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전 인디애나주 미샤와카라는 소도시에서 처음으로 미국이라는 나라를 접했다. 낯선 나라에서 보고 듣고 느끼는 모든 것이 신기했다. 호기심은 커졌고, 한국에서 체험할 수 없던 여러 경험은 짜릿했다. 소방관으로 일하던 어학원 한 호스트 가장은 소방서에 초대해 영화로만 보던 큰 소방차를 직접 설명해 줬다. 그 소방관에게 “당신도 총을 가지고 있나요?”라고 물었다. 미국인이라면 다들 총기를 소유하지고 있지 않느냐라는 의도의 질문에 소방관은 눈빛이 변했다. “나는 총을 소유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총이 자기방어 수단이라고 말하지만, 총기를 집에 둠으로써 발생할 위험이 더 크다.” 그때 소방관의 진지했던 눈빛과 표현이 아직도 생생하다. 할리우드 영화에서 총이 흔하게 나왔기 때문에 그 위험을 가볍게 여겼던 내 경박함이 창피했다. 그 후 기자로 각종 사건사고 현장을 취재하면서 그 소방관의 말뜻을 이해하게 됐다. 10여 년 전 가디나 한 아파트 2층 현관에는 핏자국과 함께 알 수 없는 유기물이 흩뿌려져 있었다. 현장에서는 한인 남편이 아내를 총격 살해하고 본인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전형적인 ‘살해 후 자살(murder-suicide)’ 사건이었다. 남편의 정확한 범행 동기는 미궁에 빠졌지만, 가정불화로 추정됐다. 현관의 유기물은 총상에 의한 뇌수였다. 총격 사건 현장의 처참함은 지금도 잊을 수 없다. 살해 후 자살은 비극 중에서도 비극이다. 단순 자살이 남은 가족에게 평생 가슴 아픈 트라우마를 안긴다면, 살해 후 자살은 커뮤니티까지 비통함에 빠지게 한다. 최근 한인사회에서 가족 살해 후 자살 사건이 다시 반복돼 우려를 키운다. 가해자의 공통점은 가장이면서 총기를 사용했다는 점이다. 정신건강 전문가는 ‘자살’을 정신건강이 나빠진 극단적 부작용으로 본다. ‘우울증, 조울증, 불안장애’를 겪으면 삶을 비관하고 부정적으로 해석한다고 한다. 감정 기복은 반복되고 급기야 자살행동을 촉발한다. 특히 총기는 정신건강이 불안정할 때 가장 경계해야 할 무기라고 한다. 정신건강전문의 수잔 정 박사는 “사람도 감정(변연계)에 지배되는 포유동물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면서 “생리학적으로 이성(전두엽)은 25세가 되어야 정립된다. 분노에 휩싸일 때 총기가 옆에 있다면, 그것을 사용하고 싶은 충동은 커질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가정불화, 우울증 징후가 보인다면 총기는 더더욱 경계해야 한다. 정 박사는 “가장 사랑하는 사람이라는 가족은 때로 가장 미워하는 대상이 되기도 한다. 특히 가족을 내 의지대로 소유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가정에서 총기 소유는 멀리해야 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때로 자기방어를 이유로, 만일의 사태에 가족을 보호해야 한다는 책임감에 총기를 소유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총구가 거꾸로 본인과 가족에게 향할 수 있다는 사실도 명심해야 한다. 감정 기복이 심할 정도로 이성이 작동하지 않을 때는 주변에 이를 솔직히 털어놓고, 전문가에게도 적극적으로 도움을 요청해야한다. 비극을 막는 첫걸음이다. 총기 소지 위험을 미리 차단하는 자세도 중요하다. 캘리포니아주는 2016년부터 ‘총기 폭력 제한 명령(GVRO·Gun Violence Restraining Order)’을 시행 중이다. 누군가 정신건강이 불안정하고 총기 폭력 가능성까지 보일 경우 법집행기관에 도움을 요청해 해당 인물의 총기 구매·접근·소지를 금지할 수 있다. GVRO(reducetherisk.ca.gov 참조)는 가족, 동거인, 직장 동료, 고용주, 학교 관계자, 친밀한 파트너 등 우려 대상과 관계가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김형재 / 사회부 부장중앙칼럼 자기방어 총기 총기 소유 총기 폭력 총기 구매
2025.09.07. 19:00
반 트럼프 시위 현장에서 시위대를 위협하다 체포된 30대 한인 남성과 관련 검찰은 그가 많은 총기를 소지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해 압류 조치에 나섰다. 인디애나주 지역 언론인 헤럴드 타임스는 지난달 14일 블루밍턴 지역에서 열린 ‘노 킹스(No Kings)’ 시위 때 체포된 김현준(31·사진) 씨가 여전히 수감 중이라고 2일 보도했다. 이어 이 매체는 “검찰은 김 씨가 소유한 총기를 모두 확보하기 위해 법원에 총기 압류를 요청했다”고 전했다. 지역 언론에 따르면 김 씨는 시위 당일 시위대를 향해 쇠파이프를 위협적으로 휘두르고 고함을 지르며, 본인 차량을 부수는 등 위협 행위를 벌였다. WTHR 방송은 “당시 김 씨가 옆에 있던 배낭을 집으려 했는데, 당시 한 시민이 배낭 안에 총기나 다른 무기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해 그를 제압했다”고 보도했다. 김씨는 협박죄와 소란죄 혐의로 기소됐으며 먼로 카운티 교도소에 구금 중이다. 송영채 기자시위대 위협 시위대 위협 총기 소유 총기 압류
2025.07.02. 21:38
총기 규제를 강화하는 법안이 23일 연방상원에 이어 24일 하원 관문까지 통과해 의회 절차를 마쳤다. 1993년 돌격소총 금지법 이후 근 30년 만에 총기규제를 실질적으로 진전시키는 법이 마련된 것으로, 이제 조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만 남겨뒀다. 지난달 뉴욕주 버펄로, 텍사스주 유밸디 총기 난사 사건 발생 후 총기 규제 강화 여론이 높아지자 총기 소유를 옹호해온 공화당 일부 인사들이 규제 쪽으로 돌아서며 민주당에 힘을 실어준 결과다. AP통신에 따르면 하원은 이날 총기 규제 관련 법안을 찬반 234명 대 193명으로 통과시켰다. 공화당 의원 중에서도 15명이 찬성표를 던졌다. 전날 상원에서 찬성 65명, 반대 33명으로 처리한 지 하루 만에 일사천리로 표결 절차가 끝났다. 법안은 총기를 구매하려는 18∼21세의 신원 조회를 위해 미성년 범죄 기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상대적으로 미성숙한 21세 미만 총기 구매자의 정신건강 상태를 관계 당국이 최소 열흘간 검토하는 내용도 담겼다. 더 많은 총기 판매업자에게 신원 조회 의무를 부여하고 총기 밀매 처벌을 강화하는 한편, 위험하다고 판단된 사람의 총기를 일시 압류하는 ‘레드 플래그’(red flag) 법을 도입하려는 주에 인센티브를 주는 내용 등도 포함됐다. 바이든 대통령은 전날 상원의 법안 처리 후 낸 성명에서 “이 초당적 법안은 미국인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환영한 점에 비춰 머지않아 법안에 서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민주당은 애초 공격형 소총과 대용량 탄창 판매 금지, 공격용 소총 구매 연령 상향, 사실상 모든 총기 판매에 대한 신원 조회 등을 요구했지만, 공화당 측과 협의 과정에서 빠졌다. 심종민 기자총기규제법 상하원 총기 판매업자 총기 규제 총기 소유
2022.06.24. 19:56
총기 관련 사건·사고가 증가하면서 지난 2020년 처음으로 20세 미만 사망 원인 가운데 총기가 차량 충돌이나 약물남용, 암 등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뉴잉글랜드 의학저널(NEJM)'에 실린 연구레터에 따르면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사망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20년 총기와 관련된 부상으로 사망한 19세 미만은 4300명을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NBC 방송이 22일 보도했다. 이 같은 수치는 지난 2019년에 비해 29% 증가한 것이다. 반면에 그동안 20세 미만 사망원인 1위를 차지했던 차량 관련 사망자 수는 지난 20년간 차량 안전이 개선되면서 급격히 감소했다. 지난 2020년 차량 충돌로 인해 숨진 20세 미만은 약 3900명이었다. 이 연구레터의 공동 저자인 제이슨 골드스틱 미시간대학 연구부교수는 “아이들 사이에서 총기 관련 부상이 차량 충돌 부상을 능가한 것은 지난 40년간 처음”이라면서 “그 이전에도 없었을 것이 거의 확실하다”라고 말했다. 특히 20세 미만 총기 관련 사망의 경우 스스로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보다 타인에 의한 살인이 다수를 차지했다. 2020년 젊은이 사이에서 총기 살해는 전년보다 33%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골드스틱 부교수는 “우리는 방지할 수 있는 죽음으로부터 젊은이들을 보호하는 데 실패하고 있다”면서 “자동차를 금지하지 않고도 차량 충돌을 줄였던 것처럼 총기를 금지하지 않고도 총기 부상 비율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총기는 18세는 돼야 구매할 수 있는데, 지난 2020년 총기에 의해 숨진 20세 미만 가운데 대부분은 14세 이상이었다. 골드스틱 부교수는 “아이들이 총기를 구매하지는 않지만, 그것이 총기에 접근하는 게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 지난 2월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총기 소유가 증가해 지난 2019년 1월부터 2021년 4월 사이에 500만 명 이상의 18세 이하 미성년자가 새로 총기에 접근할 수 있게 됐다고 방송은 지적했다. 또 방송은 2021년에는 팬데믹 이후 총기 구매가 늘어난 것이 20세 미만의 총기 관련 부상 비율 상승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며 팬데믹으로 인한 학교 폐쇄와 부모의 감독 결여가 이런 경향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CDC의 사망자 관련 자료는 총기 부상으로 숨진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실제 어린이와 10대 사이에서 발생하는 총기 폭력 전체 규모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실제 총기 폭력 문제는 훨씬 더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있다.사인 총기 총기 부상 가운데 총기가 총기 소유
2022.04.22. 2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