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전철 지연, 지난 7년 중 가장 심각

올여름 뉴욕시 전철 지연 문제가 지난 7년 중 가장 심각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달 30일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6월과 7월 각종 이유로 인해 5분 이상 전철 지연이 발생한 건수는 각각 68건과 70건이었다. 여름철 두 달 연속 이 같은 규모의 지연이 70건 가까이 발생한 것은 2018년 이후 처음이다.     2018년 당시 뉴욕시 교통 시스템은 잦은 장비 고장으로 극심한 불안정을 겪으며, 주 전역에 비상사태가 선포된 바 있다.   특히 열차 시스템 문제가 전철 지연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지난 7월 발생한 70건의 심각한 지연 가운데 ▶신호 문제로 인한 지연이 20건 ▶선로 문제 14건 ▶플랫폼 및 구조물 문제 8건 ▶열차 문제 6건 등 대부분 인프라 및 장비 문제로 인한 지연이었다.     이러한 지연은 MTA가 노후화된 장비 업그레이드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발생했다. MTA는 수십억 달러를 투입해 전철 신호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진행 중이지만, 대부분의 프로젝트가 예정보다 최소 9개월에서 최대 3년까지 지연되고 있다.     전철 노선별로 보면, 지난 7월 5분 이상 지연 건수가 가장 많았던 노선은 R노선(10건)이었다. 이외에도 ▶E(7건) ▶7·N(각각 7건) ▶1·Q(각각 6건) ▶A·D·M(4건) 노선에서 심각한 전철 지연이 자주 발생했다.     대니 펄스타인 교통 옹호단체 '라이더스 얼라이언스(Riders Alliance)'의 대변인은 "뉴욕시 전철은 지금까지 시간을 벌며 겨우 버텨온 셈"이라며 "50년 전에도 이 시스템은 붕괴 직전까지 갔고, 그때 대대적인 업그레이드가 이뤄졌지만 이제 신호와 전기 시스템, 구조물과 터널 모두 수십 년 동안 제대로 받지 못한 세심한 관리가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그동안 미뤄온 문제가 한꺼번에 드러나고 있는 것"이라며 "단순한 임시방편으로는 해결될 수 없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심각 지연 전철 지연 지연 문제 전철 노선별

2025.09.02. 21:04

뉴욕전철 지연 원인 1위는 ‘경찰출동’

뉴욕 전철이 수시로 지연되는 가장 큰 이유는 ‘범죄 대응을 위한 경찰 출동’으로 확인됐다.   26일 경제 매체 크레인스뉴욕이 입수, 분석한 올해 상반기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 데이터에 따르면 24개 전철 노선이 지연되는 가장 큰 요인은 ‘공공행동과 범죄, 경찰대응’이라고 불리는 항목 때문이었다.     MTA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 경찰은 전철에서 범죄가 일어나고 있거나, 난폭한 승객이 있다는 제보를 받고 9701번 출동했다. 2024년 같은 기간 대비 4% 증가한 수치로, 경찰 출동과 대응 과정에서 상반기에만 3만3000건 이상의 전철 지연이 발생했다.     대중교통 옹호단체 ‘라이던스 얼라이언스’의 대니 펄스타인 정책 및 홍보 담당이사는 “노숙자 문제나 정신 질환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사실은 대중교통 정시 운행에 도움이 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뉴욕시 전철이 지연되는 두 번째 이유로는 많은 인파가 몰리면서 전철에서 승객이 내리고 탑승하는 데 평소보다 오래 걸리는 경우(5029건)가 차지했다. 특히 바쁜 출퇴근 시간대에는 승객들이 열차를 놓치지 않기 위해 강제로 문을 열거나 멈추고 탑승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 과정에서 전철이 조금씩 지연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올해 상반기 승객 수는 지난해 상반기 대비 8% 증가했는데, 출퇴근 시간대에는 탑승객이 몰리면서 승객들이 모두 타고 내리는 데 시간이 더 걸린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외에 전철 차량 정비(4592건), 전철 운전사 및 차장 부족(2235건), 신호 문제(2235건), 컨트롤 센터와의 문제(1642건), 다치거나 아픈 승객(1345건), 열차 장비 문제(973건), 작업 열차 및 기타 유지보수 장비 문제(949건), 시스템 현대화 계획(804건) 등이 전철 지연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다만 MTA 측은 최근 인프라 투자와 신호 개선 작업으로 예전에 비해선 전철 지연이 많이 줄었다는 입장이다. MTA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철의 평일 정시 운행률은 83.7%로, 전년동기대비 2% 이상 증가했다.     카일라 슐츠 MTA 대변인은 “최근 시스템 전반에 걸쳐 진행 중인 신호, 선로 개선 투자는 장기적으로 승객 불편 감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김은별 기자뉴욕전철 경찰출동 전철 지연 경찰 출동과 범죄 경찰대응

2025.08.26. 21:08

F노선 전철 지연 상반기에 가장 잦았다

올해 상반기 뉴욕 전철 통근자들에게 가장 큰 불편을 안겨준 노선은 F노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경제매체 크레인스뉴욕이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F, 6, 2, N, A노선이 가장 많은 지연을 겪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이들 노선은 뉴욕 전철 시스템에서 가장 길고 많은 승객이 이용하는 노선들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MTA가 지난 1월부터 6월까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전체 24개 노선 중 F노선에서 총 2677건의 지연을 유발하는 사고가 발생해  불명예스러운 1위를 차지했다.     퀸즈 자메이카-179스트리트역에서 시작해 맨해튼을 거쳐 브루클린 코니아일랜드-스틸웰애비뉴 역까지 운행하는 F노선은 총 길이가 27마일에 달한다.   가장 지연이 심한 노선 2위는 맨해튼 동부를 주로 운행하는 6번 노선으로 2628건의 지연 사고가 발생했다.     3위는 브롱스, 맨해튼, 브루클린을 관통하는 2번 노선(2627건), 4위는 같은 3개 보로를 운행하는 N노선(2277건)이 차지했다. 맨해튼, 브루클린, 퀸즈를 잇는 A노선은 2236건으로 5위에 올랐다. A노선은 총 길이 32마일로 시스템 내에서 가장 긴 노선이다.   전철 지연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대중의 행동(public conduct)’, 즉 무질서한 승객이나 범죄, 그리고 경찰 대응 등으로 규정하는 요인들이 꼽혔다. 또한 유지보수 문제와 ‘운행 환경’ 이슈도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운행 환경에는 문을 억지로 잡고 있거나 승객이 승하차에 평소보다 오랜 시간을 지체하는 등의 상황이 포함된다.     실제로 2025년 상반기 F노선 지연 사고 중 604건이 대중의 행동, 범죄, 경찰 대응과 관련됐으며 458건은 유지보수, 295건은 운행 환경 문제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전철 노선에서 경찰 및 의료 관련 사건으로 인해 발생한 지연은 1만1000건 이상으로, 전체 지연의 30% 이상을 차지한다. 인프라 및 장비 문제로 인한 지연도 8600여 건에 달해 약 25%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MTA 대변인 카일라 슐츠는 이 같은 지연 문제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정시 운행률은 85%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크레인스는 지연이 가장 적은 5개 노선도 함께 발표했다. 상반기 동안 가장 지연이 적었던 노선은 총 883건의 M노선이었다. 지연 949건으로 두 번째로 적었던 L노선은 2006년 지하철 최초로 아날로그 신호 시스템에서 무선 기술을 활용한 현대식 시스템으로 전환된 노선이다. 그 외 B노선(1018건), J/Z노선(1062건), R노선(1131건)도 지연이 적은 노선으로 꼽혔다.     서만교 기자 [email protected]상반기 지연 상반기 f노선 전철 지연 이들 노선

2025.08.10. 18:5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