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적극적인 반이민 정책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미 전문직 취업·유학생·교환방문 등 한국인 비이민비자 발급이 급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이나 유학 계획을 변경한 경우가 늘고, 비자 발급이 까다로워지면서 거절된 건수도 늘어난 것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25일 국무부의 월별 비이민비자 발급 건수 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 한국인 학생비자(F-1) 발급건수는 2017건으로 지난해 5월(2630건) 대비 600건 넘게 줄었다. 교환방문 비자(J-1) 발급 건수 역시 같은 기간 1041명에서 778명으로 감소했다. 소액 투자자와 직원들을 위한 E-2 비자 역시 지난해 5월에는 579건 발급됐는데, 올해 5월에는 318건으로 줄었다. 주재원(L-1) 비자는 같은 기간 220건에서 209건으로 줄었다. 관광/방문(B1/B2) 비자 발급건수는 1817건에서 958건으로 급감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계속해서 반이민 정책을 새롭게 내놓고 있고, 비자 발급 조건도 강화하다 보니 해외 유학이나 취업을 계획했던 이들이 타 국가로 눈을 돌린 경우가 늘어나면서 비자 발급 건수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최근에는 트럼프 행정부가 전문직 취업비자(H-1B) 발급 수수료를 1000달러 수준에서 10만 달러로 올린다고 발표하면서, H-1B 발급도 급감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5월 기준 H-1B 발급건수는 173건으로 지난해 5월(250건) 대비 이미 감소했다. 이처럼 비이민비자를 발급받아 미국으로 오는 한국인 수가 줄어들다 보니, 미국에서 사업하는 한인 기업들 역시 점점 사람을 구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송주연 이민법 전문 변호사는 “특히 IT 대기업이 아닌 곳에서는 10만 달러 규모의 H-1B 수수료 지원을 할 수 없는 만큼 학교, 중견기업, 종교시설 등 인재가 필요한 곳들이 매우 소외되는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밝혔다. 미 동부지역에서 사업을 확장하려고 했던 한국계 기업이나 한인 중소·중견기업들 역시 난감하기는 마찬가지다. 화장품 관련 사업확장을 계획 중인 한 한국계 기업은 “관세 이슈 때문에 이미 장애물이 있었는데, 인재 채용까지 어려워지면서 미국 진출을 원점에서 다시 고려해봐야 할 것 같다”고 전했다. 이 회사는 한국 제품과 문화를 잘 아는 사람이 필요해 지금까지 H-1B 비자 소지자, 혹은 J-1 비자 소지자를 주로 고용해 왔다. 미국 진출을 검토했던 또다른 기업은 “미국에는 파트너사를 두고 협업하는 형태로만 하고, 한국 본사에서 사업을 원격 관리하는 식으로 바꾸는 것을 고려 중”이라고 전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비이민비자 한국인 한국인 비이민비자 전문직 취업비자 한국인 학생비자
2025.09.25. 21:20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강력한 반이민 정책으로 인해 한국인 비이민비자 발급 건수도 큰 폭으로 줄고 있다. 취업·유학 계획을 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난 데다, 심사 강화로 인한 거절 증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한인 사회와 기업들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국무부의 최근 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 한국인 학생비자(F-1) 발급 건수는 2017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2630건)보다 600건 이상 줄었다. 교환방문비자(J-1)는 1041건에서 778건으로, 소액투자자·직원 비자인 E-2도 579건에서 318건으로 감소했다. 주재원 비자(L-1) 역시 220건에서 209건으로 줄었고, 관광·방문(B1/B2) 비자는 1817건에서 958건으로 절반 가까이 급감했다. 특히 전문직 취업비자(H-1B)는 트럼프 행정부가 발급 수수료를 기존 1000달러 수준에서 10만 달러로 인상하겠다고 발표하면서 큰 타격이 예상된다. 발표 전인 지난 5월 기준 H-1B 발급 건수는 173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250건) 대비 감소세가 이미 포착됐다. 비자 발급 축소 여파는 한인 기업들에 미치고 있다. 특히 LA 다운타운 의류·봉제업체 등 중소 기업들은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다. 한 의류업체 관계자는 “J-1 비자가 막히면서 의류·패턴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의 인력을 구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민 단속에다 인력난까지 겹쳐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업체 관계자도 “한국의 우수 인력을 인턴으로 채용해 인력난을 보완했는데 이제는 불가능하게 됐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중견기업은 물론 학교, 종교단체 등 인재가 절실한 기관에 더 큰 타격을 준다고 분석했다. 한 이민법 변호사는 “유학생들이 미국에 남을 수 있는 길이 매우 좁아진데다 해외에서 인력을 충원하기도 어렵게 됐다”며 “특히 H-1B비자 수수료를 10만 달러로 올리면 대기업 외에는 이를 감당할 수 있는 기업은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미국 내 사업 확장을 추진하던 한국 기업들 역시 계획을 재검토하고 있다. 화장품 관련 업체 한 곳은 “관세 장벽에 이어 인재 채용까지 막히면서 미국 진출을 원점에서 다시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기업은 “한국 본사에서 원격 관리하는 방식으로 사업 모델을 바꿔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강한길·김은별 기자비자발급 한국인 한국인 비이민비자 한국인 학생비자 전문직 취업비자
2025.09.25. 2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