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춧가루도 “괜찮아요” ○… 2살배기 아들에게 한복을 곱게 입혀 행사장을 찾은 국제 결혼 커플 박지영·알렉스 저먼씨 부부는 환하게 웃는 이 사이사이로 고춧가루가 잔뜩 낀 것에도 개의치 않으며 “한국 음식 최고”를 연발했다. 이들은 “다문화 가정에서 자라는 아들이 한국 문화와 미국 문화를 함께 공유하길 바란다”며 “돌잡이 때 아들에게 입혔던 한복인데 한국의 날을 맞아서 특별히 차려입혀 나왔다”고 말했다. 파란눈 부채춤 “신기해요”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샌프란시스코로 할머니와 함께 여행 온 카타리나 프리제(16)는 “뒤셀도르프에는 일본 인구가 많아서 일본 축제는 많이 구경했지만 한국 축제는 처음”이라며 “핑크색 부채춤 공연이 가장 인상적이었고, 미국 사람(몬트레이 국방대 부채춤팀)이 한국 춤을 춘다는 것이 신기했다”고 말했다. “한류 열풍 덕 봤어요” ○… “K-POP(한국 가요) 열풍 덕분에 판매량이 부쩍 증가했어요.” CD, 한국 연예인 포스터를 파는 부스에서는 한국 가수들의 CD와 포스터가 날개 돋힌 듯 팔려나갔다. 한국의 날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 LA에서부터 원정을 왔다는 부스 관계자는 “한류의 영향이 판매 실적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며 “외국인들에게 인기있는 연예인이 한 명이라도 왔다면, 더욱 큰 호응을 이끌어 냈을 것”이라고 아쉬워하기도 했다. 건강 지킴이들 맹활약 ○…라이온스 의료 봉사단에서 차린 부스는 한국의 날 행사에서 봉사를 제대로 했다. 오랫만에 SF에 울려퍼진 ‘덩더꿍’ 가락 아래 5~600여명이 무료 진료 혜택을 받았다. 당, 혈압 측정 등을 비롯해 자원봉사자들은 공연 관람자들에게 무료로 처방약 할인권을 나눠줘 나이든 관람객들에 대한 배려를 아끼지 않았다. “관객 참여 기회 늘리길…” ○… 유니언스퀘어 네 귀퉁이에 자리잡고 있는 ‘하트 조형물’에 그림을 그린 화가 제레미 서튼은 “한국의 날 행사를 여러번 봐왔는데, 해마다 공연 내용이 비슷한 것 같다”며 “외국인들에게 한국의 문화를 알리는 행사인 만큼, 전통 놀이 참여 등 구경하는 것을 넘어서 ‘참여할 수 있는’ 공연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초등학생 아들과 함께 행사를 찾은 김정숙씨(웨스트 산호세)도 “한국의 날 행사에 5번째 참여하고 있는데 행사가 매년 비슷비슷해서 지루한 감이 있다”며 “공연이 지루해지지 않게 템포가 느린 곡과 빠른 곡을 섞어서 진행하면 공연을 보다가 자리를 뜨는 외국인들이 적을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양정연·황주영 기자 사진= 양정연·황주영·박성보 기자
2011.08.29. 15:58
한국 전통 문화의 멋과 맛이 샌프란시스코 다운타운을 가득 메우며 한인의 위상이 주류사회에 우뚝 섰다. SF 한인회(회장 권욱순)가 주최한 ‘제19회 SF 한국의 날’ 행사가 27일 SF 유니언스퀘어에서 성황리에 펼쳐져 주류사회에 한민족 문화의 우수성을 과시했다 주최측은 관광객 포함 7000여명이 이날 행사를 즐긴 것으로 추산했다. 행사는 ‘우리 것 보존협회’의 대북공연, 한국문화원 우리사위(단장 고미숙)의 ‘태평무’로 화려하게 막이 올랐다. 이어 최수경 무용단이 ‘진도북춤’을, 무용인 김일현씨와 SF성마이클 한인천주교회 학생들이 전통무용으로 한국 무용의 미를 선사했다. 북가주 태권도협회 공인 시범단인 웨스트 어메리카 태권도팀과 팀-M이 선보인 모던 태권도, 겨루기, 격파, 호신술 등 태권도 시범은 관객들의 감탄과 큰 박수갈채를 이끌어냈다. 또한 옹댄스 컴퍼니와 타민족 공연팀의 합동공연, 이스트베이 한미노인봉사회(회장 김옥련) 회원들의 전통 장구공연과 민요 합창이 관객들의 흥을 한층 고조시켰다. 이어 몬트레이 국방대학교 한국어학교 학생들로 구성된 한국 부채춤 무용단이 화려한 부채춤을 선보여 관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한국에서 초청된 이수연 댄스 드라마 아트 컴퍼니의 퓨전 춤극과 경기국악예술단의 전통악기 연주가 행사장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으며, 공연 후반부에 펼쳐진 ‘웃다리 풍물놀이’ 순서에서는 공연팀과 관객들이 하나가 돼 가락에 맞춰 춤을 췄다. 행사장 주변에서는 본보를 비롯한 단체·기업들이 부스를 설치하고 홍보하며 행사의 분위기를 북돋웠다. 수라식당, EM캐더링, 글로벌어린이재단, 가주마켓 등이 마련한 음식 부스에서 떡볶이, 비빔밥, 김밥 등 한국 전통 음식들이 판매됐으며, 음식 부스마다 한국의 ‘맛’에 푹 빠진 타민족 관람객들의 줄이 길게 이어지기도 했다. SF에서 직장을 다니고 있는 백민경씨는 “샌프란시스코 다운타운 한가운데서 한국의 전통 가락이 울려 퍼져 한국인으로서 너무나도 자랑스럽다”며 즐거워했다. SF를 찾은 관광객 케티 패티건씨는 “흥겨운 한국의 가락에 신이 절로 났다”며 “화려한 의상과 전통 악기, 부채 등이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개막식에서 에드 리 SF 시장, 데이빗 추 SF 시의장, 리랜드 이 가주 상원의원, 메리 정 하야시 가주 하원의원, 데이빗 신 SF 경찰국 부국장 등이 한국의 날 행사 개최를 축하하고, 주류사회에 대한 한인 커뮤니티의 공헌에 감사의 말을 전했다. 권욱순 SF 한인회장은 “이번 행사는 1, 2세가 서로 공감하고 주류사회와 한인사회가 교류할 수 있는 장을 열었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도 한인사회의 단합을 이뤄 한인들의 자긍심을 높이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행사 전날인 26일 저녁 SF 헙스트 극장에서는 전야제가 열려 600여명의 관객들이 객석을 가득 메웠다. 양정연·황주영 기자 [email protected]
2011.08.29. 15:36