틸리티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 서민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기록적인 폭염과 전력회사들의 잇따른 요금 인상 탓이다. 발렌시아에 거주하는 제이미 이씨는 “지난 8월 전기요금만 856.4달러가 나왔다”며 “여름 전보다 무려 50%가 올랐다”고 토로했다. 그는 “올해는 늦은 밤까지 더위가 이어졌고 습도도 높아 에어컨을 켜는 시간이 늘었다”고 말했다. LA 한인타운의 알렉스 권씨도 “7월 말부터 9월 말까지 전기요금이 약 13.4% 더 나왔다”고 덧붙였다. 일부 가정에서는 전기·수도요금이 1500달러를 넘어섰다. 우드랜드힐스 주민 브루스 스콧은 지난 7일 NBC4와의 인터뷰에서 “6월부터 8월까지 요금이 1500달러가 나왔다”며 “태양광 패널까지 설치했는데도 이렇게 오른 건 이해할 수 없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처럼 주민 불만이 커지는 가운데, 전력회사들은 되레 요금 인상에 나서 눈쌀을 찌푸리게 했다. 남가주에디슨(SCE)은 이달 1일부터 전기요금을 10% 인상했다. 가주공공유틸리티위원회(CPUC)는 지난달 인상을 승인했으며, 이에 따라 가구당 평균 월 17달러, 연간 약 200달러의 추가 부담이 예상된다. SCE는 인플레이션을 반영해 2028년까지 매년 약 3%의 추가 인상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LA수도전력국(LADWP)도 예외가 아니다. 앤 산틸리 CFO는 “지난 7월 킬로와트시(kWh)당 2.5센트를 올렸다”며 에너지 비용 상승이 불가피했다고 설명했다. 수도요금도 꾸준히 오르고 있다. LA타임스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5년까지 10년간 LA카운티 수도요금은 평균 60% 가까이 인상됐다. 노후 상수도관 교체, 가뭄 대비 인프라 투자, 수질 규제 강화 등이 주된 인상 요인이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로 여름이 점점 더 길고 뜨거워지는 상황에서 유틸리티 요금 인상까지 겹치면 서민층의 부담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며 “저소득층과 노년층을 위한 요금 지원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김경준 기자유틸리티 전기료 전기료 인상 유틸리티 비용 기본요금 인상
2025.10.13. 20:05
LA카운티를 비롯한 남가주 주민들의 전기·수도료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LA타임스는 15일 UCLA 연구 결과를 인용, 2015~2025년까지 10년간 LA카운티 주민들의 수도료가 평균 60% 가까이 올라 서민들의 가계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같은 상승폭은 지난 2015년과 올해 동일한 수도 사용량의 평균 비용을 비교한 결과다. 수도 요금 인상 배경으로는 ▶노후 상수도 시설 교체·개선 비용 ▶가뭄 대비 투자 ▶수질 규정 준수 비용 증가 등이라는 게 매체의 설명이다. 에디스 드 구즈만 UCLA 연구원은 “요금 인상폭이 인플레이션을 앞서는 추세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UCLA 물 인권 솔루션 연구소의 그레고리 피어스 소장도 “향후 20년간 노후 시스템 교체와 오염물질 규제 강화로 인상 압력이 더 커질 것”이라며 “현재 구조는 소비자가 모든 비용 부담을 떠안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더해, 남가주 6개 카운티 내 수도 공급 업체가 공기업, 민간기업, 소규모 지자체, 모바일홈파크 등으로 지나치게 파편화돼 있어 지역 간 요금 불평등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빈곤층 거주 지역 주민이 부유층 거주 지역과 비슷하거나 더 많은 요금을 부담하는 사례도 확인됐다. 여기에 더해 전기요금도 꾸준히 오르고 있다. 가주공공유틸리티위원회(CPUC)는 오는 18일 남가주에디슨(SCE)의 전기료 인상안을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인상안이 통과될 경우, 내달부터 SCE 서비스 지역의 전기료는 10% 오르게 된다. 가구당 평균 월 17달러, 연간 약 200달러를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 해당 인상분은 ‘일반 요금 심사(general rate case)’ 절차에 따른 결과다. 이는 유틸리티 회사가 향후 4년간 전력망 운영·유지에 필요한 지출 규모와 인상 요율을 제안하면, CPUC가 이를 심사·승인하는 방식이다. SCE는 송전선 지중화와 절연 전선 교체, 고위험 지역 장비 점검 강화 등 산불 예방 투자 등을 이유로 105억 달러 추가 지출을 신청했다. 그러나 CPUC 행정법 판사는 98억 달러 지출만 승인했으며, 이는 지난해보다 13.7% 늘어난 금액이다. 또한 CPUC가 이번 인상안을 승인할 경우, SCE는 인플레이션을 반영해 2028년까지 매년 약 3%를 추가 인상할 수 있게 된다. 이 같은 움직임에 주민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수십 명의 고객이 CPUC에 항의 서한을 제출하며 승인 불허를 요구했다. 잦은 정전과 잇따른 화재로 서비스 품질은 악화했는데 요금만 오르고 있다는 것이 이들 주장이다. 실제로 2014년 이후 SCE 전기요금은 이미 80% 올랐으며, 이로 인해 전체 고객의 19%에 해당하는 약 86만 명이 전기요금을 체납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김경준 기자유틸리티 남가주 전기료 인상 남가주 주민 유틸리티 비용
2025.09.15. 20:10
“200달러대 후반 정도가 나오던 유틸리티 요금이 지난달에는 419달러 청구됐다. 유틸리티 비용으로 이만큼을 지불하는 것은 미친 짓이다.” 최근 유틸리티 비용이 급등했다며 뉴요커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인스타그램과 틱톡, 레딧 등 소셜미디어에는 지난달 유틸리티 요금이 말도 안되게 높게 책정됐다며 불만을 표하는 글들이 빈번하게 올라왔다. 앞서 지난 1월 뉴욕시의 주요 전력·가스 공급업체인 콘에디슨은 내년 1월 1일부터 전기 요금을 평균 11.4%, 가스 요금을 13.3% 인상하는 방안을 주정부에 제출했다. 안그래도 급등한 유틸리티 비용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뉴요커들은 지난달 뉴욕주 공공서비스국(DPS)에 콘에디슨 요금 인상 반대 의견을 800건 넘게 제출했다. 10일 DPS 웹사이트에 의견을 남긴 뉴요커는 “식료품 비용에 각종 생활비, 렌트도 고공행진하는 와중에 유틸리티 비용까지 크게 오르면 이 도시에 더 이상 살 수가 없다”며 “콘에디슨 요금 인상에 강력히 반대한다”고 전했다. 콘에디슨 측은 “전기공급 시스템 대규모 개선을 위한 16억 달러와 가스 공급 인프라 개선을 위한 4억 달러 등 재원 마련을 위해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전했으나, 많은 뉴요커들은 “인프라 개선과 청정 에너지 전환 목표를 지지하지만, 소비자에게 큰 재정적 부담을 주지 않는 선이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미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캐나다의 온타리오주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캐나다 관세 부과에 대응해 미국으로 보내는 전기요금에 25%를 할증하는 보복 조치를 단행했다. 또 온타리오주는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갈등을 고조시킬 경우 할증료를 더 높이거나 전력 공급을 아예 차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10일 온타리오주의 발표에 따르면 이번 전기료 인상은 온타리오주와 인접한 뉴욕, 미시간, 미네소타 등 3개 주의 150만 가구 및 사업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통신의 집계에 따르면 뉴욕주는 2023년 전체 전력의 4.4%를 캐나다로부터 수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유틸리티 유틸리티 비용 유틸리티 요금 최근 유틸리티
2025.03.10. 20:00
이달 유틸리티 비용이 할인된다. 최근 개빈 뉴섬가주 주지사실은 성명을 통해 4월 유틸리티 비용 크레딧이 제공된다고 밝혔다. 이에 가주 주민들은 이번 달 가스 및 전기세에 평균 146달러의 크레딧을 받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크레딧 액수는 서비스 업체에 따라 나뉜다. 전기세는 퍼시픽파워의 경우 가장 많은 174.25달러가 적용되며, 리버티 131.01달러, SCE 86달러, SDG&E 78.22달러, PG&E 55.17달러, 베어밸리는 32.24달러가 지급된다. 천연가스 크레딧은 적게는 약 59달러, 많게는 85달러를 지원한다. SDG&E는 58.98달러, 남가주가스컴퍼니(SoCalGas) 73.41달러, 사우스웨스트가스 75.19 달러, PG&E 85.46달러 순이다. 이번 크레딧은 환경보호법 위반 벌금을 주민에게 돌려주는 캡앤트레이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보통 매년 4월과 10월 2회 지급된다. 뉴섬 주지사는 "이번 구제안으로 가주의 수백만 가정이 도움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유틸리티 크레딧 유틸리티 비용 천연가스 크레딧 크레딧 액수
2024.04.02. 11:15
뉴욕주가 주민들의 전기·가스 유틸리티 요금 지원에 2억 달러를 투입한다. 800만명 이상의 고객들이 에너지 요금 경감 크레딧을 받을 전망이다. 주정부가 유틸리티 업체에 해당 비용을 지급하면 업체들은 45일 이내 일회성 크레딧을 각 고객 계정에 할당한다. 자원은 2023~2024회계연도 주정부 예산에서 마련했다. 크레딧은 가구 규모와 상관없이 같은 유틸리티 지역에 있는 모든 고객에 동일하게 지급된다. 예를 들어 뉴욕시·웨스트체스터 공급사인 콘에디슨은 전기 고객 19달러63센트, 가스 고객 18달러79센트가 지급될 것으로 봤다. 지역별 크레딧 지급 규모는 7달러69센트~24달러28센트 범위 내다. 주정부는 “에너지 경제 정책 실무 그룹과 협의한 결과 공공요금 경감 프로그램을 설계하게 됐다”며 “여러 제안이 고려됐지만, 고객에게 직접 혜택을 줄 수 있는 일회성 에너지 요금 크레딧을 구현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뉴욕시 등의 유틸리티 비용은 계속해서 오르는 추세다.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지난 1월 뉴욕시 일원 전기요금은 한 달 만에 9.6% 올랐다. 콘에디슨은 작년부터 2025년까지 매년 초 전기 및 가스요금을 단계적으로 인상 중이다. 이하은 기자유틸리티 뉴욕주 뉴욕주 유틸리티 유틸리티 비용 유틸리티 업체
2024.02.16. 21:28
지난해 요동친 천연가스 가격과 고물가로 인한 생활비 부담으로 약 2000만 가구의 전기, 난방 등의 유틸리티비가 밀린 가운데 남가주가스컴퍼니(SoCalGas) 고객은 최대 500달러의 보조금을 여전히 신청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에너지어시스턴스디렉터스연합(NEADA)’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전국 약 2000만 가구의 유틸리티 비용이 연체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기록인 1760만 가구에서 13.6% 늘어났다. 연체 규모도 증가했다. 작년 3월 157억 달러였던 연체 비용은 올해 3월 195억 달러로 24.2% 더 많아졌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인플레이션에 의한 경제적 부담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지정학적 원인, 지난 여름과 겨울 이상기후가 더해진 결과라고 분석했다. 에너지 비용 상승에도 정부 지원은 되려 줄고 있어 소비자들의 부담은 가중되고 있는 상태다. 정부가 지원하는 ‘저소득층에너지어시스턴스프로그램(LIHEAP)’가 책정한 2023년 회계연도 지원 기금 규모는 60억 달러다. 이는 프로그램의 일반적인 지원금 수준인 40억 달러 대비 많은 것이지만 지난해 80억 달러에서 약 20억 달러 감소한 것이다. 유틸리티 체납이 느는 가운데 남가주가스컴퍼니의 저소득층을 위한 일회성 보조금 지원 프로그램인 ‘가스어시스턴스펀드(GAF)’를 활용하면 사용료 보조를 받을 수 있다. 최근 남가주가스컴퍼니는 지난해부터 지급하기 시작한 600만 달러 규모의 GAF 지원금을 가구당 최대 500달러, 약 1만여 가구 이상에게 전달했다고 밝혔다. 또한 기금의 절반인 300만 달러가량의 지원금이 아직 남았다며 이를 활용하라고 당부했다. GAF 신청 자격은 1인 가구 기준 연간 소득이 4만770달러 이하, 2인 5만4930 달러 이하, 3인 6만9090달러 이하, 4인 8만3250달러 이하 등이다. 보조금 신청과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GAF 웹사이트(socalgas.com/save-money-and-energy/assistance-programs/gas-assistance-fund)나 한국어 전화(800-427-0471)로 확인할 수 있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남가주개스컴퍼니 유틸리티 유틸리티 비용 최근 남가주개스컴퍼니 일부 유틸리티
2023.05.29. 18:00
고물가와 유례없는 불경기가 겹치면서 한인 식당업주들의 고충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상승으로 식자재 비용 뿐 아니라 인건비 부담까지 늘고 유틸리티 비용마저 두 배 가까이 급증하면서 한인 업주들의 한숨이 늘고 있는 것이다. 한인 식당 업계는 “불경기에 가뜩이나 고객 수가 크게 줄어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데 가스 사용료가 매달 수천불씩 올라 가게문을 닫아야 할 판”이라고 토로했다. 한인 밀집지역 버지니아 애난데일에서 중국음식점을 운영중인 한 업주는 “우리 업소는 요리 특성상 많은 양의 가스를 사용하는데 가스값이 너무 올라 조바심이 난다”며 “그나마 지난 연말 상승했던 매출로 충당해갈 수 있어 다행이긴 하지만 언제까지 이어갈지도 의문이고 서민들 삶도 팍팍한데 음식가격을 올릴 수도 없어 난감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식당 업주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도 간신히 버텨 지금까지 왔는데 이제 와 식자재 비용과 가스값 때문에 위기를 맞고 있다”며 “힘들게 버텨왔던 시간이 부질없이 느껴지고 계속 영업을 이어갈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업주들의 공통된 입장은 가스값 폭등으로 인해 늘어난 비용 증가분을 음식 가격을 올리는 것으로 고객에 전가할 수도 없는 노릇이라고 입을 모았다. 팬데믹 이후 지속된 인플레이션으로 이미 음식 가격을 인상했던터라 재인상을 했다가는 손님 발길이 아예 뚝 끊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애난데일 N식당 관계자는 “물가상승에 비례해 음식값을 올릴 수는 없어 식당 운영에 지장을 받는다”면서 “음식값도 이미 오른데다가 팁까지 내야하는 부담에 손님 수가 현저히 줄었다”고 말했다. 김윤미 기자 [email protected]유틸리티 고물가 유틸리티 비용 식자재 비용 비용 증가분
2023.01.26. 14:45
뉴욕주가 총 6억7200만 달러를 투입해 저소득층의 연체된 유틸리티 비용을 지원해주기로 했다.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19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달 초 신년연설에서도 뉴욕주민들의 에너지 비용을 더 저렴하게 만들어주기로 약속한 바 있다”며 “역사적인 규모의 유틸리티 비용 지원을 통해 뉴욕 주민들이 겨울동안 따뜻하게 지낼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호컬 주지사가 제안한 유틸리티 비용 지원은 일회성 크레딧 지원으로 연체된 유틸리티 빚을 탕감해주는 방식이다. 연체된 유틸리티 비용을 탕감해 고객의 재정적 부담을 덜어줄 뿐 아니라, 유틸리티 업체들의 타격도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 빚을 갚지 못해 유틸리티 서비스가 끊기는 것도 막을 수 있다. 주거용 유틸리티 비용을 내는 저소득 개인 뿐 아니라, 소규모 사업을 하고 있는 상업고객들의 연체된 유틸리티 비용도 탕감해준다. 개인은 47만8000명, 소기업은 5만6000개가 혜택을 입을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에 발표된 유틸리티 비용 지원은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이후 뉴욕주에서 시행되는 두 번째 지원이다. 작년 6월 호컬 주지사는 여름을 앞두고 5억6700만 달러를 투입, 유틸리티 비용 지원을 해 준 바 있다. 뉴욕주는 지난해 유틸리티 비용 지원을 못 받은 이들을 우선적으로 지원한다는 계획으로, 자격이 된다면 별도 신청 없이 유틸리티 고지서에서 연체비용이 탕감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전했다. 한편 뉴욕주는 소득이 7만5000달러 미만인 뉴욕 주민을 대상으로 유틸리티 비용을 할인해주는 방안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소득의 6% 이상을 유틸리티 비용에 쓰지 않도록 주정부에서 비용을 지원하거나, 할인해준다는 설명이다. 이 방안이 시행될 경우 해당되는 뉴욕 주민은 80만명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은별 기자유틸리티 뉴욕주 뉴욕주 유틸리티 유틸리티 비용 투입 유틸리티
2023.01.20. 21:07
수백만 명의 소비자가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가계 재정이 위축되면서 전기 및 천연 개스비 등 유틸리티 비용에 허리가 휘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미 가정의 약 20%가 지난달 공과금을 체납했거나 연체했다. 특히 연 소득 5만 달러 이하 가구가 급등한 에너지 비용을 내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을 돕는 연방 프로그램 정책 기관인 미국에너지지원이사협회(NEADA) 보고서에 따르면 2000만 가구 이상이 공과금을 체납 중으로 체납액은 총 160억 달러에 이른다. 보고서에 따르면 8월 유틸리티 요금은 전년 대비 16%나 증가했다. BOA는 “올 연말 난방비 증가로 다른 생활비 항목의 지출을 줄여야 한다는 압력을 받을 것”이라며 “외식 같은 지출을 줄이고 있고 할러데이 시즌에도 지난해보다 지출을 줄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겨울 난방비와 전기세 급등으로 가구마다 공과금 부담이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NEADA는 “올겨울 난방 비용으로 약 17%나 더 지출해 10년 만에 최고 수준인 가정당 약 1200달러에 도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거용 전기 요금도 전년 대비 7% 증가해 전기를 사용해 난방하는 주택소유주는 1328달러, 천연개스에 의존하는 주택 소유주는 34% 증가한 952달러로 추정된다. 난방용 오일을 사용하는 주택소유주는 이번 겨울 가장 높은 난방비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평균 2115달러로 이는 전년 대비 13%나 증가한 수치다. NEADA는 전체적으로 천연개스, 전기, 난방용 오일 등 가정용 난방 총 비용은 지난해 1279억 달러에서 올해 1499억 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분석했다. NEADA의 마크 올프 디렉터는 “저소득 및 중산층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며 “에너지 비용 상승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유가 급등과 기후변화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겨울을 앞두고 난방비 급등이 예상되면서 유틸리티 회사들은 에너지 사용량을 낮춰 난방비를 아낄 수 있는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연방에너지국은 “하루 8시간 동안 온도 조절기를 7~10도 낮추면 난방비를 연간 10%까지 절약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절약 팁은 ▶에너지 지원 프로그램 이용 ▶태양열 패널 등 친환경 재생에너지 활용 ▶밤에 집의 온도 낮추기 ▶스마트 온도조절기로 교체 ▶창문, 문 등 공기 누출 막기 ▶난방시스템 점검 ▶퍼니스 및 필터 교체 ▶커튼, 블라인드 열어두기 ▶이동식 히터 활용 등이 대표적이다. 이은영 기자유틸리티 인플레 겨울 난방비 연말 난방비 유틸리티 비용
2022.09.28. 0:02
#. 일리노이 저소득 가정 유틸리티 비용 지원 저소득층 가구를 대상으로 한 유틸리티 비용(utility bill) 지원 프로그램(Low-Income Home Energy Assistance Program·LIHEAP)이 1일부터 시작됐다. 조건에 맞는 주민은 가스를 비롯 난방, 전기, 수도 등의 유틸리티 비용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지원 조건은 한달 소득 1인 기준 2265달러 이하(4인 기준 4625달러 이하)여야 하며 1달치 소득 증명을 제출해야 한다. 지원은 1일부터 내년 5월 31일까지 또는 예산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 가능하며 웹사이트(helpIllinoisfamilies.com) 또는 전화(833-711-0374)를 이용하면 된다. 지난 해 LIHEAP을 통해 일리노이 30만2000가구가 평균 930달러의 지원금을 받았다. #. 미네소타 서부 농장서 칠면조 조류독감 확인 한동안 잠잠하던 조류독감(bird flu)이 중서부 지역에서 다시 확인됐다. 미네소타 동물건강위원회(Board of Animal Health)는 지난 주말 미네소타 서부 미커 카운티 소재 한 농장 칠면조들이 잇따라 죽어, 조사 결과 급성 바이러스성 조류 독감으로 확인됐다고 31일 발표했다. 미네소타 보건 당국은 조류독감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농장 내 칠면조들을 모두 폐사 조치했다. 미네소타에선 지난 5월 31일 이후 조류독감이 보고된 적이 없고 중서부 지역 전체로도 지난 6월 9일 인디애나 주에서 마지막 조류독감이 확인됐다. 하지만 지난 7월과 8월 캘리포니아를 비롯 워싱턴, 오레곤 등 서부 지역에서는 조류 독감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연방 농무부에 따르면 지난 2월 이후 미국 내 39개 주에서 조류 4000여만 마리가, 미네소타 주에서만 270만 마리가 폐사했다. 미네소타는 미국에서 가장 많은 칠면조를 생산하는 주다. #. 10대 청소년, 20대 자매에 총격… 1명 사망 시카고 서부 지역에서 20대 자매를 상대로 총격을 가해 1명을 사망케 한 10대초청소년(16)이 살인 혐의로 기소됐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 달 24일 오후 8시20분경 시카고 리틀빌리지 소재 집 앞에 서 있던 셀레스트(24)와 제자벨 페레즈(22) 자매가 총격을 받았다. 이 총격으로 제자벨이 사망했으며 언니 셀레스트는 병원에서 치료 중이다. 최근 시카고 서부 노스 론데일에서 체포된 10대 용의자는 1건의 1급 살인 혐의를 비롯 2건의 1급 살인 시도, 2건의 폭행 혐의로 기소됐다. 경찰은 용의자가 이들 자매를 상대로 총을 쏜 경위를 조사 중이다. Kevin Rho 기자로컬 단신 브리핑 일리노이 유틸리티 일리노이 저소득 유틸리티 비용 칠면조 조류독감
2022.09.01. 13:31
뉴저지주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전기·가스 등 유틸리티 비용 부담이 커진 저소득층을 위해 지원 프로그램 수혜 대상을 확대한다. 뉴저지주는 저소득가정에너지지원프로그램(LIHEAP.Low Income Home Energy Assistance Program)을 실시하고 있지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소득 상한이 4인 가족 기준 연소득 4만8000달러 정도여서 혜택을 못 받는 주민들이 많다는 지적이 나오자 이를 4인 가족 기준 연소득 10만5000달러로 상향 조정하기로 했다. 신청방법 등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nj.gov/dca/divisions/dhcr/offices/hea.html) 참조. 또 저소득층 가정에 유틸리티 비용 보조금으로 한달에 5달러에서 최대 180달러까지 지급하는 유니버설서비스펀드(USF · Universal Service Fund) 수혜 자격도 4인 가족 기준 연수입 10만5000달러로 올리기로 했다. 또 현재 유틸리티 비용을 연체하고 있거나 또는 서비스 중단 위기에 처한 저소득층 가정들은 기존에 실시하고 있는 ▶가스전기지급보조 프로그램(Payment Assistance Gas and Electric.웹사이트 njpoweron.org) ▶뉴저지셰어(NJ SHARES.웹사이트 njshares.org) ▶시니어들을 위한 뉴저지라이프라인(NJ Lifeline.웹사이트 aging.nj.gov) 등의 프로그램을 적극 이용해 줄 것을 당부했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유틸리티 지원 유틸리티 비용 현재 유틸리티 지원 프로그램
2022.02.22. 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