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저지주 뉴왁 리버티 국제공항의 노후 모노레일 시스템을 교체하는 35억 달러 규모의 에어트레인 프로젝트가 마침내 착공했다. 7일 뉴욕뉴저지항만청(NYNJPA)에 따르면, 이날 뉴왁공항 에어트레인 프로젝트가 공사에 착수했다. 기존 투입 예정이었던 예산 20억5000만 달러 규모의 약 두 배에 달하는 예산이 투입됐으며, 예산 조달 지연으로 인해 착공 시점이 계획보다 5년 늦어졌다. 이번 프로젝트는 뉴왁공항의 전면적인 현대화 계획의 핵심 사업으로, 약 30년 가까이 된 기존 모노레일을 교체해 공항 이용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뉴왁공항에 신설될 에어트레인은 승객들의 짐을 포함해 최대 160명까지 수용 가능하며, 이는 현재 모노레일이 수용 가능한 인원의 두 배 이상이다. 뿐만 아니라 편안한 좌석과 새로운 조명, 실시간 안내판 등 현대적 기능이 도입될 예정이다. 랄프 탐부로 항만청 에어트레인 프로젝트 총괄은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인프라 교체를 넘어, 모든 승객에게 더 나은 접근성과 기능성을 제공하고 지역사회가 자랑스러워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회"라고 강조했다. 노후화된 시스템으로 인해 고장이 잦았던 기존 모노레일 교체 작업은 2019년 추진되기 시작됐으나, 예산 상승 및 업체 선정 문제로 여러 차례 중단과 재개를 반복했다. 이에 항만청은 프로젝트를 여러 개의 소규모 계약으로 나눠 진행함으로써 비용 상승과 일정 지연의 위험을 분산시키는 전략을 선택했다. 오스트리아 업체 '도플메이어(Doppelmayr)'가 새로운 철도 시스템과 차량 구축 및 운영을 맡게 됐고, 캐나다 엔지니어링 업체 '스탠텍(Stantec)'이 유지보수 시설 설계와 기존 시스템 철거 계획을 수립했다. 또 지난해 11월 항만청은 에어트레인 선로 구조와 신규 플랫폼 설계 및 건설을 담당할 업체와 핵심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이제서야 본격적인 에어트레인 프로젝트가 시작된 것이다. 항만청은 이번 프로젝트가 뉴왁공항 이용객들의 이동 편의성을 크게 높이고, 공항 재개발의 중심축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설 에어트레인은 2030년 운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에어트레인 건설 에어트레인 프로젝트 항만청 에어트레인 이번 프로젝트
2025.10.08. 22:20
한인 보이스 스카우트 트룹 777(대장 조셉 신)이 지난달 27일 LA 3가 초등학교(교장 헬렌 이)에서 이글 스카우트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글 스카우트가 되기 위해서는 최소 100시간의 봉사활동을 해야 한다. 이번에 존 최 대원은 학교에 벤치를 설치하는 작업을 통해 커뮤니티 환경 개선 봉사에 나섰다. 이날 최 대원을 비롯한 21명의 대원은 목재를 자르고 못질과 페인트 작업을 하며 벤치 4개를 제작·재정비했다. 자재는 주택 건축자재 전문업체 로우스가 무상으로 기부해 의미를 더했다. 트룹 777은 현재 초등학교 5학년 이하의 컵스카우트와 6학년 이상 스카우트 대원을 모집하고 있으며, 지도부는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봉사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문의: 조셉 신 (323)620-4848 송윤서 기자게시판 프로젝트 스카웃 스카웃 프로젝트 한인 스카웃 이번 프로젝트
2025.09.30. 18:21
▶미국 내 최대 양극재 생산시설 스태핑 및 건설 서비스 기업 'UIBS'(사우스캐롤라이나 본사)가 LG 화학의 신규 32억 달러 규모 양극재 제조 공장 프로젝트에 기계 설비 컨트랙터(Mechanical Contractor)로 참여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미국 내 최대 규모의 양극재 생산시설로, 총 860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며 이 중 약 200개는 연봉 10만 달러 이상으로 예상된다. 전기차 공급망 강화를 위한 핵심 거점으로 평가받는 이번 공장은 첨단 제조 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맡는다. ▶UIBS,글로벌 파트너로 도약 UIBS는 2020년 설립 이후 불과 4년 만에 1000명 이상을 채용하고, 40개 이상의 글로벌 기업과 협력하며 급성장했다. LG.삼성 등 세계적 선도 기업들과의 협업 경험을 기반으로,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예산 관리, 계약 협상, 일정 관리, 하도급 관리, 안전 규정 준수, 프로젝트 보고 등 end-to-end 건설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며 안정성과 고품질 시공을 보장한다. 특히 UIBS Construction & Engineering(C&E) 부문은 제네럴 컨트랙터(General Contractor), MEP 시공, 공사 관리, 엔지니어링.설계까지 아우르며, 대규모 플랜트부터 첨단 제조시설까지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해왔다. 세부 서비스에는 ▶예산 수립 및 분석 ▶계약 협상 ▶공정 관리 및 일정 조율 ▶하도급 관리 ▶안전 규정 준수 ▶정밀 시공 리포트 제공이 포함된다. 현재 약 30개의 서브컨트랙터(Subcontractor)와 프로젝트를 수행 중이며, 미국 현지에서는 Nordfab, HP Products, Furguson, RigupATL, Satellite 등과, 한국에서는 카리스, 회명워터젠, 동헌기업, 한일테크 등 주요 공급사와 협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약 80명의 작업자가 덕트, 배관, 내장판넬 설치에 투입돼 있으며, 지난 두 달간 100만 달러 이상의 내장공사가 완료됐다. 또한 4명의 엔지니어가 직접 도면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SK 에코엔지니어링 출신 강동일 부장이 현장 소장으로, 삼성엔지니어링 출신 김광원 차장이 공무팀장으로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있다. UIBS는 2020년 설립 직후 1800만 달러 규모 디자이빌드 프로젝트의 CM 사로 참여하여 설계.시공.CO 후 장비 시운전까지 수행했으며, 현재 증축 협의도 진행 중이다. UIBS는 설립 이후 건설 현장에서 0건의 안전사고를 기록하고 있으며, 모든 직원이 입사와 동시에 OSHA(미국 산업안전보건청) 기준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글로벌 성취와 주요 수상 내역 UIBS는 2024년 Global Recognition Award를 수상하며 스태핑 업계에서의 성과와 혁신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연간 800만 달러 규모의 계약 체결과 30% 매출 성장을 달성했으며, 4년 연속 성장과 450개 이상의 고객사 확보라는 성과를 기록했다. 이 같은 성과는 고객 맞춤형 솔루션과 전략적 기획 능력에 기반한 결과로, 이번 LG 화학 프로젝트 참여를 계기로 UIBS의 글로벌 신뢰도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신뢰로 이어진 주요 파트너십 UIBS는 LG, 삼성, First Citizens Bank, Aetna, AME, S&ME, United Rentals 등 40개 이상의 글로벌 기업과 협력하고 있다. 특히 삼성, SK, 성도 ENG, KRA 등 다양한 선도 기업과 함께 미국 내 인재 채용 및 운영 파트너십을 지속적으로 확대 중이다. 특히 UIBS는 삼성의 공식 HR 파트너로서, RPO(Recruitment Process Outsourcing, 삼성에서 직접 채용할 수 있도록 UIBS가 채용 프로세스를 대행)와 스태핑(UIBS가 직접 인재를 채용하여 삼성 프로젝트 현장에 배치) 서비스를 통해 전문 인재 채용을 지원한다. 세부 프로세스에는 ▶이력 검색 ▶구인공고 게시 ▶멀티 플랫폼 리크루팅 ▶인터뷰 및 스크리닝 ▶백그라운드 체크 ▶약물 검사 ▶온보딩 및 트레이닝 ▶최종 채용까지 전 과정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엔지니어링부터 운영 직무까지 폭넓은 채용 솔루션을 제공하며, 최근 1년간 총 153명의 전문 인력을 발굴하여 52명을 실제 채용으로 연결했다. 주요 파트너사별 성과는 다음과 같다. 삼성전자: 1명 발굴, 1명 채용 삼성엔지니어링: 46명 발굴, 10명 채용 삼성 C&T: 13명 발굴 KRA: 15명 발굴, 6명 채용 성도 ENG: 24명 발굴, 6명 채용 EVERLIGHT: 18명 발굴, 전원 채용 GWIN TECH: 8명 발굴, 4명 채용 자이씨앤에이: 13명 발굴, 3명 채용 SK 행복나래: 15명 발굴, 4명 채용 또한, 사우스캐롤라이나 소재 플라스틱 사출 공장에는 2020년부터 약 250명의 생산직을 꾸준히 공급.관리하며 안정적 장기 파트너십을 이어가고 있다. ▶UIBS의 비전과 향후 계획 UIBS는 이번 LG 화학 프로젝트를 발판 삼아 전기차 공급망 강화와 첨단 제조 산업 전반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북미 시장 내 건설.엔지니어링 및 스태핑 선도 기업으로서 입지를 공고히 해나갈 예정이다. 또한 2026년부터는 조지아, 사우스캐롤라이나, 애리조나, 인디애나 등지에서 한국 대기업과 함께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에 순차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폴 김(Paul Kim) UIBS CEO 인터뷰 ━ "안정적 사업 운영의 든든한 파트너 될 것" 대표님의 경력과 UIBS 설립 배경은? "삼성전자 오스틴 반도체 연구소와 뉴베리 생활가전 공장 프로젝트 총괄책임자를 역임하며 글로벌 건설 및 운영 경험을 쌓았습니다. 이후 2020년 UIBS를 설립해 건설사업과 스태핑/RPO 사업을 동시에 확장해오고 있습니다." 이번 LG 화학 양극재 공장에서 UIBS가 맡은 핵심 역할은? "공사 비용의 약 30%를 차지하는 덕트와 파이프 설비를 책임지고 있으며, 모든 직원이 이를 맡았다는 데 큰 자부심을 느끼고 있습니다. 일정도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번 협력을 통해 기계 설비 시공 역량뿐 아니라, 인재 채용과 프로젝트 운영 전반에 걸친 종합 솔루션 제공 능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UIBS가 입증한 강점은? "한국과 미국의 시공법.문화 차이를 이해하고 현지 법규와 협력 관계를 모두 소화할 수 있는 것이 저희 UIBS의 강점입니다." 설립 4년 만에 급성장한 비결은 무엇인가요? "프로젝트 규모와 상관없이 항상 책임을 다하고, 계획한 기간 내 공사를 마무리했습니다. 협의되지 않은 부분도 적극 처리하며 고객이 필요로 하는 솔루션을 제공한 것이 성장의 핵심입니다." 안전 관리 문화를 구축할 수 있었던 비결은? "'사람'과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있습니다. 모든 직원이 OSHA 자격증을 취득하도록 지원하며, 안전 관리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사고 없는 현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를 발판으로 한 향후 비전은? "한국 기업들의 미국 진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줄이고, 종합 건설회사로서 프로젝트 내 역할을 확대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전기차 공급망과 첨단 제조 산업에서의 장기 전략은? "공사와 운영 인력을 모두 책임지는 '원스톱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단순히 인력 수만 채우는 것이 아니라, 직원 개개인의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를 통해 생산성과 전문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전략입니다." 독자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UIBS는 단순한 공사업체가 아니라, 한국 기업이 미국에서 안정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 든든한 파트너가 될 것입니다. 앞으로도 사람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겠습니다." LG 프로젝트 공장 프로젝트 이번 프로젝트 엔지니어링 서비스
2025.09.29. 14:48
출라비스타시 서부 해안가의 지형을 완전히 바꾸게 될 '판게아(Pangaea)' 프로젝트가 최근 공개됐다. 시정부에 따르면 J 스트릿 마리나를 중심으로 하는 해안가 124 에이커에 호텔, 소매상가, 스포츠센터, 엔터테인먼트 지구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 계획을 세부적으로 보면 5만 석 규모의 스타디움과 함께 호텔 3곳, 테니스 센터, 수구 아카데미, 골프장 2곳, 아이맥스 영화관이 들어서게 되며 30만 평방피트에 이르는 쇼핑공간도 짓게 된다. 존 매캔 시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지역 주민의 의견을 반영하여 공공 접근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설계되고 있다"며 "시민들의 의견이 프로젝트의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샌디에이고 항만위원회는 이 프로젝트의 개발사인 맥게리 그룹(McGary Group)과 6개월 간의 독점 협상에 들어가는 것에 동의한 상태다. 이 협상 기간 동안 시는 주민 의견을 적극 수렴할 예정이다. 판게아는 출라비스타 서부 해안가 재개발 프로젝트의 제2단계에 해당하는 사업으로 지난 봄 '게일로드 퍼시픽 호텔(Gaylord Pacific Hotel)'이 개장하며 제1단계는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바 있다. 한편 출라비스타시는 오는 12일 오후 5시 시의회 청사에서 공청회를 열어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공청회 관련 정보는 시의회의 공식 웹사이트(https://pub-chulavista.escribemeetings.com/Meeting.aspx?Id=ca35a0b7-10ab-4b86-9229-4b7694290704&Agenda=Agenda&lang=English)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골프 복합단지 서부 해안가 초대형 복합단지 이번 프로젝트
2025.08.12. 17:43
한미재단(KAF)이 한미연구소(KAI)와 파트너십을 맺고 ‘한인 커뮤니티 리서치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이번 연구는 미국 내 한인사회의 현실을 다각도로 분석해 정책 결정자들과 공공기관에 전달할 목적으로 진행되는 첫 대규모 조사 활동이다. 오는 2028년 한인 이민 125주년을 앞두고 진행되는 이번 프로젝트는 2년에 걸쳐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며, 그 결과를 주기적으로 발표해 한인사회 및 지역 리더들과 공유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를 위해 익명의 기부자가 총 150만 달러 이상을 지원한다. 25일 오후 LA한인타운 EK 아트갤러리에서 관계자들이 연구 지원금을 전달하고 있다. 사진은 맨 왼쪽부터 KAF의 존 임 이사장, 제리 강, 고계홍, 알버트 장, 장태한 이사와 마크 김 KAI 소장, KAF의 강창근, 브라이언 정, 신영신 이사. 김상진 기자프로젝트 리서치 kai 리서치 이번 프로젝트 kai 소장
2025.03.25. 20:20
창간 50주년을 맞은 중앙일보와 USC가 공동으로 한인사회 정신건강 등 보건복지 이슈를 심층취재해 커뮤니티에 알리는 프로젝트를 가동했다. USC가 소수계 언론과 처음 시도하는 ‘에스닉 미디어 보건복지 보도 협력 프로젝트’는 한인 및 흑인, 라틴계, 중국계 등 여러 소수계 커뮤니티가 겪는 보건복지 문제를 취재해 이를 주류 사회에 알리는 취지로 마련됐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한인 언론사로 유일하게 LA중앙일보가 파트너로 선정됐다. 중국계 커뮤니티에서는 ‘월드저널’, 북가주 아시안 커뮤니티를 다루는 ‘아시안 아메리칸 뉴스’, 흑인 커뮤니티에서는 ‘블랙보이스뉴스’ ‘새크라멘토 옵저버’, 라틴계 커뮤니티에서는 ‘유니비전 LA’ ‘유니비전 새크라멘토’, ‘유니비전 베이’가 참여한다. USC 헬스 저널리즘 센터에서 17일 개막한 심포지엄을 시작으로 공식 출범한 이 프로젝트는 ‘정신건강, 홈리스, 시니어, 세대갈등, 주거 등 의식주’ 등 소수계 커뮤니티가 직면한 보건 관련 문제를 조명하고 해결책을 찾게 된다. 헬스 저널리즘 센터는 각 언론사 취재에 필요한 전문가 조언 및 교육 프로그램, 학술보고서 등 각종 자료를 지원한다. 미주중앙일보는 헬스 저널리즘 센터 측과 한인사회의 주요 건강 및 보건 문제를 논의한 뒤, 매달 1회씩 총 10회에 걸쳐 현장 목소리를 전달할 예정이다. 미셸 레밴더 헬스 저널리즘 센터 디렉터는 “창간 50주년을 맞은 미주중앙일보와 함께 파트너십을 맺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미주중앙일보를 포함해 주요 소수계 언론사는 커뮤니티의 이야기를 가장 먼저 듣고 그들의 목소리를 우리 사회 전체에 알려 변화를 이끌 수 있다. 이번 보건 보도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소수계 커뮤니티가 겪고 있는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이해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오늘(19일)까지 진행되는 심포지엄은 전문가들이 패널로 나와 ▶탐사보도 취재 ▶정신건강 이슈와 현황 ▶커뮤니티 단체 토론 ▶인종별 건강 및 보건 인식 ▶사회 변화를 위한 저널리즘 역할 ▶보건 자료 접근법 등을 설명하고 주제별 토의를 통해 각 이슈를 심층적으로 취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소수계언론 중앙일보 한인사회 정신건강 이번 프로젝트 언론사 취재
2024.01.18. 22:04
#. 미드웨이공항, 현대화 프로젝트 마무리 단계 시카고 미드웨이 국제공항이 4억 달러 현대화 프로젝트의 최종 단계로 푸드코트를 새롭게 단장했다. 미드웨이 공항은 최근 콘코스 A와 콘코스 B 사이에 위치한 '센트럴 마켓' 푸드코트에 신규 레스토랑을 대거 입점시켰다. 미드웨이 공항에 새로 들어선 레스토랑들은 코니 피자, 아메리카 도그 앤 버거, 화이트삭스 버거 앤 그릴, M버거, 비처스 핸드메이드 치즈, 던킨 등으로 MAC, 조 말론, 투미, 이볼브 등의 소매업체와 함께 입점했다. 시카고 시는 미드웨이 공항과 함께 오헤어 국제공항에서도 85억 달러를 투입, 현대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시카고 시는 "미드웨이 공항의 센트럴 마켓 푸드코트는 시카고 주민은 물론 방문객들에게 세계적 수준의 편의 시설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커뮤니티에 더 많은 경제적 기회가 주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KR #. 시카고 올해 살인사건 발생 10% 감소 올해 시카고서 발생한 살인 사건이 작년 대비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부 지역의 경우 총격과 살인 사건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경찰 인력 배치 변화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시카고 경찰 자료에 따르면 올해 11월말까지 시카고에서 발생한 살인사건은 모두 569건이었다. 이는 전년도에 비하면 12% 감소한 수치다. 쿡 카운티 검시소 자료도 마찬가지다. 11월 27일까지 시카고서 살해된 주민은 모두 599명이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 692명과 비교하면 100명 가량 줄어든 수치다. 살인 사건 발생이 크게 줄어든 지역은 제퍼슨 파크 16지구와 모건 파크 22지구 등 북부와 남부 지역에서 고루 나타났다. 아울러 살인까지 이어지지 않은 총격 사건 역시 13% 줄었다. 반면 대표적인 시카고 우범 지역인 남부와 서부 지역 일부에서는 살인 사건 발생이 크게 늘었다. 그랜드 센트럴 25지구는 50% 가까이 증가했고 남서부의 시카고 론 지역은 30% 정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두고 일부에서는 급증한 카 재킹과 무장 강도 사건에 더 많은 경찰 인력이 투입되면서 이들 지역의 살인 사건이 증가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잉글우드와 오스틴 지역이 대표적인데 올해 살인 사건이 증가한 이 지역에서는 경찰관 12명이 북쪽과 북서쪽 지역으로 재배치된 것으로 확인됐다. @NP Nathan Park•Kevin Rho 기자로컬 단신 브리핑 미드웨이공항 프로젝트 미드웨이공항 현대화 현대화 프로젝트 이번 프로젝트
2023.12.04. 14:11
#. 미드웨이공항, 현대화 프로젝트 마무리 단계 시카고 미드웨이 국제공항이 4억 달러 현대화 프로젝트의 최종 단계로 푸드코트를 새롭게 단장했다. 미드웨이 공항은 최근 콘코스 A와 콘코스 B 사이에 위치한 '센트럴 마켓' 푸드코트에 신규 레스토랑을 대거 입점시켰다. 미드웨이 공항에 새로 들어선 레스토랑들은 코니 피자, 아메리카 도그 앤 버거, 화이트삭스 버거 앤 그릴, M버거, 비처스 핸드메이드 치즈, 던킨 등으로 MAC, 조 말론, 투미, 이볼브 등의 소매업체와 함께 입점했다. 시카고 시는 미드웨이 공항과 함께 오헤어 국제공항에서도 85억 달러를 투입, 현대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시카고 시는 "미드웨이 공항의 센트럴 마켓 푸드코트는 시카고 주민은 물론 방문객들에게 세계적 수준의 편의 시설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커뮤니티에 더 많은 경제적 기회가 주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KR #. 시카고 올해 살인사건 발생 10% 감소 올해 시카고서 발생한 살인 사건이 작년 대비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부 지역의 경우 총격과 살인 사건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경찰 인력 배치 변화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시카고 경찰 자료에 따르면 올해 11월말까지 시카고에서 발생한 살인사건은 모두 569건이었다. 이는 전년도에 비하면 12% 감소한 수치다. 쿡 카운티 검시소 자료도 마찬가지다. 11월 27일까지 시카고서 살해된 주민은 모두 599명이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 692명과 비교하면 100명 가량 줄어든 수치다. 살인 사건 발생이 크게 줄어든 지역은 제퍼슨 파크 16지구와 모건 파크 22지구 등 북부와 남부 지역에서 고루 나타났다. 아울러 살인까지 이어지지 않은 총격 사건 역시 13% 줄었다. 반면 대표적인 시카고 우범 지역인 남부와 서부 지역 일부에서는 살인 사건 발생이 크게 늘었다. 그랜드 센트럴 25지구는 50% 가까이 증가했고 남서부의 시카고 론 지역은 30% 정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두고 일부에서는 급증한 카 재킹과 무장 강도 사건에 더 많은 경찰 인력이 투입되면서 이들 지역의 살인 사건이 증가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잉글우드와 오스틴 지역이 대표적인데 올해 살인 사건이 증가한 이 지역에서는 경찰관 12명이 북쪽과 북서쪽 지역으로 재배치된 것으로 확인됐다. @NP Nathan Park•Kevin Rho 기자로컬 단신 브리핑 미드웨이공항 프로젝트 미드웨이공항 현대화 현대화 프로젝트 이번 프로젝트
2023.12.04. 13:50
LA시정부가 노숙자 밀집 지역인 스키드로(Skid Row) 등의 사회 기반 시설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수천만 달러를 투입한다고 밝혔다. LA시가 노숙자 비상사태를 선포한 가운데 나온 발표이지만 ‘전시 행정’이라는 비판도 일고 있다. 케빈 드레온 LA시의원(14지구) 사무실은 22일 ‘스키드로 연결 및 안전 프로젝트’를 발표, “스키드로와 인근 지역의 자전거 도로 및 인도 개선 등을 위해 주정부가 3859만9000달러, LA시가 896만7000달러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드레온 시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확보한 4750여만 달러는 시 역사상 가장 큰 인프라 보조금”이라며 “수십 년간 방치됐던 스키드로 지역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안전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스키드로 인프라 개선 프로젝트에 포함되는 지역은 다운타운 샌피드로 스트리트를 중심으로 북쪽 템플 스트리트, 남쪽으로는 16가 까지다. 인프라 개선 프로젝트에는 ▶8가와 샌피드로 스트리트에 광장 신설 ▶인도 보수(약 2만7000 스퀘어피트) ▶가로수 500그루 심기 ▶보행자 신호등 543개 설치 ▶횡단보도 57곳 개선 ▶자전거 도로 2.43마일 신설 ▶전기 자전거 충전소 설치 ▶자전거 보관소 개설 등이 포함된다. 가주 정부가 이번 프로젝트에 지원하게 될 3800여만 달러는 교통활성화프로그램(ATP)에서 나온다. 드레온 시의원은 “ATP 기금은 저소득층 지역의 온실가스 감소를 목적으로 무동력 운송 수단 사용자들의 안전과 이동성 향상을 위한 것”이라며 “스키드로를 대상으로 이러한 보조금이 투입되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고 전했다. 이처럼 드레온 시의원이 야심 차게 스키드로 개선 프로젝트를 발표했지만 비판의 목소리는 높다. 프로젝트명에 ‘스키드로’를 내세웠지만 정작 스키드로 지역의 효용성 등을 고려하지 않은 ‘보여주기 식’ 정책이라는 지적이다. 스키드로 지역 ‘피플스마켓’ 직원 필립 김씨는 “이번 프로젝트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사실상 스키드로보다는 ‘꽃시장’에 치중된 인프라 개선”이라며 “게다가 프로젝트의 내용이 스키드로가 정말 필요로 하는 것들인지에 대해서는 전혀 공감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실제 드레온 시의원 사무실 측이 발표한 인프라 개선 계획 지도를 보면 스키드로는 전체 구간 중 극히 일부에 속한다. ‘스키드로’로 표시된 지역에는 자전거 도로 신설, 보행자 신호등 설치, 도로 폭을 줄이는 연석 확장(curb extensions) 등의 계획만 명시돼있다. 현재 드레온 시의원이 이번 프로젝트를 설명하는 트위터 영상에는 ‘이건 스키드로를 위한 지원금이 아니다. 스키드로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건 부적절하다(아이디 캐서린 시티즌 포리스터)’ ‘이건 플라워디스트릭과 패션 디스트릭을 위한 거다. 너무나 뻔뻔하게 거짓말을 하고 있다(아이디 돈 페트로스키 가르자)’ ‘자전거? 스키드로 사람들에게 현실적으로 자전거 도로가 가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게 어이가 없다(아이디 엘리야 프리)’ ‘지금 스키드로의 최우선 과제가 자전거 도로라니… 당장 사임해라(아이디 니나 터너)’ 등 비난의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한편 드레온 시의원은 지난 10월 흑인 비하를 포함한 인종차별적 발언이 담긴 녹취록이 공개된 후 리콜 캠페인과 퇴진 요구 시위가 이어지면서 사퇴 압력을 받고 있다. 장열 기자프로젝트 스키드 안전 프로젝트 이번 프로젝트 인프라 개선
2022.12.22. 21:54
#. 시카고 남부 주요도로 9400만불 재건 프로젝트 시카고 남부를 잇는 우드 스트릿과 애쉬랜드 애비뉴의 3마일 도로가 약 100년 만에 대대적으로 보수된다. 일리노이 교통국(IDOT)은 "161가부터 138가까지 하비, 딕스무어, 리버데일 등 3개의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주요 도로들을 현대화 한다"고 8일 발표했다. 총 9400만 달러의 예산이 투입되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IDOT는 4차선 도로에 연석, 홈통 및 조명 등을 새로 설치하고, 교통 신호·도로·철도 건널목 등의 현대화, 조경 및 미적 개선, 리틀 칼루멧(Little Calumet) 강의 교량 재건축, 새로운 자전거 및 보행자 도로, 새 빗물 하수도 시스템 등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오는 2025년 완료 예정이며 지난 2019년 통과된 330억 달러 규모의 '일리노이 재건'(Rebuild Illinois) 법안에 따른 비용이 지원된다. @KR #. MN 중서부 최고 장수촌 KY 평균 수명 짧아 중서부 지역에서는 미네소타 주가 대표적인 장수지역으로 꼽혔다. 반면 켄터키 주민들의 평균 수명은 중서부에서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나 대조적이었다. 최근 연방질병통제센터는 2020년 기준 평균 기대 수명 자료를 내놨다. 2020년 출생하는 사람들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오래 사는지를 알 수 있는 자료다. 이 자료는 출생과 사망과 관련한 자료를 토대로 집계된다. 이에 따르면 미네소타 주민들의 평균 수명은 79.1세로 나타났다. 이는 하와이 80.7세, 워싱턴 79.2세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것이었다. 성별로 보면 미네소타 남성의 평균 기대 수명은 76.8세, 여성은 81.4세였다. 일리노이 주민들의 평균 기대 수명은 76.8세로 전국 평균에 가까운 26위로 조사됐다. 네브라스카와 위스콘신은 77.7세, 아이오와는 77.5세로 전국 평균인 77세보다 높았다. 반면 중서부에서 기대 수명이 가장 짧은 지역으로는 켄터키 주로 나타났다. 켄터키 주민들의 평균 수명은 73.5세로 미네소타와 비교하면 6년 가까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울러 인디애나 75세, 오하이오 75.3세, 미시간 76세, 캔사스 76.4세 등도 비교적 평균 수명이 짧은 중서부 지역으로 드러났다. 이번 자료를 보면 2019년에서 2020년까지 전국 평균 기대 수명은 줄어들었다. 79세에서 77세로 줄어든 것인데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전국에서 평균 기대 수명이 가장 크게 줄어든 곳은 뉴욕 주로 3년이 짧아졌다. 미국에서 가장 장수하는 지역의 주민은 하와이에 거주하는 여성으로 83.6세로 집계됐다. 반대로 가장 짧게 사는 곳의 주민은 미시시피 남성으로 68.6세로 확인됐다. @NP Nathan Park•Kevin Rho 기자로컬 단신 브리핑 주요도로 프로젝트 재건 프로젝트 시카고 남부 이번 프로젝트
2022.09.09. 13:51
(Alan and Craig are at work…) (앨런과 크렉이 직장에서…) Craig: So when do you think we''ll wrap up this project? 크렉: 그럼 우리 언제 이 프로젝트를 끝내지? Alan: We''ll be finished with it in about two weeks I guess. 앨런: 한 2주일 안으로 끝내겠지 뭐. Craig: What then? 크렉: 그 다음엔? Alan: We''ll start on that other project for the city. 앨런: 다른 도시의 프로젝트를 시작할 거야. Craig: I can hardly wait. 크렉: 기다려지는군. Alan: It should be really interesting. 앨런: 아주 흥미롭겠는걸. Craig: I hope so because this project has me bored to tears. 크렉: 이번 프로젝트에 신물이 나서 나도 새 프로젝트가 흥미롭기를 바래. Alan: Hang in there just a little longer. 앨런: 조금만 더 견디어보자고. Craig: I will. I have no other choice. 크렉: 그럴게. 다른 방법이 없으니. Alan: In less than two weeks we''ll be working on something new. 앨런: 2주도 안지나면 우린 새로운 일을 하고 있을 거야. Craig: Knowing that keeps me going. 크렉: 그것 때문에 힘을 내는 거야. Alan: Let''s go get lunch. 앨런: 가서 점심 먹자. Craig: Good idea and it''s my turn to buy. 크렉: 좋아 내가 살 차례야. ━ 기억할만한 표현 * wrap up (something): 끝내다 마무리짓다 "We wrapped up that project two weeks early." (우리는 그 프로젝트를 2주나 빨리 끝냈습니다.) * to be bored to tears: 따분하다 지겨워 죽겠다 신물이 나다 "Ann told me that I bored her to tears." (앤은 내가 너무 따분하다고 했습니다.) * keep (one) going: 기운을 북돋다 "Her dreams to be successful have kept her going." (성공을 위한 야망이 그녀에게 힘을 주었습니다.) 오늘의 생활영어 hang craig are 이번 프로젝트 hang in
2022.07.08. 18:58
뉴욕시와 뉴저지주를 잇는 새로운 하저 철도 터널을 건설하는 '게이트웨이 프로젝트'의 주요 계획이 연방정부의 최종 허가를 받았다. 1일 미 육군공병대(U.S Army Corps of Engineers)는 허드슨리버 하저 철도 터널 개발을 허용하는 허가증 발급을 발표했다. 스타레저·블룸버그통신 등은 2023년부터 공사가 시작될 수 있는 연방정부의 최종 허가가 떨어진 셈이라고 보도했다. 허드슨리버 하저 철도 터널 개발 계획은 게이트웨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개의 신규 터널과 낙후된 현 허드슨리버 철도 터널 보수를 골자로 하고 있다. 개발을 총괄하는 게이트웨이개발공사(Gateway Development Corp.)는 해당 개발 계획은 신규 터널 공사에 101억 달러, 현 허드슨리버 철도 터널 보수에 22억 달러, 총 123억 달러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해당 예산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1조2000억 달러 규모 인프라 법안을 통해 충당하게 된다. 공사 시작 시기는 2023년 여름으로 예상되며 완공 시기는 2035년으로 예정됐다. 현 허드슨리버 철도 터널은 1910년, 즉 111년 전에 지어져 잦은 보수에도 심각한 노후 현상을 겪고 있으며 뉴저지트랜짓(NJ Transit)과 앰트랙의 열차 지연 사태의 근본 원인으로 꼽히고 있어 꾸준히 문제가 제기되는 지역 주민들의 중요 현안으로 꼽힌다. 이번 프로젝트로 새로운 허드슨리버 터널이 생길 경우 뉴왁부터 뉴욕시를 잇는 앰트랙(Amtrak)의 승객 수용량이 2배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심종민 기자게이트웨이 프로젝트 게이트웨이 프로젝트 허드슨리버 터널 이번 프로젝트
2021.12.02. 1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