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오픈업] 자기 충족적 예언의 효과

화창한 뉴욕의 번화가, 딸의 생일 케이크를 사러 빵집으로 향하던 길이었다. 문득 눈길이 닿은 도로 바닥에 구리빛 페니(1센트 동전) 하나가 놓여 있었다.     요즘 세상에 길에 떨어진 동전은 그저 하찮거나 더럽게 여겨지기 십상이다. 하지만 왠지 모를 호기심에 나는 그 페니를 주워 들었다. 놀랍게도 조금 떨어진 곳에서 또 다른 페니가 반짝였고, 그 옆에는 오래되어 검게 변한 페니도 보였다. 그렇게 하나둘 줍다 보니 어느새 손 안에는 총 일곱 개의 페니가 들려 있었다. 말 그대로 ‘럭키 세븐’이 아닌가! 나는 직감했다. 무언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예감에 가슴이 설렜다.   인간은 감성적이고 감정이 풍부한 존재다. 그래서 때로는, 아니 자주, ‘소소한 행복’이 필요하다. 평범한 일상 속에서 우연히 찾아오는 작은 행운들이 모여 큰 기쁨을 선사하기도 한다.     나는 그 순간 ‘자기 충족적 예언’의 버튼을 눌렀다. 그리고 마음속으로 되뇌었다. “아마도 내게 좋은 일들이 생길 거야!” 자기 충족적 예언이란 간단히 말해 “긍정적인 기대가 긍정적인 결과를 낳는다”는 심리 작용을 의미한다.   이 개념은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비롯되었다. 조각가 피그말리온이 자신이 빚은 조각상을 진정으로 사랑하자, 사랑과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가 그 조각상에 생명을 불어넣었다는 감동적인 이야기다. 물론 우리가 바라고 기도하는 모든 것이 기적처럼 현실이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 이야기는 희망과 꾸준한 노력이 삶에 보람과 가치를 가져다준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듯하다.   뜻밖의 행운은 그렇게 찾아왔다. 어느 날 저녁 어스름이 질 무렵, 타임스스퀘어 근처 브로드웨이 극장가를 걷고 있었다. 화려하게 빛나는 전광판들을 올려다보며 잠시 멈춰 섰을 때, 옆에 서 있던 한 여성과 우연히 몇 마디를 나누게 되었다. 그녀는 갑자기 내게 뮤지컬 표를 살 생각이 있느냐고 물었다.     얼떨결에 “그렇다”고 답하자, 그녀는 자신에게 남는 표가 있다며 한 장을 건네주었다. 대학교수인 그녀가 학생들과 함께 보려고 여러 장의 표를 구입했는데, 갑자기 오지 못하게 된 학생이 있어 표가 남았다는 것이다. 나는 감사한 마음으로 ‘공짜 표’를 받았고, 그날 기대치 않았던 뮤지컬 ‘아웃사이더(The Outsiders)’를 감동적이고 흐뭇한 마음으로 관람했다. 참으로 감사하고 행운이 넘친 하루였다.   또 다른 날, 뉴욕의 한 공원 근처 편안한 카페에서는 감기 기운이 있던 내게 웨이터가 요청하지도 않은 따뜻한 레몬차에 레몬을 듬뿍 가져다주었다. 게다가 유명 백화점 향수 코너에서는 직원이 향수를 사지도 않은 내게 뉴욕시 내 가볼 만한 쇼핑몰들의 위치와 주소까지 상세히 알려주는 친절을 베풀었다.   이처럼 나의 뉴욕 여행은 공짜 뮤지컬 티켓을 비롯해 뉴욕에서 만난 사람들의 사려 깊은 친절 덕분에 더욱 풍성하고 즐거웠다. 어쩌면 길에서 주운 ‘일곱 개의 페니’와 그 순간 스스로에게 했던 ‘자기 충족적 예언’이 아주 조금이라도 효과를 발휘했던 것 같기도 하다.   지금까지 뉴욕에서 짧은 여행 중 경험했던 몇 가지 행운들을 요약해 보았다. 나는 자기 충족적 예언이 ‘항상’ 효과를 발휘한다고 믿지는 않는다. 하지만 우리가 주의 깊게 찾아보면 이 세상에는 작지만 즐거운 일들이 의외로 많고, 그것들이 때로는 우리에게 크나큰 행복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이는 바로 우리 주변에서 소리 없이 다가오는 소소한 행복들이다. 그러니 오늘도 즐겁게, 미소 지으며, 우리 모두 긍정적인 자기 충족적 예언을 발휘해보는 것은 어떨까. 손원임 / 전 위스콘신대 교육학과 교수오픈업 충족 예언 자기 충족적 뉴욕 여행 공짜 뮤지컬

2025.07.17. 20:33

썸네일

손원임의 마주보기- 자기 충족적 예언의 효과

아주 화창한 날 뉴욕시의 번화한 거리에 있는 빵집에 딸의 생일 케이크를 사러 걸어가고 있었다. 그런데 도로 바닥에 구리색 빛깔의 페니(1 cent) 한 개가 놓여 있었다. 요즈음은 땅바닥에 버려진 페니를 그저 하찮게 여기거나 더럽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때 나는 왠지 호기심에 그냥 주워 봤다. 그런데 조금 떨어져서 또 한 개의 페니가 아주 밝게 반짝거렸고, 그 주변에 매우 시꺼매진 페니가 또 한 개 보였고, 이런 식으로 결국 총 7개의 페니를 줍게 되었다. 그야말로 ‘러키 세븐(lucky seven)’이었다! 나는 바로 그 순간 행운을 직감했고, 잠시나마 어떤 행운들이 찾아올까 싶어서 은근히 마음이 설렜다.     우리 인간은 매우 감성적이고 감정이 풍부한 존재라서 때때로, 그것도 자주 ‘소소한 행복’이 필요하다. 사실상 평범한 일상 속에서 뭔가 이렇게 다가오는 작은 행운들이 모이고 모여서 매우 큰 즐거움을 선사하기도 한다. 그래서 나는 바로 자기 충족적 예언의 버튼을 작동시켜 버렸다. 그리고 마음 속으로 이렇게 소망해 보았다. “아마도 내게 좋은 일들이 생길 거야!” 여기서 ‘자기 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이란, 아주 간단히 말해서, “긍정적인 기대가 긍정적인 결과를 낳는다”는 의미의 심리 작용이다.     원래 이 개념은 그리스의 신화에서 비롯되었다. 옛날 옛적에 조각가 피그말리온이 자신의 조각상을 진정으로 너무나 사랑하게 되었고, 이에 결국 사랑과 미의 여신인 아프로디테가 그 조각상에 실제로 여자의 생명을 부여했다는 매우 감동적인 이야기다. 비록 이처럼 우리가 원하고 기도하는 모든 것이 다 ‘기적적으로’ 현실이 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희망과 꾸준한 노력은 삶에 보람과 가치를 가져오게 된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으로 보인다.     여하튼 내게 뜻밖의 행운은 이렇게 찾아왔다. 어느 날 저녁 약간 어둑어둑해질 무렵 타임스 스퀘어 근처에 있는 브로드웨이의 화려한 극장가를 걷고 있었다. 그러다 잠깐 서서 무슨 쇼들을 하나 반짝반짝 빛나는 전광판들을 쳐다보았고, 내 옆에 있던 여성과 우연히 한 두 마디 나누게 되었다. 그런데 그녀는 갑자기 내게 표를 구입할 거냐고 물었다. 나는 살짝 얼떨결에, “그렇다!”고 했다. 그러자 그녀는 자신에게 남는 표가 몇 개 있으니, 그 중에서 한 장을 내게 주겠다고 했다. 연유를 들어보니 대학교 교수인 그녀가 자신의 학생들과 함께 보려고 티켓을 여러 장 구입했는데, 갑자기 오지 못하게 된 학생이 있어 표가 남는다는 것이다. 나는 무척이나 고맙게 그 ‘공짜 표’를 받았고, 그날 생각지도 못했던 뮤지컬 ‘아웃사이더(The Outsiders)’를 아주 감동스럽게, 매우 흐뭇한 마음으로 관람했다. 와! 그야말로 참 감사하고 행운이 넘친 날이었다!   또 어느 날은 뉴욕의 한 공원 근처에 있는 편안한 분위기의 카페에서, 한 웨이터가 감기 기운이 들었던 내게 따뜻한 레몬차를 충분히 마실 수 있도록 요청하지도 않은 레몬을 듬뿍(!) 가져다주었다. 게다가 어떤 유명 백화점에서는 향수 코너에서 일하는 직원이 향수도 사지 않은 내게 뉴욕시에서 가 볼만한 쇼핑몰들의 위치를 주소까지 적어서 아주 상세히 알려주었다.     이렇게 나의 뉴욕 여행은 공짜 뮤지컬 티켓을 비롯해서 뉴욕에서 만난 사람들의 아주 친절한 배려와 모습 덕에 더욱 더 알차고 재미있었다. 아마도 길에서 ‘7개의 페니’를 줍고서, 나 스스로에게 했던 ‘자기 충족적 예언’이 아주 조금이라도 효과가 있었던 것 같기도 하다.     지금까지 뉴욕에서 짧다면 짧은 여행 중 일어난 운 좋은 것들을 몇 가지로 요약해 보았다. 나는 평소에 자기 충족적 예언이 ‘항상’ 효과를 발휘한다고 보지도 믿지도 않는다. 하지만 우리가 찾아보면 이 세상에 작지만 즐거운 일들이 의외로 많고, 또 그것들이 때로는 우리를 다소 행복하게 해주기도 한다. 이는 바로 우리 주변에서 종종 소리 없이 다가오는 소소한 행복들이다. 따라서 오늘도 즐겁게, 미소 지으면서, 우리 다 같이 긍정적인 자기 충족적 예언을 발휘해보자!  (전 위스콘신대 교육학과 교수, 교육학 박사)     손원임손원 충족 자기 충족적 뉴욕 여행 위스콘신대 교육학

2025.07.08. 14:21

썸네일

LA서 130만불 돼야 '재정적 편안함' 충족

전국 주요 12개 대도시에서 ‘재정적으로 편안한’ 삶의 자산 수준이 공개됐다.   금융서비스 회사 찰스 슈왑(Charles Schwab)의 ‘연례 최신 자산 조사’에 따르면 LA를 포함 남가주에서 재정적으로 편안하게 살려면 순 자산이 130만 달러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참조〉 ‘재정적으로 편안한’ 순자산의 전국 평균인 77만4000달러와 비교하면 거의 2배다.     조사에 따르면 이 자산 수준은 거주하는 도시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100만 달러 이상인 대도시는 샌프란시스코, 뉴욕, 남가주(LA·샌디에이고 포함), 시애틀, 워싱턴DC 등 대도시 5곳이 포함됐다.     재정적으로 편안한 삶에 필요한 순 자산이 가장 높은 도시는 샌프란시스코로 170만 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 대도시 12곳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가장 높은 수치다. 이어서 뉴욕(140만 달러), LA와 샌디에이고를 포함한 남가주(130만 달러), 시애틀(120만 달러), 워싱턴 D.C.(110만 달러) 순이었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2019년 전국 가구당 순자산 평균은 12만1700달러였다. 이은영 기자재정 충족 대도시 5곳 대도시 12곳 자산 수준

2022.07.10. 20:02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