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사회보장국 등 사칭 피싱 사기 주의보…무작위 이메일·문자 보내

시니어층을 대상으로 사회보장국(SSA)이나 연방 기관 직원을 사칭한 피싱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한인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폭스뉴스는  ‘SSA 사칭 피싱 사기’가 전국에서 광범위하게 벌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사기범은 SSA 행정처리 문제 등을 언급하며 범행 대상에게 겁을 준 뒤 소셜시큐리티번호(SSN) 등 민감한 개인정보를 요구한다는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사기범들은 불특정 다수에게 SSA, 연방거래위원회(FTC), 텍사스·뉴멕시코 등 법원, 법집행기관 등을 사칭해 이메일 또는 문자를 보낸다. 사기범들은 ▶계좌 정지 ▶마약 연루 ▶자금세탁 ▶체포 임박 등 자극적 문구로 공포심을 조장한 뒤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또 해당 문제를 즉시 해결하라며 특정 웹사이트 접속 등을 유도해 SSN 등 개인정보를 빼낸다. 일부는 기프트카드 등 추적이 어려운 방식으로 송금을 요구하기도 한다.     SSA와 FTC는 “정부기관은 이메일이나 문자로 개인 정보를 요구하거나, 문제 해결을 위한 웹사이트 접속을 유도하지 않는다”며 “SSA는 가입자에게 우편이나 공식 계정(www.ssa.gov/myaccount) 알림을 통해 정식으로 연락한다”고 밝혔다. 모든 공문에는 수신자 이름과 고유 케이스 번호가 정확히 기재돼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SSA 등 정부기관 사칭 사기를 예방하는 방법 숙지도 중요하다. 전문가들은 체포나 계좌 동결 등 겁주는 이메일이나 문자는 무조건 의심하고 첨부된 링크를 클릭하지 말라고 조언했다. 대신 보낸 기관에 전화나 이메일로 문의해서 직접 확인하라고 덧붙였다.   당국은 SSA 등 정부기관 사칭 이메일이나 문자는 SSA 감사국(oig.ssa.gov/report)과 FTC(reportfraud.ftc.gov)에 신고를 당부했다.   한편 SSA가 지난 주말 가입자 7100만 명에게 보낸 감세법(One Big Beautiful Bill Act) 관련 세액공제 안내 이메일이 혼동을 줬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SSA 측은 해당 안내 이메일에 “신규 법의 시행으로 연금 수급자 약 90%가 면세 대상”이라면서 연방 소득세를 폐지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하지만 온라인매체 악시오스와 뉴욕타임스 등은 해당 법안에는 65세 이상 시니어 대상 세액공제(1인 최대 6000달러, 부부합산 최대 1만2000달러)를 2028년까지 시행하는 한시적 내용이 담겼다며, 완전 세금 면제는 아니라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정부기관이 정확한 정보전달 대신 트럼프 행정부 정책 홍보에 치중했다는 비판을 제기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사회보장국 주의보 정부기관 사칭 사칭 피싱 피싱 사기

2025.07.08. 22:00

썸네일

특가 혜택 현혹, 월마트 사칭 사기

월마트를 사칭해 소비자들이 행운의 주인공인 것처럼 현혹한 후 돈을 갈취하는 ‘피싱’ 사기가 판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되고있다.   ‘시크릿쇼퍼’ 혹은 ‘미스테리쇼퍼’ 피싱으로 알려진 해당 사기는 대형 소매업체인 월마트를 사칭해 프로모션 메일을 받은 소비자들에게 마치 특별한 전속 구매 혜택을 주는 것처럼 속여 사기에 끌어들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으로 알려진 사기 수법으로는 피해자에게 가짜 체크를 동봉해 이를 개인 은행계좌에 입금 후, 해당 금액만큼의 기프트카드 혹은 머니오더 구매를 지시하는 걸로 전해졌다. 이후 사기꾼에게 머니오더를 넘겨 금액 송금이 완료되면, 가짜 체크는 은행에서 처리되지 않기 때문에 피해액과 은행측의 전산처리 수수료를 오롯이 피해자가 감당해야한다.   또한 사기꾼들은 일반 우편보다 비싼 빠른 우편을 이용해 피해자들로 하여금 업체의 실제 특별 프로모션인 것처럼 믿게 만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ABC10과의 인터뷰에서 월마트 대변인은 “사기꾼들은 월마트의 이름과 평판을 악용해 이러한 사기 행각을 벌이고 있다”며 “월마트는 절대 미스테리쇼퍼나 시크릿쇼퍼 같은 내용으로 호객행위를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월마트는 피해자들이 개인 은행계좌 정보를 넘겨 결국 신분도용 범죄까지 이르는 경우가 더러 있다며 고객들의 각별한 주의를 요구했다. 최근 급증한 피싱 사례로 업체는 피싱 사기 구분 및 예방법을 웹사이트를 통해 알리고 있다.   한편 온라인 보안업체 Zscaler가 조사한 2022년 피싱 관련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해 피싱 사기는 2020년 대비 29% 증가했고 같은 기간 소매업 및 도매업 분야에서의 사기는 무려 436% 증가했다. 우훈식 기자월마트 특가 월마트 사칭 월마트 대변인 피싱 사기

2022.10.20. 22:4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