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LA총영사 관저, LA경찰국(LAPD) 짐 맥도넬 국장 취임 축하 리셉션이 열렸다. 한인 단체장 중심으로 마련된 이 자리엔 200여 명이 참석했다. 시종일관 웃음꽃이 핀, 화기애애한 분위기였다. 김영완 LA총영사, 강일한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미주 부의장, 이창엽 올림픽경찰서후원회장, 정상봉 LA 한인상공회의소 회장, 알렉스 차 LA한인축제재단 회장 등이 무대에 올라 축사를 했다. 칭찬과 격려 일색이었다. 하지만, 있어야 할 뭔가가 없었다. 한인타운 치안 문제와 한인 사회의 사각지대를 해결하기 위해 LAPD가 더 노력해 달라는 당부와 제안 말이다. 요즘 LAPD에 대한 여론은 부정적으로 기울고 있다. 참석한 한인들은 그런 분위기를 모르는지 맥도넬 국장 앞에서 칭송 일색이었다. 물론 축하연에서 불편한 목소리를 내는 게 쉽지 않았겠으나, 한인 사회의 대표급 인사라면 할 말은 해야 하는 것 아닌가. LAPD는 현재 막무가내식 공권력 행사로 도마 위에 올라 있다. 최근 보일 하이츠에서 20대 청년 제러미 플로레스가 차 안에서 장난감 총을 갖고 있다가 LAPD 경관들에게 총격으로 목숨을 잃었다. 그는 정신질환자였다. 이 사건은 지난해 5월 한인 사회를 충격에 빠뜨렸던 양용 사건과 너무도 흡사하다. 제2의 양용 사건이 또 일어나지 말라는 법이 있나. 양용에 총을 쏜 LAPD 올림픽지서의 안드레스 로페즈 경관은 아무런 징계도 받지 않고 실탄을 장전한 총을 차고 한인타운을 활보하고 있다. 축하연에 모인 한인들에게 이건 아무렇지도 않은 에피소드인가. 심지어 LAPD는 언론을 향해서도 총구를 겨눴다. 지난 6월 LA 한인타운에서 벌어진 불법 체류자 단속 항의 시위를 취재하던 본지 김상진 기자는 LAPD 경관에게 고무탄을 맞고 길바닥에 쓰러졌다. 당시 수많은 언론인이 취재 현장에서 LAPD의 고무탄에 맞았다. LAPD는 현재 언론인들로부터 피소된 상태다. 공권력을 존중하는 건 시민의 상식이자 의무다. 단, 상호존중이라는 대전제하에 성립하는 말이다. 지금까지 한인이 소수계로서 공권력의 존중을 받아 왔나. 이에 ‘그렇다’고 누가 자신 있게 답할 수 있겠나. LAPD는 물론이고, 한인 사회의 대표를 자처하는 단체장들도 이 문제에 대해 깊이 자성해야 한다. 취재기자로서 맥도넬 국장에게 공권력 논란에 대해 직설적으로 질문했다. 그는 “LAPD는 다른 어느 미국 경찰 조직보다 철저히 조사·검증하고 있다”며 “물리력이 사용되는 경우는 2% 미만, 총격이나 병원 치료가 필요한 중대한 사례는 1% 미만”이라고 답했다. 원론적인 변명이지만, 질문에 슬쩍 감사의 뜻을 표했다. 불편한 이슈라 해도 언제든지 논의할 준비는 돼 있다고 내비친 셈이다. 더 본격적으로 달려들어야 할 한인 사회 지도급 인사들은 칭송의 말 잔치만 이어갔다. 한인 사회에게 맥도넬 국장이 LA판 사또라도 되나. 듣기 좋은 말만 해주다간 한인 사회는 계속 사각지대에 놓일지 모른다. 나중에 자업자득이라는 푸념이라도 안 하려면 지금부터라도 상호존중과 건강한 긴장감을 유지해야 한다. 김경준 기자취재 수첩 국장 la판 한인타운 치안 한인 사회 한인상공회의소 회장
2025.08.26. 22:01
경제단체협의회(이하 경단협) 모임이 지난 28일 LA 한인타운 용수산에서 열렸다. 이날 정동완(앞줄 왼쪽에서 5번째) LA 한인상공회의소 회장, 진철희(앞줄 오른쪽에서 다섯 번째) 경단협위원장, 윤만(앞줄 왼쪽에서 두 번째) OC 한인상공회의소 회장, 노상일(앞줄 왼쪽에서 세 번째) 2025 세계한인비지니스대회(WKBC) 조직위원장, 정병모(앞줄 왼쪽에서 네 번째) 옥타LA 회장 등 협의회 소속 12개 단체 임원진과 김영완(왼쪽에서 여섯 번째) LA총영사 등 33명이 모여 협회별 애로 사항 및 의견을 나눴다. 또 세계한인비지니스대회 참가 및 협력방안에 대한 논의와 경단협의 발전방향에 대해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행사를 마치고 참가자들이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 [LA 한인상공회의소 제공]경제단체협의회 한인 한인 경제단체협의회 한인상공회의소 회장 la 한인상공회의소
2025.01.29. 19:22
아직 개표 초반이지만 한인 투표 참여율이 소수계 중 2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티컬데이터에 따르면 이번 캘리포니아 예비선거에서 LA카운티 전체 유권자 565만2100명 중 9일 현재 111만4755명(19.72%)가 투표한 것으로 집계됐다. 개표 50% 기준이다. 한인 유권자는 총 9만3336명 중 2만702명이 투표를 마쳐 투표율 22.18%를 기록했다. 전체 평균보다 2.46%p 높다. 그동안 조사된 조기 및 우편투표 참여율에서 한인 투표율이 5%p 이상 높은 것으로 계속 조사됐으나 투표소 투표율이 상대적으로 저조해 퍼센티지가 감소했다. 소수계 중 일본계가 30.68%로 투표율이 가장 높았다. 5만3072명 중 1만6285명이 투표했다. 이어 한인이 2위에 올랐고, 중국계(18.63%), 동남 아시아계(17.13%), 태평양계(11.58%)가 뒤를 이었다. 그동안 한인 투표율은 전체 투표율보다 매번 낮게 나왔다. 2018년 예비선거에는 LA카운티 전체 투표율이 23.15%였고, 한인은 18.10%였다. 당시 1만6894명이 참여했다. 대통령 선거 해였던 2020년 예비선거에는 한인 투표율이 29.63%(2만7657명)로 껑충 뛰었다. 전체 투표율 34.83%보다는 5%p 이상 낮았다. 유니스 송 한미연합회(KAC) 대표는 “아직 개표 초반이지만 한인 유권자 참여가 전체 평균보다 높다는 것은 반가운 일”이라며 “이대로 상승세를 유지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스티브 강 한미민주당협회장은 “6월 예비선거는 전체적으로 저조한 투표율을 보였다”며 “하지만 한인을 포함한 아시안 투표율이 타인종 커뮤니티보다 높게 나와 박빙 승부가 예상되는 지역에 출마한 한인 후보들에게는 큰 힘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계 관계자들은 오는 11월 선거에서 투표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원용석 기자,뜨거운 한인 투표 전체 평균 넘어섰다사설 카루소 카루소 후보 한인상공회의소 회장 la시장 예비선거
2022.06.09. 2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