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 최대 아시안 수퍼마켓 체인 H마트가 K푸드 인기에 힘입어 전국적인 매장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가주를 비롯해 플로리다, 워싱턴, 뉴저지 등 주요 지역에서 신규 매장 오픈 및 대대적인 리노베이션 계획을 발표하며, 아시아 식품 시장 선두주자로서의 입지를 다시 한번 굳히고 있다. H마트는 우선 오렌지카운티 웨스트민스터 지역 비치 불러바드에 약 7만 스퀘어피트 규모의 신규 매장을 올가을에 오픈할 예정이다. 이곳에는 홍콩반점0410, 무봉리순대국, 죠스떡볶이, 공차, 뚜레쥬르 등 11개 인기 브랜드가 입점하는 대형 푸드홀이 함께 조성된다. 플로리다에서는 현재 개점을 준비 중인 올랜도 매장에 이어, 탬파 웨스트 힐스버러 애비뉴에 두 번째 플로리다 매장 건설 계획을 시 당국에 제출했다. 워싱턴주 시애틀에서도 발 빠르게 매장 확장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밸러드 지역에 주류 판매 허가를 신청하며 새 매장 오픈을 공식화했다. 이곳은 이전에 뉴 시즌스마켓이 있던 자리로, 한인 및 아시아계 커뮤니티에 큰 편의를 제공할 전망이다. 뉴저지 체리힐 매장은 24년 만에 전면 리노베이션에 들어간다. 기존 매장을 새로 단장하고, 폐업한 식당 및 소매 공간을 철거해 푸드코트, 베이커리, 소매 매장으로 재구성할 예정이다. 체리힐 지역은 아시안 인구 증가와 함께 아시아 식품 수요도 급격히 늘고 있어, 이번 리노베이션이 지역 주민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H마트는 올해 초부터 신규 매장 오픈을 가속화하며 치열한 시장 경쟁을 주도했다. 1월에는 일리노이주 어바나에 3만5000스퀘어피트 규모 매장을 오픈했다. 시카고 외 지역 첫 매장이자 일리노이주 여섯 번째 매장으로, 죠스 떡볶이, 초당순두부, 홍콩반점0410, 파리바게뜨 등 네 개 브랜드가 입점한 푸드홀이 함께 운영되고 있다. 2월에는 텍사스 오스틴에서 ‘마켓이터리’라는 새로운 한식 푸드홀 콘셉트를 선보였다. 이어 캘리포니아 치노에도 3만 스퀘어피트 규모의 신규 매장을 개점했고, 최근에는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 첫 매장을 열었다. 약 5만5000 스퀘어피트 규모로, 홍콩반점0410, 죠스 떡볶이, BBQ치킨 등 7개 인기 아시아 푸드 브랜드가 입점해 다양한 메뉴를 선보이고 있다. 매장 확장과 더불어 H마트는 지속 가능한 경영에도 힘을 쏟고 있다. 캘리포니아 5개 매장의 냉장 진열장에 절연 유리문과 밝은 LED 조명을 설치해 연간 약 30만 달러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7만 달러의 유틸리티 인센티브를 확보했으며, 식품 신선도 향상과 매장 쾌적성 개선, 판매 증대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가 예상된다. 1982년 뉴욕 퀸즈 우드사이드에서 첫 매장을 연 H마트는 현재 18개 주에 걸쳐 1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 중이다. 약 6000명의 직원과 5개의 지역 물류센터 및 가공시설을 보유하며 미주 최대 아시안 수퍼마켓 체인으로 자리매김했다. 이은영 기자박차 확대 매장 확대 플로리다 매장 매장 오픈
2025.04.28. 20:06
뉴욕시가 맨해튼에 이어 4개 보로에서도 차량 제한속도를 낮춘다. 시 교통국(DOT)은 19일 “‘지역 저속 구간(regional slow zones)’을 4개 보로로 확대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퀸즈 브로드채널(Broad Channel) 지역과 ▶브루클린 덤보 ▶스태튼아일랜드 세인트 조지(St. George) ▶브롱스 시티 아일랜드 지역에서 차량 제한속도가 현행 시속 25마일에서 20마일로 낮아질 예정이다. 지난해 맨해튼 캐널스트리트 남쪽의 로어맨해튼에서 첫 번째 ‘지역 저속 구간’이 설정됐으며, DOT가 올해 이 저속 구간을 확대하는 것이다. 이다니스 로드리게스 DOT 국장은 “차량 제한속도를 시속 몇 마일만 낮춰도 교통 사고로 인해 사망하는 사람 수를 줄일 수 있다”며 “분주한 보행자 커뮤니티로 지역 저속 구간을 확대함으로써 더 많은 주민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DOT가 이번에 지역 저속 구간으로 지정한 지역들은 최근 5년 동안 심각한 교통 사고가 빈번히 발생한 지역들이며, DOT는 올해 말까지 총 250개 장소로 지역 저속 구간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 조치는 ‘새미법(Sammy’s Law)’이 제정됨에 따른 것으로, 지난해 5월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뉴욕시정부가 차량 운행 속도를 현행 시속 25마일에서 20마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한 이 법에 서명했다. ‘새미법’은 2013년 브루클린 파크슬로프에서 차량에 치여 사망한 12세 어린이 ‘새미 코헨 엑스타인’의 이름을 딴 법이다. 윤지혜 기자확대 뉴욕 뉴욕시정부가 차량 감속 구역 지역 저속
2025.03.20. 21:15
서비스 확대 도서관 서비스 보육 서비스
2025.03.04. 20:44
350개가 넘는 가주 금융기관이 LA카운티 산불 피해를 본 주민들의 모기지 부담을 덜기 위한 구제 혜택을 제공한다. 가주 주지사실은 지난 23일 가주에서 영업하는 주 승인 은행, 크레딧유니온, 모기지 렌더 등 금융기관이 피해 지역 주민들에 모기지 상환 유예 등 구제 프로그램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금융기관 수는 지난 24일 기준으로 총 352개다. 지난 18일 JP모건, 뱅크오브아메리카, 씨티뱅크, US뱅크 등 주류 은행들이 화재 피해 주민들을 돕기 위해 구제안을 발표한 후 주지사실이 신속히 확대 리스트를 발표한 것이다. 개빈 뉴섬 주지사는 이날 성명을 통해 “대규모 화재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을 돕기 위해 주정부는 모든 이해관계자와 협력해 지원과 회복을 신속히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구제 프로그램은 90일간의 모기지 납부 유예와 연체료 면제, 연체 기록이 신용평가 기관에 보고되지 않는 조치, 최소 60일 동안의 압류와 퇴거 보호, 그리고 유예 기간 종료 후 일시불 납부가 요구되지 않는 등의 혜택이 포함된다. 남가주 지역 주요 금융기관으로는 뱅크오브캘리포니아와 페니맥 론서비스 등을 비롯해 한인은행인 한미은행, PCB뱅크, CBB뱅크, US메트로뱅크 등도 피해 주민들을 위한 지원에 동참한다.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뱅크오브호프와 오픈뱅크 또한 피해 주민들을 위해 이 같은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뱅크오브호프 측은 피해 고객이 있다면 상담을 통해 적극 도울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오픈뱅크 또한 재난 피해를 본 고객들에 이 같은 모기지 유예 프로그램을 제공 중인 상태라고 전했다. 이번 혜택은 LA카운티 내 특정 우편번호(집코드)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제공된다. 혜택 대상은 집코드가 90019, 90041, 90049, 90066, 90265, 90272, 90290, 90402, 91001, 91104, 91106, 91107, 93536인 지역들이다. 또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각 금융기관에 직접 연락해야 한다. 한편, 가주 정부는 최소 28명이 사망하고 3만7000에이커 이상, 1만8000채 이상의 주택을 파괴하거나 손상시킨 팰리세이즈와 이튼 화재 수습 및 복구를 돕기 위해 다양한 지원을 이어나가고 있다. 뉴섬 주지사는 이번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세금 신고 기한을 오는 10월 15일까지 연장했으며, 일부 주택 소유자는 2026년 4월까지 재산세 납부를 연기할 수 있는 혜택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최대 4년간 재산세 유예를 신청할 수도 있다. 주지사실은 피해 지역 주민들이 투기꾼들로부터 저평가된 토지 매입 제안을 받는 일을 방지하기 위한 행정 명령도 발효했다. 위반 사례는 가주 법무부에 신고할 수 있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확대 구제 구제 프로그램 구제 혜택 유예 프로그램
2025.01.26. 19:00
조 바이든 행정부의 초과근무수당 적용 대상 확대 규정의 두 번째 단계가 시행을 6주 앞두고 무효화됐다. 지난 15일 텍사스주 연방법원 숀 조던 판사는 “초과근무수당 수령 자격 결정 기준으로 직무의 성격보다 직원 임금 수준을 우선시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 초과근무수당 지급 대상을 확대하는 것이 노동부의 권한 초과라는 비즈니스 단체의 주장을 받아들인 것이다. 앞서 지난 4월 노동부는 초과근무수당을 지급해야 하는 대상자 연봉 상한을 7월 1일부터 4만3888달러로 올리는 최종 규칙을 발표됐고, 해당 기준은 내년 1월부터 5만8656달러로 올라갈 예정이었다. 또 노동부는 2027년 7월부터 임금 통계 등을 토대로 이 기준을 3년마다 업데이트할 계획이었다. 조던 판사는 해당 규정 전체를 폐기할 것을 명령했고, 이에 따라 초과근무 수당 지급 연봉 상한선은 규정 적용 이전 액수와 동일한 3만5586달러로 다시 내려간다. 초과근무수당 적용 대상 확대 규정의 두 번째 단계가 시행되면 882개 기관의 직원 약 5만9000명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는데, 연방법원의 결정에 따라 이는 물 건너가게 됐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초과근무수당 확대 초과근무수당 지급 초과근무수당 수령 초과근무수당 적용
2024.11.25. 19:32
최근 리스테리아균 오염 우려로 햄 등 20만 파운드를 회수조치〈7월 30일자 중앙경제 3면〉를 결정했던 보어스헤드가 700만 파운드로 리콜 규모를 확대했다. 지난달 30일 연방 농무부(USDA)에 따르면, 보어스헤드가 리스테리아균 오염 가능성으로 인해 델리 및 가금류 품목 700만 파운드를 추가 리콜한다고 밝혔다. 이번 리콜은 지난달 25일 발표했던 20만7528파운드 제품에 대한 확대 조치다. 리콜 대상 품목에는 버지니아 햄, 올리브 로프, 올 내추럴 트래디셔널 햄, 스모크마스터 비치우드 스모크드 블랙 포레스트 햄, 스킨리스 비프 프랭크, 로즈마리 선드라이 토마토 햄 등이 포함됐다. 제조번호는 'EST. 12612', 'P-12612'이다. 올해 5월 10일부터 7월 29일 사이에 생산된 제품으로, 유통기한은 7월 29일부터 10월 17일까지다. 이번 리콜과 관련해 13개 주에서 리스테리아균 식중독으로 인해 2명이 사망하고 34명이 입원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리스테리아균에 감염되면 근육통, 구토, 설사, 두통, 경련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임산부의 경우 유산, 조산, 신생아 감염 등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USDA는 리스테리아균은 냉장·냉동 상태에도 생존할 수 있으므로, 리콜 제품을 보관했던 냉장고는 반드시 소독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리콜 대상 제품을 발견하면 섭취하지 말고 구매처에 반품하라고 덧붙였다. 더 자세한 내용은 업체 전화(800-352-6277)해 문의하면 된다.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리콜 확대 리콜 확대리스테리아균 리콜 제품 리콜 규모
2024.07.31. 15:32
1990년대 말 닷컴 열풍이 한창일 때 한인 벤처 스타도 여러 명 탄생했다. 유리시스템스라는 통신장비업체를 10억 달러에 매각한 김종훈도 그중 한 명이었다. 특히 그는 중학생 때 이민 온 1.5세라는 것이 더 친밀감을 갖게 했다. 한인 차세대의 롤모델이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김종훈이 다시 뉴스에 등장한 것은 2013년이었다.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면서 그를 미래창조과학부 초대 장관 후보로 임명한 것이다. 당시 한인 사회는 놀라움과 기대감으로 환호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는 청문회를 앞두고 자진 사퇴를 선택했다. 온갖 억지스러운 시비에 마음의 상처도 많이 받았다. 결정적이었던 것이 그의 국적 문제였다. 미국 시민권자라는 것에 대한 한국 사회의 정서적 거부감이었다. 그는 시민권 포기까지 결심하고 한국 국적을 회복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한국에서 복수국적 허용 연령을 낮추는 방안이 추진 중이다. 현행 65세 이상에게만 허용하는 것을 55세 이상으로 한다는 것이다. 사실 ‘연령 하향’ 추진이 처음은 아니다. 2011년 복수국적 시행 이후 여러 차례 시도됐지만 모두 무산됐다. 그 원인 역시 국민 정서 탓이 크다. “국방, 납세 등 의무는 다하지 않은 사람들이 혜택만 보려 한다”는 생각에서 오는 반감이다. 이런 정서가 형성되어 있다 보니 국회에서 법안이 발의 돼도 통과가 어렵다. 의원들은 찬성표를 던져봐야 정작 선거에서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 듯하다. 그러다 보니 관련 법안들은 시간만 지체하다 자동 폐기되는 운명을 맞았다. 그렇다면 정말 어떤 혜택만을 위해 복수국적 허용 확대를 요구하는 것일까? ‘복수국적 연령 하향’은 선천적 복수국적자 문제 해결과 함께 한인 사회의 주요 요구 사항이기는 하다. 그러다 보니 한국에서는 이를 해외동포들에게 베푸는 혜택이라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하지만 이는 일방적 혜택이 아니라 한국과 재외동포가 서로 ‘윈윈’ 할 수 있는 방안이다. 정서적 거부감의 밑바닥에 있는 ‘얌체족’ 이슈를 보자. 물론 건강보험 이용 등의 목적으로 한국 국적을 회복하려는 사람도 있겠지만 소수일 것이다. 특히 65세 이상 시니어는 미국에서 메디케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굳이 의료만을 목적으로 ‘한국행’을 택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시니어들에 제공되는 다른 복지 혜택도 미국이 훨씬 많다. 이는 복수 국적 허용 연령을 낮춰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노동시장의 경쟁 심화 우려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경제 활동 가능 인구가 유입되면 일자리 경쟁이 벌어질 것이라는 예상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도 기우다. 한국에서의 취업이 목적이라면 굳이 복수국적이 필요 없기 때문이다. 세금 문제 등 복잡한 문제가 생길 수 있음에도 복수국적을 원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한국 장기 체류의 편리함이다. 물론 해외동포비자(F-4)를 받으면 시민권자도 90일 이상 체류가 가능하지만 한국 국적자가 되는 것만큼 편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재외동포청은 복수국적 확대 명분으로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감소 문제 해결과 우수 인재 유치’를 내세웠다. 그런데 여기에 추가할 것이 있다. 바로 구매력 있는 소비자의 유치다. 장기 체류를 위해서는 주거지가 있어야 하고 자동차나 가전제품도 구매해야 한다. 생활비도 필요하다. 대부분은 이에 필요한 비용을 미국에서 가져다 쓰기 마련이다. 복수국적자 2000명이 연간 5만 달러씩만 써도 총액은 1억 달러나 된다. 한국 정부는 복수국적 확대에 대한 찬반을 묻는 여론조사에 착수했다고 한다. 조사 대상은 20세 이상의 성인 2000명가량이다. 그런데 이 일이 여론조사 결과로 추진 여부를 결정할 사안인지 모르겠다. 만약 여론조사 결과가 부정적으로 나온다면 “없던 일”로 하겠다는 것인가. ‘김종훈 사태’가 벌어진 것이 불과 10년 전이다. 그동안 한국의 정서가 얼마나 달라졌을지 모르겠다. 김동필 / 논설실장뉴스 포커스 복수국적 확대 선천적 복수국적자 복수국적 허용 복수국적 연령
2024.06.27. 20:17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무임승차 방지를 위해 2022년 5월부터 뉴욕시 버스 뒷문 승차를 막은 가운데, ‘옴니(OMNY)’ 시스템 확충 덕분에 오는 9월부터 뒷문 승차가 가능해진다. 무임승차가 빈번한 등하교 시간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옴니 리더기를 뒷문에도 설치하자는 제안이 나온 덕이다. 재노 리버 MTA 회장은 20일 회의를 통해 “옴니 리더기를 버스 뒷문에 설치하면 문제는 쉬워진다”며 “특히 학생 메트로카드가 그렇다”고 했다. 이에 따라 MTA는 협업사인 큐빅(Cubic)이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기 전인 오는 9월 전 학생 메트로카드를 옴니로 일괄 이괄해 등하교 시간에 집중적으로 일어나는 무임승차 현상을 해결하기로 했다. 이날 MTA에 따르면 이 같은 아이디어에서 시작된 옴니 확장안은 ▶2026년 초까지의 LIRR·메트로노스의 현장 매표소 및 트레인타임(TrainTime) 앱과의 상호작용 활성화 ▶올해 말까지 기존 150만명의 메트로카드 보유자, 옴니카드로의 전환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사용 확대 사용 확대 무임승차 현상 무임승차 방지
2024.05.21. 20:57
뉴욕시의회가 반값 대중교통 서비스 대상 확대를 추진하고 나섰다. 7일 열린 예산 청문회에서 뉴욕시의회는 지하철·버스 등의 운임을 50% 할인해주는 ‘페어 페어스 뉴욕시 메트로카드(Fair Fares NYC MetroCard)’ 발급 문턱 완화를 주장했다. 시의회는 “페어페어스 발급 기준을 기존 연방빈곤선(FPL) 120%에서 200%로 확대해야 한다”며 2024~2025회계연도 예산안에 관련 자금 5420만 달러 증액을 제안했다. FPL 200% 수준을 버는 준빈곤층도 120% 이하인 이들과 마찬가지로 대중교통 요금 지불에 부담을 느낀다는 설명이다. 앞서 지난해 12월 뉴욕시정부와 시의회는 페어페어스 발급기준을 FPL 100%에서 120%로 확대했으며, 이에 따라 2024년 기준 연간 1만8072달러 이하를 버는 1인 가구와 3만7440달러 이하를 버는 4인 가구 등은 페어페어스 혜택을 누리게 됐다. 만약 수혜 기준이 FPL 200% 이하로 확대된다면, 이 기준이 1인 가구 연소득 3만120달러 이하, 4인 가구 연소득 6만2400달러 이하로 바뀌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날 시의회는 “올 1분기 비전제로 정책 시행 이후 교통사고 사망자가 최고치를 기록했다”며 거리 안전 인프라에 더 많은 예산을 투입할 것을 촉구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뉴욕시의회 확대 대상 확대 가구 연소득 발급 기준
2024.05.08. 21:55
“한인사회 발전에 모두가 힘을 보탤 때 입니다. K-기빙(giving)으로 함께해주세요.” 뉴욕과 뉴저지에 기반한 한인 단체 ‘한인커뮤니티재단(Korean American Community Foundation 이하 KACF)’이 올해 총 760만 달러를 모금해 화제가 되고 있다. 24일 본지를 방문한 윤경복 KACF 회장은 매킨지스캇재단으로부터 500만 달러, 한인사회로부터 260만 달러를 약속받아 총 760만 달러의 기금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한인사회 보기드문 초대형 모금이다. 매킨지 스캇은 아마존 창업자인 제프 베이조스의 전 부인이자 총 377억 달러를 보유한 전세계 여성 3위 부호. 최근 그는 큰 액수를 사회 단체들에 기부해 화제를 모은 바 있다. KACF는 동시에 지난 17일 뉴욕에서 열린 연례 갈라 모임에서 총 260만 달러를 모금했다. 2002년에 설립돼 올해 창립 22주년을 맞이한 KACF는 그 동안 무려 400여 개 프로젝트와 단체들에 총 모금액 1400만 달러를 지원해왔다. 설립 첫해 6만 달러 모금으로 시작했다. 모금된 돈은 특정 프로젝트 또는 단체 운영기금으로 지원됐다. 이를 위해 KACF는 매년 전국에서 자금 지원신청서를 받고 있다. 웰슬리대를 거쳐 존스홉킨스에서 개발경제학 석사학위를 받은 윤 회장은 월드뱅크 TV 프로듀서와 뉴욕 폭스채널5에서 최초의 한인 방송기자로 이름을 알린 바 있다. 윤 회장은 “1세들이 은퇴한 뒤 2세들도 이제 중년에 접어들면서 한인사회를 지키고 풍성하게 해야한다는 공감이 KACF를 만드는 바탕이 됐다”며 “세대간 다리가 되고 재정적으로도 한인사회를 더 풍요롭게 가꿔가도록 돕고 거기에 필요한 소통의 장을 만들어 내기위해 출범했다”고 전했다. 그는 “특히 2세들 중에도 한인사회를 친정으로 생각하고 돕고 싶은 열정은 있지만 어떻게 뭘 해야할지 모르는 경우도 많아 소위 ‘K-기빙’의 길라잡이 역할을 하게 됐다”고 활동 취지를 설명했다. KACF는 올해부터 가주에도 혜택을 확대했다. 남가주 아태정의진흥협회(AAAJ), 한인청소년회관(KYCC), 소망소사이어티를 포함해 여섯 단체가 혜택을 받았다. 브래넌 강 KACF 부회장은 “뉴욕 뉴저지가 아닌 타주로 모금액 30% 이상이 지원됐으며 앞으로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통해 네트워킹도 더 활발해지면 좋겠다”고 바람을 전했다. 비영리 단체 봉사를 하다보면 돈으로 채워지지 않는 것들도 있다. KACF는 ‘능력 배양 프로그램(Capacity Building Program)’을 통해 이제 시작하거나 역량을 확대하려는 단체들에 교육 콘텐트 지원도 하고 있다. 모니카 이 KACF 홍보담당은 “막상 새로운 단체와 프로그램을 시작하면 막막하기 쉬운데 조직과 역량 강화 차원에서 온오프라인 이중언어 교육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다”며 “남가주 소망소사이어티는 버지니아의 유사 신생 단체와 교류와 지원을 나누고 있다”고 예를 들었다. KACF는 전국 한인사회 시니어들의 실상을 파악한 연구 결실도 내놓았다. 윤 회장은 “사각지대에 있는 한인 시니어들에 대한 실태 조사 내용을 5월 중에 공개할 계획”이라며 “해당 데이터는 특히 정치인들에게 향후 정책 마련의 바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KACF는 LA 한인사회에 정식 인사와 교류를 위해 기부자 모임(Giving Summit)과 갈라 모임을 9월초 LA에서 열 계획이다. 지원금 신청과 기부금 관련 문의는 재단 사이트(Kacfny.org)를 방문하면 찾을 수 있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창립 22년 한인커뮤니티재단 한인재단 확대 한인사회 발전 타주로 모금액 뉴욕 뉴저지
2024.04.25. 20:33
2011년부터 뉴욕주 전역에서 시행중인 ‘무브 오버(Move Over)법’ 적용 대상이 늘어난다. 무브 오버 법은 비상등을 켜거나 사이렌을 울리며 운행 또는 정지중인 ▶경찰차·소방차·앰뷸런스 등 응급차량 ▶견인차량 ▶도로보수 트럭 등을 보면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해야 하는 내용이다. 19일 뉴욕주지사실에 따르면 오는 27일부터는 차선 인근 모든 대기 차량에 대해 운전자는 감속 후 다른 차선으로 옮겨야 한다.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에 따르면, 지난 2016~2020년 뉴욕 장애인 차량 인근서 37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미 전역서는 300명의 운전자가 길가서 차에 치여 사망한다. 이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무브 오버 법이 제정됐다. 지난해 호컬 주지사는 모든 차량에 대해서 ▶비인접 차선으로의 변경 ▶감속 등을 지키도록 한 법안 추가 내용(A1077/S5129)에 서명한 바 있다. 예를 들어, 차선 인근서 단속 중인 경찰차량 등이 있을 경우 차선을 띄우고 감속해 지나가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150달러의 교통위반 벌금을 물고 2점의 벌점이 부과된다. 차선을 띄울 수 없을 땐 반드시 20마일 이하(뉴욕주 기준)로 서행해야 한다. 이날 연방 고속도로교통안전청(NHTSA)에 따르면 미국 50개 주 전역에서 무브 오버 법을 시행중이다. 적절한 운전법은 뉴욕주 스루웨이공사 웹사이트(thruway.ny.gov/travelers/safety/moveoverlaw.html)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뉴욕주 확대 뉴욕주 전역 뉴욕주 기준 차선 인근
2024.03.19. 21:17
뉴저지주가 노약자 이동 서비스 액세스 링크 차량 공유 서비스를 버겐카운티 등 7개 카운티로 확장한다. 주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차량이 아니더라도 우버, 리프트 등 택시 서비스를 통해 같은 금액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뉴저지트랜짓은 최근 액세스 링크(Access Link)의 차량 공유 파트너십을 확장한다고 밝혔다. 액세스 링크는 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노약자를 위한 보조 교통 프로그램이다. 차량을 예약하면 자유롭게 승하차 위치를 설정할 수 있지만, 여정이 비슷한 이용자와 합승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택시와 다르다. 이어 주정부는 우버, 리프트 등의 택시 업체와 협력한 ‘라이더스 초이스’(Riders’ Choice)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액세스 링크를 통해 우버와 리프트를 예약하면 같은 비용으로 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 작년 5월 에섹스·모리스·유니언·서머셋·벌링턴·캠든 등 일부 지역에서 우선 운영했다. 이제 버겐·퍼세익·허드슨카운티와 머서·만머스·미들섹스·노스오션카운티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액세스 링크는 이동이 어려운 시니어나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다. 뉴저지트랜짓에 서비스를 신청하고 서류 제출, 전화 인터뷰를 통해 자격을 얻게 된다. 이하은 기자액세스링크 확대 액세스 링크 택시 서비스 공유 서비스
2024.02.08. 21:11
온주정부가 '강력한 시장 권한' 적용 도시를 확대해 추진한다. 강력한 시장권한이 부여된 도시의 시장은 시의회의 결정과 상관없이 특별부서의 신설 및 개편이 가능하며 의회 결정 사항에 대한 거부권 행사를 할 수 있다. 스티븐 클락 온주 주택부장관은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의회 전반에 걸친 관료주의를 타파하고 시장에게 더욱 강력한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라며 "이를 위해 현재 토론토와 오타와 시장에게 부여했던 강력한 시장권한 적용 범위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온주정부는 주 내 26개 도시에 강력한 시장권한을 추가로 부여하고 오는 7월 1일부터 이를 적용할 방침이다. 이번에 확대 적용되는 도시에는 마캄, 미시사가,리치몬드힐 등 광역토론토(GTA) 주요 도시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벌링턴의 마리안 미드 워드 시장은 "오는 2031년까지 150만채의 주택을 건설 및 공급하겠다는 주 정부의 목표를 강력하게 지지한다"라며 "강력한 시장 권한 확대가 우리 시뿐만 아니라 온주 내 지방자치단체가 계획하고 있던 목표달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강력한 시장권한 적용 대상인 온주 28개 도시 지자체의 주택 건설 목표량은 121만 7,000채로 이는 온주 정부의 건설 계획의 81%를 차지한다. 김원홍 기자시장권 확대 확대 조치 시장 권한 주택 건설
2023.06.16. 11:45
UCLA가 내년부터 약 700명의 학생에게 1인당 2만 달러의 장학금을 지급한다고 26일 밝혔다. UCLA는 이날 학생들의 학자금 대출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UCLA 학자금부담 이니셔티브(Affordability Initiative) 프로그램을 새로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는 2030년까지 부채 없는 교육을 제공하겠다는 UC계열과 주 의회의 계획에 따른 것이다. 재원은 UCLA 출신으로 부동산 투자자인 피터 멀론이 기부한 1500만 달러다. 이 프로그램은 내년부터 약 700명의 학생에게 4년에 걸쳐 2만 달러의 개인 장학금을 지급하는 게 핵심이다. 현재 UCLA 캠퍼스 기숙사에 거주하는 가주 학생의 2023~2024학년도 평균 생활비는 3만8517달러로 등록금은 이 중 37%(1만4100달러)이고 나머지는 주거, 식사, 교통비, 교재비 등이다. 이미 비싸진 등록금 때문에 저소득층 학생들의 UC계열 입학은 줄고 있다. 지난 2021년 연간 소득 5만 달러 미만인 학생 1만여명은 UC 입학을 포기하고 커뮤니티 칼리지 또는 캘리포니아 주립대를 선택했다. 또 연방 대출을 받은 UC계열 학생 비율도 지난 10년 동안 3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UCLA는 최근 몇 년 동안 학생들의 학자금 대출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장학금 프로그램을 내놓고 있다. 실제로 지난 가을학기 UCLA 브루인 성공 장학금(Bruin Success Scholarship)을 시작해 저소득층 가정 학생 1000명에 매년 2000~2500달러를 지원하고, 웨스트우드 캠퍼스는 150여 명의 신입생에게 4년 동안 매년 1000달러의 장학금을 지원하는 파일럿 프로그램을 올 가을학기부터 시작할 계획이다. 김예진 기자 [email protected]장학금 확대 장학금 확대 장학금 프로그램 성공 장학금
2023.04.27. 22:04
이민서비스국(USCIS)이 학생(F-1) 비자 소지자의 졸업후현장실습(OPT) 신청도 프리미엄 프로세싱(신속처리) 대상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6일 USCIS는 이날부터 노동허가신청서(I-765)가 접수된 학생들의 ▶학위 취득 전 현장실습(Pre-Completion OPT) ▶학위 취득 후 현장실습(Post-Completion OPT)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OPT 24개월 연장신청에 대한 신속처리를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해당 대상자 중 신속처리 신청을 원하는 신청자는 별도의 신청서(I-907)를 제출해야 한다. 또 USCIS는 오는 4월 3일부터 I-765와 I-907을 같이 신청하는 경우도 접수 가능하다고 밝히고, 4월 3일 이전 I-765가 접수되지 않은 채 I-907를 신청할 경우 신속처리가 거부된다며 주의를 요구했다. 심종민 기자신속처리 확대 신속처리 신청 학위 취득 프리미엄 프로세싱
2023.03.06. 20:11
BC주의 신임 이비 주수상이 내각을 확대 개편하면서 일부 장관들이 내각에서 이름을 감추었다. 데비드 이비(David Eby) 주수상이 발표한 새 내각은 기존 25명에서 28명으로 3명이 늘어났다. 이번 내각 개편에서 유임된 장관을 보면, 어린이가족개발부의 미치 딘(Mitzi Dean) 장관, 시민서비스부의 리차 비어러(Lisa Beare) 장관, 환경기후변화전략부의 조지 헤이먼(George Heyman) 장관, 보건(프랑스어 담당)부의 애드리안 딕스 장관, 노동부의 해리 바인즈(Harry Bains) 장관, 수송기반시설부의 롭 플레밍 장관, 공공안전검찰부(ICBC) 및 부수상에 마이크 판워스 장관 등이다. 이번 개편에서 다른 부로 옮긴 장관들을 보면, 우선 새로 생긴 주택부 장관에는 래비 카흘론(Ravi Kahlon) 전 직업경제회복혁신부 장관이 임명됐다. 위기관리기후변화대응부의 보윈 마(Bowinn Ma) 전 기반시설부 장관, 에너지광산저탄소혁신부의 조지 오스본(Josie Osborne) 전 국토해양자원부 장관, 재경부의 캐드린 콘로이(Katrine Conroy) 전 산림부 장관, 산림(영사단체 담당)부의 브루스 랠스톤 전 에너지광산저탄소혁신부 장관, 원주민관계회복부의 머레이 랜킨(Murray Rankin) 전 검찰주택부 장관, 정신건강중독부의 제니퍼 화이트사이드(Jennifer Whiteside) 전 교육어린이케어부 장관 등이다. 또 자치시정무장관에 한인사회 행사에 참석하는 등 한인사회에 가장 많이 얼굴을 보인 앤 캥 전 고등교육기술훈련부 장관이, 고등교육미래기술(이민/해외자격인증)부 장관에 코퀴틀람 한인사회 중심지를 지역구로 하는 셀리나 로빈슨 전 재경부 장관도 내각에 남았다. 이외에 사회개발빈곤감소부의 세일라 말콤슨 전 정신건강중독부 장관, 관광예술문화스포츠부의 레나 폽팜 전 농식품부 장관, 물과 토지 자원부 장관에 나단 컬렌 전 자치부정무 장관이 각각 부를 옮겼다. 반면 이전에 주의회비서(Parliamentary Secretaries of B.C.)로 있다가 내각에 들어온 신임 장관들을 보면, 법무부 장관에는 니키 샤르마(Niki Sharma) 전 지역개발비영리 의회비서, 교육어린이케어부는 라츠나 싱(Rachna Singh) 반인종차별 의회비서, 어린이케어담당장관에는 그레이스 로어(Grace Lore) 성평등 의회비서, 직업경제개발혁신부 장관에 브렌다 베일리(Brenda Bailey) 기술혁신 의회비서, 기반시설대중교통부 장관에 댄 컬터 접근성 의회비서, 그리고 노동력개발부 장관에 앤드류 머시어 기술훈련부 의회비서 등이 있다. 직전 내각이나 의회비서가 아니었다가 처음 내각에 참여한 주의원을 보면 농식품부 장관은 팜 알렉시스(Pam Alexis) 아보츠포드-미션 지역구 주의원, 무역부장관에 자그럽 브라(Jagrup Brar) 써리-플릿우드 지역구 주의원 등이다. 반면에 이전에 내각에 포함됐다가 이번에 내각은 물론 의회비서도 되지 못한 전 장관으로는 어린이케어부 카트리나 첸 전 장관 등 5명이 나왔다. 표영태 기자내각 확대 검찰주택부 장관 교육어린이케어부 장관 장관 수송기반시설부
2022.12.08. 13:58
취업영주권 1순위와 2순위 NIW(National Interest Waiver)를 대상으로 한 프리미엄 프로세싱이 확대 시행된다. 이번 시행은 지난 6월부터 시행한 취업영주권 프리미엄 프로세싱 시행 확대에 추가하는 조치다. 이민서비스국(USCIS)는 오는 8월 1일부터 현재 계류중(pending)인 특정 시점 이전에 취업이민청원(I-140)을 제출한 1순위와 2순위의 NIW에 대해서 프리미엄 프로세싱을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해당 대상자 중 프리미엄 프로세싱 신청을 원하는 신청자는 별도의 신청서(I-907)을 제출해야 한다. 대상자는 ▶2021년 7월 1일 이전에 취업영주권 1순위 I-140 청원서를 제출한 경우와 ▶2021년 8월 1일 이전에 취업영주권 2순위 NIW I-140 청원서를 제출한 경우다. 위의 날짜 이후에 I-140 청원서를 제출한 경우 또는 신규로 제출하는 경우는 프리미엄 프로세싱을 신청할 수 없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이번 조치에 따라 프리미엄 프로세싱을 신청한 청원자는 최대 45일 이내에 ‘승인’ 또는 ‘거절’ 결과를 통보받게 된다. 이와 함께 USCIS는 지난 5월 말 I-907 새 버전이 게시됨에 따라 이달 1일부터 구 버전 I-907의 제출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밝히고 신청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 3월 USCIS가 밝힌 이민서류 적체 해소 조치의 일환이다. 장은주 기자 [email protected]신속처리 확대 시행 확대 취업영주권 2순위 취업영주권 1순위
2022.07.19. 20:49
조 바이든 행정부가 산후 메디케이드 보장을 강화하는 등 산모 건강 지원 확대에 나선다. 24일 백악관은 높은 산모 사망률 등 산모 건강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여성·어머니·가족을 위한 모성 건강 청사진(Maternal Health Blueprint for Women·Mothers·Families)’ 대책을 발표했다. 이는 임신 전, 임신 중, 산후 여성에 대해 경제적, 사회적 지원을 강화해 아기 낳기 좋은 국가를 만들기 위한 조치다. 미국은 선진국 중 산모 사망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내에서도 흑인 여성이나 저소득층 여성은 백인 여성에 비해 임신 관련 문제로 사망할 가능성이 3배나 높다. 이번 계획은 향후 1년 반에 걸쳐서 다양한 조치를 시행해 다른 나라와의 격차를 해소하는 동시에 인종별, 소득별 격차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앞서 이같은 조치를 시행하기 위해 2022~2023회계연도 예산안에 모성건강 관리를 개선하고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4억7000만 달러가 배정된 바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각 주에서 시행하는 필수 산후 메디케이드 보장을 현재의 60일에서 12개월로 연장하도록 강력 권고하기로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충분한 산후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되는데, 총 72만명의 여성에게 혜택이 돌아갈 것으로 추산된다. 이외에도 ▶산모 정신건강 무료 핫라인 개설 ▶조산사, 수유시설 등의 접근성 강화 ▶산모 건강 위험에 대한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통해 건강한 산모 지원 계획 수립 등이 포함됐다. 또, 새로운 출산 친화적 병원 이니셔티브를 통해 산모 건강에 중점을 둔 병원을 지정하고 보건복지부·국방부·주택도시개발부 등 연방 12개 기관장이 참석하는 모성 보건 연방 내각회의도 정례화한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은 24일 일리노이주를 방문해 딕 더빈(민주·일리노이) 연방상원의원, 로빈 켈리(민주·일리노이) 연방하원의원 등과 산모 건강 지원 확대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 해리스 부통령은 앞서 연방상원의원 재임시 흑인 여성의 모성 건강 보호에 대한 강화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상정하고 관련 법안을 발의하는 등 활동해 왔다. 장은주 기자연방정부 확대 산모 정신건강 산모 건강 산모 지원
2022.06.24. 19:54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재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50세 이상 성인들에게 2차 부스터샷, 즉 4차 코로나19 백신을 맞으라고 권고했다. 22일 CDC는 “50세 이상 성인, 혹은 면역 체계에 이상이 있는 12세 이상인 사람은 1차 부스터샷을 맞은 지 최소 4개월이 지났다면 2차 부스터샷을 맞아야 한다”고 권고했다. 지금까지 CDC는 65세 이상 성인,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만 2차 부스터샷을 접종하라고 권고했다. 50세 이상에 대해서는 ‘2차 부스터샷을 맞아도 된다’고만 해왔다. 그러나 이번 발표는 2차 부스터샷 접종이 필요한 연령대를 낮추면서 접종을 더 확대하려는 조치다. CDC는 지난 한 달간 꾸준히 코로나19 감염이 늘고, 고령의 미국인들 사이에서 입원 환자가 가파르게 큰 폭으로 상승함에 따라 이번에 지침을 개정했다고 설명했다. 한편에서는 “이번 조치가 새로운 코로나19 감염의 확산에 대한 연방 보건 당국의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최근 뉴욕주 코로나19 확진자는 최근 하루평균 9000명에서 1만명 가량을 기록 중이다. 7일 평균 감염률은 지난달 5%대에서 최근 8.1%로 올랐다. 지난 21일 기준 뉴저지주 코로나19 확진자는 3960명으로 일주일 전에 비해 10%, 한 달 전에 비해 139% 늘었다.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따르면 지난 19일 기준 전국 7일 평균 신규 확진자는 2주 전보다 52% 늘어난 10만3537명, 하루평균 입원 환자는 31% 늘어난 2만3860명이다. 한편 로셸 월렌스키 CDC 국장은 트위터를 통해 미 북동부 거주자들은 실내에서 마스크 착용이 필요하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미국인의 45% 이상이 실내 공공장소에서 마스크 착용을 고려해야 하는 고위험 지역에 살고 있다고도 말했다. 앞서 CDC는 5~11세 아동에 대한 화이자 백신 부스터샷 접종도 승인했다. 이에 따라 아동 부스터샷 접종도 본격 시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김은별 기자부스터샷 확대 부스터샷 접종 아동 부스터샷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2022.05.22. 16:35
식비 지원 프로그램인 ‘캘프레시(CalFresh·구 푸드스탬프)’ 수혜자격을 체류 신분에 관계없이 55세 이상 저소득층에게 확대하자는 방안이 제시됐다. 개빈 뉴섬 가주 주지사는 24일 주 정부 예산안에 캘프레시 제공 확대를 위한 3500만 달러 할당 계획을 밝히면서 “팬데믹 사태로 서류 미비자들이 생활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 수혜자격 확대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만약 캘프레시 수혜자격이 55세 이상 서류 미비자들에게까지 확대된다면 약 160만 명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저소득층 식비 지원 법안인 일명 ‘푸드포올(food for all)’을 발의한 멜리사 허타도(민주) 가주 상원의원은 “이번 주지사의 발표는 모두가 식료품 지원에 대한 기회를 균등하게 가질 수 있는 첫 발걸음이 될 것”이라며 “기후 변화와 지속적인 인구 증가로 식량 불안정 문제가 악화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이는 주민의 존엄성과 건강을 지키는 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열 기자서류미비자 확대 이상 서류미비자 수혜자격 확대 식비 지원
2022.01.25. 2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