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 정부가 가주의 상업용 운전면허(CDL) 발급 제도가 연방 기준을 위반하고 있다며 최대 1억6000만 달러의 연방 교통 지원금을 중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션 더피 연방교통부 장관은 “가주가 비시민 CDL 발급을 중단하고 기존 발급분도 전면 재검토하라는 요구를 거부하고 있다”며 “자금 중단은 물론, 필요하면 면허 발급 권한도 회수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앞서 15일에도 트럭 운전자의 영어 능력 평가를 이행하지 않고 있다며 가주에 배정된 상업용 차량 안전관리 프로그램(MCSAP) 보조금 4068만5225달러의 집행을 철회한 바 있다. 잇따른 조치로 연방 정부의 압박이 한층 강화되는 모습이다. 연방의 대응은 최근 잇따른 불법체류자 트럭 운전자 사망사고에서 비롯됐다. 지난 8월 플로리다에서는 워싱턴주와 가주에서 CDL을 발급받은 불체자가 불법 유턴을 하다 교통 사고를 내 3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 때문에 플로리다 법무장관은 두 주 정부가 연방 CDL 발급 기준을 위반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이에 따라 연방은 지난달 26일 비거주(non-domiciled) CDL 자격을 대폭 강화하는 긴급 규정을 시행했다. 새 규정은 체류 신분을 연방 확인 시스템(SAVE)으로 의무 조회하고, 영어 능력 검증을 강화했다. 또 면허 유효기간을 최대 1년으로 제한하며 기존 발급분도 전수조사를 거쳐 연방법 위반이 확인되면 즉시 취소하도록 했다. 그러나 강화 규정이 시행된 지 불과 3주 만에 불법체류자가 대형 사고를 일으켰다. 지난 21일 샌버나디노카운티 온타리오 10번 프리웨이에서 불체자인 자샨프릿 싱(21)이 주행 중인 차량을 들이받아 3명이 숨졌다. 싱은 지난 15일 생일을 맞아 면허 제한이 해제됐으나, 연방 정부는 “이 과정에서 새 규정이 적용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더피 장관은 “가주정부가 즉시 규정을 준수했다면 면허 제한이 풀리지 않았고, 이번 사고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방은 가주의 CDL 검증 체계 전반에 구조적 허점이 있다고 보고 있다. 연방교통부 산하 연방자동차운송안전청(FMCSA) 감사 결과, 가주의 비거주 CDL 표본 중 약 4분의 1이 연방법을 위반한 상태에서 발급된 사실이 확인됐다. 또 취업허가서(EAD) 만료 후에도 수년간 유효 상태로 남아 있던 CDL 4건이 적발됐다. 더피 장관은 “가주는 트럭 운전자가 영어로 의사소통하고 도로 표지판을 이해하도록 요구하지 않는 사실상 유일한 주”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가주 주지사실과 가주 차량국(DMV)은 “운전자가 연방 승인 EAD를 보유한 상태에서 면허를 취득했고, 절차는 연방법에 따라 진행됐다”며 연방의 제재는 과도하다고 반박했다. 주정부는 또 “가주 CDL 운전자의 사고율은 전국 평균보다 낮다”고 설명을 더했다. 한편 규제 강화의 여파는 한인 업계를 비롯한 현장에서도 즉각적으로 체감되고 있다. 불법체류 운전자 문제로 규제가 강화되면서 합법 운전자들에게까지 부담이 전가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운송업체 무빙24의 저스틴 김 대표는 “불체 운전자들 때문에 규제 강도가 높아지면서 오히려 기존 기사들이 더 많은 검문과 확인 절차를 겪고 있다”며 “특히 주 경계를 넘는 장거리 기사들의 부담이 커졌다”고 말했다. 항만 물류 부문도 타격을 받고 있다. 오클랜드항 기반 운송사 AB트럭킹의 빌 아부디 대표는 “트럭 운전자는 모든 물류의 마지막 연결고리”라며 “인력난이 심화되면 코로나19 당시처럼 항만 운영이 멈출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정윤재 기자이슈 분석 운전면허 상업용 트럭 운전자 불법체류자 트럭 가주의 상업용
2025.10.28. 21:33
캘리포니아 온타리오에서 발생한 대형 교통사고의 트럭 운전자가 불법 체류 신분인 것으로 드러났다. 연방 국토안보부(DHS)는 21세 트럭 운전자가 마약에 취한 상태로 운전하다가 추돌 사고를 일으켜 3명이 숨졌다고 24일 발표했다. 사고는 21일 오후 1시께 10번 프리웨이 서쪽 구간에서 발생했다. 현장 블랙박스 영상에는 멈춰 있던 차량 행렬에 대형 화물트럭이 급제동 없이 돌진하며 연쇄 추돌이 일어나는 모습이 담겼다. 캘리포니아 고속도로순찰대(CHP)는 “트럭이 정체된 차량들을 인식하지 못하고 시속 수십 마일로 돌진하면서 다른 트럭 3대와 승용차 여러 대를 덮쳤다”고 밝혔다. 이 사고로 3명이 숨지고 4명이 부상을 입었다. 연방 당국에 따르면 운전자는 인도 출신 불법체류자로, 2022년 남부 국경을 통해 입국한 뒤 바이든 행정부 하에 석방 조치된 상태였다. 숨진 희생자 가운데는 고교 농구 코치 출신 부부가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포모나 고교 측은 SNS에 “학교와 지역사회가 큰 인물을 잃었다”며 애도를 표했다. CHP는 “운전자가 제정신이었다면, 그리고 도로 상황에 집중했다면 막을 수 있었던 사고”라며 음주·약물 운전 근절을 강조했다. 운전자는 현재 구금 중이며, 마약 영향 운전 및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됐다. 보석은 불허됐다. AI 생성 기사불법체류자 운전자 트럭 운전자 연쇄 추돌 대형 화물트럭
2025.10.23. 13:52
캘리포니아 코첼라밸리의 10번 프리웨이에서 11일(목) 오전, 대형 트레일러가 중앙분리대를 들이받고 맞은편 차량들과 충돌하는 참사가 발생해 2명이 사망했다. 사고는 오전 7시 직전, 캐서드럴 시티의 데이트 팜 드라이브 인근에서 발생했다. 현장을 촬영한 영상에는 트레일러가 갑자기 방향을 잃고 중앙분리대를 뚫고 반대편 차선으로 돌진하는 모습이 고스란히 담겼다. 캘리포니아 고속도로순찰대(CHP)는 해당 사고로 2명이 숨졌다고 밝혔다. 정확한 사망자 신원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사고 원인에 대해서는 조사가 진행 중이며, 트럭 운전자가 졸음운전이나 기계적 결함을 겪었는지 여부도 확인되고 있다. 영상이 공개되며 지역 주민들은 프리웨이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AI 생성 기사중앙분리대 프리웨이 프리웨이 안전성 사망자 신원 트럭 운전자
2025.07.12. 7:00
켄터키주 루이빌의 I-65 고속도로 다리 위에서 대형 트럭이 추락 직전까지 매달리는 아찔한 사고가 발생했다. 트럭 운전자는 운전석에 갇힌 채 18분간 911에 전화해 구조를 요청했고, 소방 구조대는 로프 시스템을 이용해 무사히 구조에 성공했다. 운전자는 구조 당시 “지금 다리에서 매달려 있어요. 죽고 싶지 않아요”라며 떨리는 목소리로 911에 전화를 걸었다. 그는 “지금 차 안에서 움직이기도 무서워요. 곧 떨어질 것 같아요. 제발 도와주세요”라고 호소했다. 심지어 생존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서 “혹시 내가 살아남지 못하면, 이 통화 녹음을 제 가족에게 남겨주세요”라고 말해 구조대원의 마음을 더욱 절박하게 만들었다. 루이빌 소방당국의 브라이언 오닐 소방서장은 “고속도로 위에서 구조 작전을 펼친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라며 당시 긴박했던 상황을 전했다. 소방대는 로프 시스템을 이용해 구조대원을 트럭 운전석으로 하강시켰고, 대원은 트럭 운전자에게 하네스를 착용시킨 뒤 30분 만에 구조에 성공했다. 운전자는 다행히 생명을 건졌으며, 현재 경찰은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다. 루이빌에서는 지난해에도 유사한 사고가 발생해, 트럭이 다리에서 매달린 채 구조되는 장면이 전국적인 화제가 된 바 있다. AI 생성 기사운전자 다리 트럭 운전자 구조 요청 트럭 운전석
2025.05.06. 14:38
최근 귀넷 카운티에서 중년 남성이 10대 운전자에게 보복 운전과 폭행까지 가한 사건이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지난달 28일 귀넷 경찰은 폭행 피해를 당했다는 신고를 받고 뷰포드 댐 로드와 올드 샤드번 페리 로드 교차로로 출동했다. 신고자는 18세 남성으로, 그는 운전 중 다른 운전자와 시비가 붙었다고 설명했다. 신고자에 따르면 피치트리 인더스트리얼 불러바드와 R.H. 스미스 불러바드가 만나는 도로에서 파란색 픽업트럭을 모는 운전자와 '손짓을 주고받았고,' 트럭 운전자가 그를 쫓아오며 들이받으려는 시도가 이어졌다. 10대 피해자가 리틀 밀 로드에서, 또 뷰포드 댐 로드로 방향을 틀어봤으나 트럭 운전자 듀안 앤드류 수더트(57)는 피해자를 계속 쫓아왔다. 피해자는 이후 뷰포드 댐 로드 마리나 웨이 인근 진입로에 차를 세웠다. 피해자는 "트럭 운전자가 뒤에 차를 세우더니 내려서 창문으로 내 얼굴을 반복적으로 때렸다"고 경찰에 진술했다. 이어서 수더트가 조수석에 탄 15세 여동생을 보며 "내가 네 여자친구를 성폭행하겠다"고 말했다고 피해자는 진술했다. 그가 차에서 내린 다음에도 수더트가 계속 구타해 결국 의식을 잃었다. 피해자는 의식을 되찾은 후 경찰에 신고할 수 있었다. 귀넷 경찰은 며칠간 파란색 트럭 운전자를 추적해 지난 3일 플라워리 브랜치 자택에서 용의자를 체포했다. 현재 용의자는 귀넷 구치소에 보석 없이 수감돼 있으며, 가중 폭행, 아동 학대, 공격적 운전 등의 혐의를 받고 있다. 윤지아 기자중년남성 보복운전 보복운전 폭행 중년남성 10대 트럭 운전자
2024.03.06. 15:32
시가 335만 달러에 해당하는 대량의 코카인을 과일 상자에 숨겨 미국내 밀반입를 시도하던 트럭 운전자가 체포됐다. 연방 세관 및 국경보호국(CBP)에 따르면 지난 22일 오전 11시22분경 오타이메사 상업용 트럭 터미널에서 트럭 짐칸 안의 과일 박스 안에 숨겨져 있던 158개의 의심스러운 소포를 발견했는데 정밀 조사 결과, 이들 패키지에는 시가 335만5800달러에 해당하는 코카인이 숨겨져 있었다. CBP 요원들은 이 트럭을 몰고 온 40대 운전자를 현장에서 붙잡아 현재 수사를 펼치고 있다.마약밀반입 운전자 마약밀반입 트럭 트럭 운전자 상업용 트럭
2024.02.27. 20:53
마리화나가 담긴 백으로 가득찬 유홀 트럭이 경찰서 정문을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LA 카운티 셰리프국에 따르면 사고는 26일 밤 시에라 마드레에 있는 경찰서와 소방서가 함께 있는 건물 입구의 닫힌 철제 정문으로 유홀 트럭이 정면으로 충돌했다. 사고를 낸 유홀 트럭 운전자는 자신이 총격을 받았다고 경찰 측에 밝혔다. 그는 시에라 마드레 지역으로 들어오기 전 템플 시티를 지날 때 총격이 있었다고 진술했다. 수사 당국은 유홀 운전자의 진술에 따라 총격이 있었다면 어느 지점에서 어떻게 발생했는 지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유홀 운전자는 팔에 총상을 입은 것으로 전해졌으나 부상 정도는 알려지지 않았다. 총격 사건에 대한 수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유홀 트럭 운전자와 동승자는 마약류 소지 혐의로 체포됐다. 트럭 안에 있는 마리화나의 가치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서는 즉각 공개되지 않았다. 한편 유홀 트럭이 경찰서 건물 철제 정문에 부딪히기 전 유홀 트럭은 지나던 BMW 차량의 옆을 긁는 사고를 냈으나 멈추지 않고 계속 운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사고를 당한 BMW 운전자는 유홀 트럭을 계속 추격했고 유홀 트럭이 사고를 내고 멈추자 경찰서에 자신이 당한 사고를 신고했다. 김병일 기자마리화나 경찰 트럭 운전자 철제 정문 bmw 운전자
2023.10.27. 11:32
101번 프리웨이에서 자동차 사고로 차량이 전복되면서 1개월 된 유아가 차량 밖으로 튕겨나와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 가주고속도로순찰대에 따르면 16일 오후 밸리 빌리지 지역 터헝가 애비뉴 출구 인근에서 이 같은 사고가 일어났다. 사고 차량은 2018년형 랜드로버이며 실마에 거주하는 2명의 성인과 유아가 타고 있었다. 사고 조사 관계자들은 사고 차량이 사고 당시 101번 북쪽 방면 5번 레인을 주행하던 중 이들 바로 앞에서 달리던 폐쇄형 밴 트레일러를 견인하는 대형 트럭이 갓길로부터 프리웨이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서로 부딪힌 것으로 파악했다. 두 차량은 한 차선 안에서 부딪혔고 여기서 SUV는 여러 차례 뒹굴면서 콘크리트 방음 벽에 충돌한 뒤 자동차 지붕이 땅과 맞닿는 형태로 멈췄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과정에서 유아가 자동차 밖으로 튕겨나갔고 응급구조대에 의해 시더스 사이나이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던 중 사망했다. 트럭 운전자는 LA에 거주하는 67세의 남성으로 사고 당시 2015년형 켄워스 트럭을 몰았다. SUV에 타고 있던 남성과 여성은 각각 27세와 26세이며 중상을 입은 채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사고 당시 숨진 유아가 유아용 카시트에 앉아 있었는지, 또 부상당한 남녀가 유아의 부모인지 여부는 즉각 알려지지 않았다. 관계당국은 현재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김병일 기자전복 유아 유아용 카시트 자동차 지붕 트럭 운전자
2023.01.17. 15:15
▶ LA발-시카고행 암트랙, 트럭과 충돌 3명 사망 로스앤젤레스를 출발해 시카고로 향하던 암트랙(Amtrak) 열차가 미주리주 농촌마을 철도 건널목에서 트럭과 충돌해 3명이 숨지고 최소 50명이 부상했다. 사고는 지난 27일 오후 1시45분경 미주리 중부 멘든에서 발생했다. 멘든은 미주리 주 중부에 위치한 콜럼비아서 약 80마일 북서쪽으로 떨어져있는 도시다. 시속 90마일로 달리고 있던 열차가 차단기 없는 철도 건널목에서 덤프트럭과 충돌하며 열차가 탈선•전복되고 트럭은 두동강이가 난 것으로 전했다. 트럭이 철로에 멈춰있던 이유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사고 열차는 기관차 2대와 객실 8칸으로 이뤄져 있으며 사고 당시 열차에는 승객 275명과 승무원 12명이 타고 있었다고 암트랙 측은 밝혔다. 사망자는 탑승객 2명과 트럭 운전자 1명으로 확인됐다. 인근 병원으로 이송된 부상자도 50명 이상으로 집계됐다. 구조당국은 사망자와 부상자 이송을 위해 사고 현장에 6대의 의료 지원 헬기를 보냈으며 20여 개 지자체에서 구조요원과 앰뷸런스 등을 지원했다고 전했다. 연방교통안전위원회(NTSB)는 정확한 사고 원인 조사에 착수했다. 사고가 난 암트랙 '사우스웨스트 치프'(Southwest Chief) 4호는 지난 25일 오후 6시경 로스앤젤레스를 떠나 사고 직전 캔자스시티에 정차했다. 총 2265마일을 운행하는 대륙횡단 열차로, 종착역 시카고에 앞서 네이퍼빌 등에 정차할 예정이었다. 열차에는 시카고에서 열리는 'Future Business Leaders of America conference’에 참석하려던 캔자스주 플리정트 리지 고등학교 학생들과 교사, 뉴멕시코에서 위스콘신주 애플턴으로 훈련을 가던 보이스카웃 대원 16명과 지도 교사 등도 타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옐프, 시카고 사무실 문 닫는다 더 많은 직원들이 재택근무를 하고 싶어한다는 이유로 지역정보서비스 '옐프'(Yelp)가 시카고 사무실 문을 닫는다. 옐프 최고경영자(CEO) 제레미 스토플맨은 최근 "내달 29일부로 시카고, 뉴욕, 그리고 워싱턴DC의 사무실 문을 닫는다"며 "애리조나 피닉스 사무실은 축소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그에 따르면 해당 지역 사무실들은 이미 재택근무가 도입된 상태여서 약 2%의 공간만 사용 중인 상태였다.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옐프는 작년 2월부터 재택근무를 허용하기 시작했다. 스토플맨은 "2021년 옐프는 기록적인 10억 달러 수익을 기록하며 재택근무가 가능한 것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옐프가 자체 진행한 설문조사서 약 86%의 직원이 재택근무를 선호한다고 답했고, 약 87%는 재택근무가 업무를 더 효율적으로 만든다고 응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4400여명의 직원이 근무 중인 옐프는 당분간 샌프란시스코, 런던, 토론토 등의 사무실을 열어둘 계획이다. ▶일리노이 박람회 가금류 대회, 온라인으로 진행 조류 독감으로 인해 일리노이 주 박람회의 가금류 대회(Poultry Competition)가 온라인으로 열린다. 일리노이 주 농무부는 최근 "라이브 쇼로 예정되어 있던 가금류 대회가 온라인으로 대체된다"고 발표했다. 농무부는 "조류 독감이 계속되고 있어 박람회 참가자 및 관계자들의 안전을 위해 어쩔 수 없이 내린 조치"라고 설명했다. 박람회 측은 앞서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행사 일부를 온라인으로 진행한 바 있다. 일리노이 주 가금류 대회 참여 접수 마감일은 내달 15일이다. Kevin Rho 기자로컬 단신 브리핑 시카고행 암트랙 시카고행 암트랙 암트랙 사우스웨스트 트럭 운전자
2022.06.28. 14:54
벌써 2주째 이어지고 있는 트럭운전자들의 백신 의무화 차량 시위에 대해 캐나다 국민들이 불편해 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또 나왔다. 설문조사기관인 앵거스 리드 연구소(Angus Reid Institute)가 발표한 최근 조사결과에서 캐나다 국민의 72%가 소위 자유수송차량(FREEDOM CONVOY)이라는 트럭운전자들의 오타와 차량 시위에 대해 당장 집으로 돌아가라(‘Go Home Now’)는 입장을 보였다. 오타와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는 지지는 22%, 그리고 모르겠다가 6%로 나왔다. 각 지지 정달별로 보면, 보수당 지지자는 집으로 가라는 응답이 53%, 지지가 39%로 트럭 운전자 시위에 대해 가장 우호적이었다. 자유당 지지자는 94%가 반대, NDP 지지자는 89%가 반대, 그리고 블록퀘벡당 지지자는 82%가 반대를 했다. 이번 트럭운전자의 차량 시위와 연계해서 현재 방역 지침들에 대해서도 설문을 했는데, 우선 실내 공공장소에서의 마스크 착용 의무화에 대해 44%가 지지 21%가 반대 그리고 35%가 중립을 표시했다. 해외나 미국 국경 통과 때 백신 의무화에 대해서 44%가 찬성, 24%반대 그리고 32%가 중립을 표했다. 이번 시위로 인해 식당, 가게 등 실내에 들어갈 때 백신 여권을 요구하는 것에 대해 지지나 반대에 대해 어떻게 생각이 드느냐에 대해 전국적으로 37%가 지지, 26%가 반대, 그리고 37%가 중립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각 주별로 보면 대서양연해주가 43% 찬성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BC주는 온타리오주와 함께 41%로 2번째로 높았다. 반대로 알버타주가 25%로 가장 낮았다. 이들 시위에 대해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느냐는 설문에 체포하고 형사적으로 처벌해야 한다는 읭견이 53%로 가장 높았다. 이어 벌금을 물려야 한다가 10%, 그리고 강제로 해산은 시키지만 형사책임을 물리지 말라는 대답과 체포되야 하지만 형사책임을 묻지 말라는 대답이 각각 9%로 나왔다. 아무런 조치도 하지 말라는 대답도 18%였다. 각 주별로 볼 때 BC주는 체포와 형사책임이 55%로 높은 편이었으며, 강제해산을 하지만 형사책임을 묻지 말라는 대답이 10%였다. 아무 조치도 하지 말라는 대답은 19%로 나왔다. 현 사태와 관련해 누가 어떻게 기여했는가에 대한 설문에서, 저스틴 트뤼도 연방총리가 악화시켰다는 대답이 66%로 도움이 됐다는 20%에 크게 앞섰다. 오타와 경찰은 25%가 도움이 45%가 악화를 시켰다고 봤다. 온타리오 덕 포드 주수상은 50%가 악화, 25%가 도움을, 알버타주의 제이슨 케니 주수상은 49%가 악화 18%가 도움이 됐다고 나왔다. 이번 조사는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캐나다 성인 1622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표준오차는 +/- 2.5%포인트이다. 표영태 기자운전자 의무화 이번 트럭운전자 백신 의무화 트럭 운전자
2022.02.14. 13:14
지난 2019년에 I-70 고속도로에서 교통사고를 일으켜 4명을 사망에 이르게한 20대 운전자가 무려 110년의 중형을 선고받았다. 로젤 아길레라-메데로스(26)는 지난 13일 제퍼슨 카운티 법원에 나타나 이같은 내용의 선고를 받았다.아길레라-메데로스는 당시 레이크우드에서 목재를 가득 실은 18윌러 트럭을 몰면서 당시 정차해 있던 20대 이상의 차량과 4대의 세미트레일러를 향해 돌진했다. 지난 10월에 열린 배심원 재판에서 배심원단은 자동차 살인, 자동차 폭행, 1급 폭행, 부주의 운전, 부주의운전으로 인한 사망 등 총 27건에 관해 만장일치로 유죄를 인정했고, 고의적 1급 폭행 시도에 관한 15건에 관해서는 무죄가 인정됐다. 아길레라-메데로스는 사고 당시 시속 85마일의 속도로 교통정체로 이미 정차해 있던 차량들 속으로 돌진했으며, 이로 인해 일부 차량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해 일부 운전자는 차량에서 산채로 불타는 끔찍한 장면이 나오기도 했다. 아길레라-메데로스는 트럭의 브레이크가 고장나 통제력을 잃었다고 주장했었다. 이하린 기자운전자 사망 트럭 운전자 일부 운전자 자동차 폭행
2021.12.17. 1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