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세관단속국(ICE)에 의해 구금됐던 한인 바이올리니스트 존 신(37) 〈본지 8월 29일자 A-4면〉씨가 수 주 만에 풀려났다. 관련기사 한인 바이올리니스트 ICE 구금…DACA 출신, 음주운전 전력 신씨는 불법체류 청소년 추방유예(DACA) 프로그램을 통해 체류 자격을 유지해 왔으나, 2019년 음주운전으로 적발돼 보호관찰 처분을 받으면서 DACA 자격을 상실했다. 하지만 이후 시민권자 여성과 결혼, 영주권 신청을 준비 중인 상황에서 불체자 단속에 체포돼 충격을 줬다. 지난 2일 콜로라도 오로라 이민법원에서 열린 심리에서 멜라니 코린 판사는 2만 5000달러의 보석금을 조건으로 신씨의 석방을 허용했다. 신씨의 보석금은 지인들이 자선음악회 등을 통해 마련했다. 유타주 거주자인 신씨는 지난달 18일 콜로라도주 스프링스로 출장을 갔다 ICE에 체포됐다. 이민 당국측은 “수년간 합법 신분을 유지할 기회가 있었음에도 행동하지 않았다”며 신씨가 불법체류 상태임을 강조했다. 신씨는 2021년 시민권자인 다네 스노우와 결혼했지만 팬데믹으로 아내가 실직하면서 영주권 신청을 위한 가계 소득 기준(연소득 5만 달러)을 충족하지 못해 가족이민청원서(I-130) 접수가 지연된 것으로 전해졌다. 유타대 석사 출신인 신씨는 유타 심포니 오케스트라에서 연주자로 활동했으며, 팬데믹 이후에는 생계를 위해 통신업체에서 근무했다. ICE 체포 직전에도 신씨는 포트 카슨 미군기지 출장 중 신원 조회에서 문제가 드러나 구금됐다. 강한길 기자불체자 음악가 불체자 구금 음악가 석방 보석 허용
2025.09.04. 21:54
“메마른 일상에 영혼의 울림을 느끼세요.” 신학생을 배출하는 솔로몬대학교(총장 백지영)가 ‘광복 80주년 기념음악회’를 개최한다. 올해로 22회째인 광복 기념음악회는 솔로몬대학교 인사들과 내로라하는 한인 음악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한국 역사와 광복의 기쁨을 공유하는 행사다. 주최 측은 올해 기념음악회에서 성악가 및 피아니스트 12명, 한인 청소년단체 파바월드 등이 무대에 오른다고 전했다. 이들은 한국과 이태리 가곡, 성가, 오페라까지 아름다운 음악의 향연을 펼칠 예정이다. 우선 소프라노 김희우·지경·클라라 신·에스더 진은 ‘마중, 그리운 금강산, 아모르데, 생명의 양식’ 등 가곡과 성가를 부른다. 바리톤 장상근, 테너 오위영, 테너 최원현도 ‘하나님의 은혜, 향수, 하나님의 사랑’ 등 가곡과 성가를 부른다. 반주는 피아니스트 운경미가 맡는다. 이밖에 에버그린 여성합창단, LA 목사 합창단, 무궁화 합창단, 파바월드 청소년팀이 성가, 부채춤, 사물놀이를 선보인다. 기념음악회 사회를 맡은 진복일 명곡오페라 아카데미 원장은 “한인사회 정상급 성악가가 한자리에 모인다”면서 “바쁘고 메마른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즐거운 마음으로 음악을 즐기고 광복절도 기념하자”고 말했다. 한편 광복 80주년 기념음악회는 24일 오후 5시 LA한인타운미주평안교회에서 열린다. 수익금은 한인 선교사 장학금에 쓰일 예정이다. 백지영 총장은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활동하는 한인 선교사 살림이 어려워졌다. 수익금을 이분들께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티켓문의: (323)708-9191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게시판 기념음악회 음악가 광복 기념음악회 기념음악회 솔로몬대학 한인 음악가들
2025.05.14. 20:21
비영리 한인 여성 예술단체 ‘코리안아메리칸뮤즈(KAM·회장 조민)’가 오는 28일 오전 11시 윌셔 이벨극장(743 S. Lucerne Blvd., LA)에서 한인 음악가들을 후원하는 클래식 트리오 콘서트를 개최한다. 피아니스트 제갈소망, 플루티스트 최혜성, 테너 이규영이 이날 무대를 꾸민다. 콘서트 티켓은 30달러이며 수익은 한인 음악가 후원에 사용된다. KAM 조민 회장은 “미술계뿐만 아니라 음악계에도 훌륭한 한인들이 많아서 이들을 후원하기 위해 이번 콘서트를 기획했다”며 “앞으로는 한인 음악가들에게도 많은 관심을 갖고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4년 설립된 KAM은 지난 10년간 한인 예술가 장학금 모금, 주류 미술관의 한국 프로그램 후원, 한국 문화 행사 기획 등으로 미국 내 한국 예술 발전에 힘써 왔다. 설립 이래 매년 LA카운티미술관(LACMA) 한국 프로그램에 1만 달러를 후원 중이며, 지난해에는 LA한국문화원과 공동으로 백남준 다큐멘터리 상영을 개최한 바가 있다. 또 지난 3일 막을 내린 샌디에이고 미술관의 한국 채색화 특별전도 후원했다. 한국 문화를 널리 알릴 수 있는 한국 문화 박물관 건립을 최종 목표로 하고 있다는 KAM은 “한인 예술계를 지속적으로 후원하고 관심을 가지시는 분이라면 누구든지 KAM에 가입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문의: (818)631-1251, 이메일 [email protected] 김경준 기자 [email protected]음악가 클래식 클래식 콘서트 한인음악가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미주 한인
2024.03.21. 1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